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항이 유휴항만시설을 활용한 ‘해양산업클러스터’의 시범지역으로 지정돼 앞으로 부산항대교 통행량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부산항대교 운영사의 최대주주인 현대산업개발은 물론 부산항대교 통행량 부족으로 보전액을 내던 부산시도 수혜를 볼 수 있다.
|
|
|
▲ '북항 그랜드 마스터플랜' 구상도.<부산시> |
23일 정치권에 따르면 해양산업클러스터법 시행령 제정안이 22일 국무회의에서 통과되면서 부산항 북항의 우암부두 일대가 시범지역으로 지정됐다.
해양산업클러스터법은 해양수산부가 지정한 유휴항만시설을 활용해 해양산업과 해양연관산업을 융·복합하고 정부가 입주기업의 연구개발 등을 지원해 지역경제 활성화를 도모한다.
이에 따라 부산시가 계획해오던 ‘북항 그랜드 마스터플랜’에 본격적으로 시동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북항 그랜드 마스터플랜은 남구의 우암부두와 감만부두, 8부두를 해양산업클러스터로 조성하고 영도의 한진중공업지역 일대를 해양비지니스, 마이스(기업회의·포상관광·컨벤션·전시회), 관광문화 집적지 등으로 조성하는 재개발 계획을 말한다.
이 재계발 계획의 수혜자로 북항아이브리지의 최대 주주인 현대산업개발이 꼽힌다.
재개발이 추진되면 남구와 영도를 잇는 부산항대교의 교통량이 늘어날 수밖에 없는데 교통량이 증대될수록 운영사인 북항아이브리지의 가치가 올라가기 때문이다.
현대산업개발은 북항아이브리지의 지분 66%를 보유하고 있다. 여러 차례 북항아이브리지 지분 매각설이 돌기도 했지만 앞으로 이런 매각설이 잠잠해질 것으로 보인다.
북항아이브리지에 지급해야 하는 보전액으로 골머리를 앓던 부산시 역시 부산항대교 통행량이 늘어나면 보전액을 아낄 수 있다.
부산항대교는 민간사업자가 건설 뒤 기부하고 30년 동안 운영하는 방식으로 건설됐다. 통행량이 예상치의 80%에 못 미치면 부산시가 운영사인 북항아이브리지에 손실을 보전해줘야 하는 최소운영수익보장(MRG) 방식으로 운영된다.
부산시는 당초 통행량을 잘못 예측하고 계약한 탓에 앞으로 보전해줘야 할 돈이 연간 100억 원대로 추산된다. 4월 기준 부산항대교 통행량은 예상치의 55% 수준으로 부산시는 올해만 보전액 80억 원을 지급해야 할 처지다.
그런데 재개발이 추진되면 해양관련 산업의 활성화뿐 아니라 향후 1천억 원대로 예상되는 보전액 절감까지 기대할 수 있는 셈이다.
부산항 해양산업클러스터의 전망은 밝은 것으로 평가된다. 서용교 전 새누리당 의원이 5월 140개 기업을 대상으로 유휴항만 시설에 대한 투자수요를 조사한 결과 37개 기업의 투자 희망금액이 4341억 원으로 파악됐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도 “부산 북항이 해양산업클러스터로 지정되면 2967억 원의 생산파급 효과와 982원의 부가가치, 1600명의 고용유발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고진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