Cjournal
Cjournal
기업과산업  전자·전기·정보통신

삼성전자, 메모리반도체 점유율 2년만에 최고치

이민재 기자 betterfree@businesspost.co.kr 2014-08-18 15:24:53
확대 축소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유튜브 공유하기 url 공유하기 인쇄하기


삼성전자가 D램 등 메모리반도체 사업에서 강자의 모습을 재확인 했다. 올해 2분기 글로벌 메모리반도체 시장에서 점유율을 더 끌어올려 2년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삼성전자, 메모리반도체 점유율 2년만에 최고치  
▲ 김기남 삼성전자 DS부문 반도체총괄 사장

18일 시장조사기관 IHS테크놀로지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올해 2분기 세계 메모리반도체 시장에서 34.72%의 점유율(매출액 기준)을 기록하며 1위 자리를 지켰다.

삼성전자의 점유율은 직전 분기보다 2.31%포인트 상승했다. 이는 삼성전자가 2012년 2분기 35.1%의 점유율을 기록한 이후 2년 만에 최고치다.

매출은 67억1800만 달러로 직전 분기보다 14.2% 증가했다. 이중 D램이 43억1100만 달러, 낸드플래시가 23억8200만 달러를 차지했다. D램과 낸드플래시 매출은 1분기보다 각각 15.3%와 14.3% 늘었다.

삼성전자가 메모리반도체에서 강세를 이어가는 데 대해 업계는 미세공정 기술을 적용한 20나노 D램 제품과 수직구조 낸드플래시(V낸드)의 판매호조 덕분인 것으로 보고 있다.

여기에 SSD의 경쟁력 확대도 한몫했다. SSD는 기존 하드디스크를 대체하는 고속의 보조기억장치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8월 세계 최초로 반도체 셀을 수직을 쌓아 만든 V낸드 양산을 시작한데 이어 올해 3월부터 세계 최초로 20나노 D램 양산에 들어갔다.

SK하이닉스는 3위를 차지했다. SK하이닉스는 1분기보다 9.7% 늘어난 37억1700만 달러의 매출을 거두며 19.2%의 점유율을 기록했다.

2위인 미국 마이크론테크놀로지의 점유율은 20.5%로 두 회사 간 격차는 1.3%포인트에 불과하다. 마이크론테크놀로지의 매출은 39억7400만 달러다.

2분기 전체 반도체시장에서 인텔이 매출 123억3900만 달러로 14.3%의 점유율을 기록해 세계1위를 차지했다. 매출 94억900만 달러인 삼성전자는 10.9%의 점유율로 2위를 차지했다.

퀄컴이 49억5700만 달러(5.7%), 마이크론 38억3800만 달러(4.6%), SK하이닉스 37억8200만 달러(4.4%)로 그 뒤를 이었다.

최신기사

최태원 SK서 작년 보수 35억 받아 3년째 동결, SK온으로 옮긴 유정준 183억
신동빈 작년 롯데 계열사 5곳에서 보수 178억, '유통 3강' 오너 중 가장 많아
코스피 7분간 '먹통' 시세확인·주문체결 올스톱, 거래소 초유의 전산장애
현대위아 공작기계 분리 확정, 에이치엠티 컨소시엄에 3400억 받고 매각
함영주 작년 하나금융지주서 보수 22억 받아 4대 금융 중 최고, 양종희 18억 진옥동..
금감원 올해 새희망홀씨 공급목표 4조2천억, 지난해보다 3.3% 올려
이동훈 SK바이오팜서 작년 보수 12억7800만, "뇌전증 치료제 성과 반영"
구광모 LG서 2024년 연봉 81억 수령, 권봉석 32억 하범종 13억
아우디 독일 내 일자리 7500개 감축, 절감 비용은 전기차 전환에 사용
김보현 대우건설서 지난해 보수 5억 받아, 임직원 평균 급여 1억
Cjournal

댓글 (0)

  • - 200자까지 쓰실 수 있습니다. (현재 0 byte / 최대 400byte)
  • -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댓글은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등 비하하는 단어가 내용에 포함되거나 인신공격성 글은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삭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