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Who
KoreaWho
기업과산업  화학·에너지

[재계 키맨] 화학업계 물갈이 피한 LG화학 신학철, 사업구조 개편 '주마가편' 

신재희 기자 JaeheeShin@businesspost.co.kr 2024-12-11 10:20:00
확대 축소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유튜브 공유하기 url 공유하기 인쇄하기

<편집자 주>
주요 기업들이 변화와 쇄신에 방점을 둔 연말 인사를 실시했다. 경제 성장 부진과 글로벌 정세 불안에 대응하고 새 성장동력을 찾으려는 오너와 이사회 의지가 반영됐다. 이번 인사에서는 각 기업별로 위기 돌파에 특명을 안게 된 ‘키맨’의 등장이 주목받고 있다. 이들은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중장기 목표 수립과 실행에 큰 영향력을 행사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사태에서 촉발된 탄핵 정국 속에서 존재감이 더욱 커지고 있다. 비즈니스포스트는 올해 실시한 인사에서 가장 주목받는 키맨의 주요 역할과 과제를 짚어본다.

-글 싣는 순서
①롯데그룹 신유열 시대 성큼, 롯데지주 이동우·노준형 위기극복 해법 낸다
②삼성전자 한진만 파운드리 구원투수 주목, 2나노 기술력으로 위기 탈출 이끈다
③LG전자 김영락 가전구독 모델 정착 1등 공신, 100조 신시장 개척 가속도
④KB금융 비은행 첨병에서 은행 경쟁력 강화 수장으로, 이환주 ‘리딩뱅크’ 탈환 노린다
⑤화학업계 물갈이 비껴간 LG화학 신학철, 사업구조 개편 '주마가편'
⑥뜨거울 2025년 정비사업 시장, ‘주택전문가’ 이한우 현대건설 1위 수성에 무거운 어깨
⑦40년 `철강 외길` 철강 전문가 포스코 이시우, 업계 불황 속 수익성 회복 해결 중책
⑧우리은행장 정진완 계파 내홍 해결 부담, 고강도 당국 압박 후폭풍 해결할 묘수는
⑨삼성SDS 호실적에도 변화 선택, 새 선장 이준희 AI 시대 맞아 신사업 이끈다
⑩넷게임즈부터 11년째 대표 지낸 넥슨게임즈 박용현, 넥슨그룹 신작 라인업 주도
⑪TSMC 웨이저자 회장 체제로 세대교체 성공적, 2나노 AI반도체로 파운드리 1위 굳힌다‘원점’ 

 
[재계 키맨] 화학업계 물갈이 피한 LG화학 <a href='https://www.businesspost.co.kr/BP?command=article_view&num=367300' class='human_link' style='text-decoration:underline' target='_blank'>신학철</a>, 사업구조 개편 '주마가편' 
신학철 LG화학 부회장이 사업구조 개편에 박차를 가할 것으로 보인다. <그래픽 비즈니스포스트>
[비즈니스포스트] 신학철 LG화학 대표이사 부회장이 회사 사업구조 개편에 속도를 낼 것으로 예상된다. 

신 부회장은 석유화학 사업의 포트폴리오를 고도화하는 한편 전지소재, 바이오, 서스테이너블리티 등의 3대 신성장동력을 키울 계획을 가지고 있다. 이를 위한 투자 여력도 지난해 편광판·소재 사업 매각을 통해 1조1천억 원 가량 확보해둔 상황이다.
 
2018년부터 계속 자리를 지켜온 신 부회장이 최근 악화한 회사 포트폴리오 회생 전략을 성공시켜 국내 석유화학 업계의 구조적 위기를 넘길 발판을 마련할지 관심이 쏠린다.

11일 석유화학 업계 취재를 종합하면 에틸렌, 프로필렌, 부타디엔 BTX 등을 생산하는 기초유분 사업 비중이 높은 국내 화학 기업들의 경영 위기가 심화하고 있다.

중국 자급화 기조에 따른 석유화학 설비 증설로 저가 석유화학 제품이 시장에 쏟아지고 있고, 중동 정유사들도 원유수요 감소에 대응해 원유에서 기초유분을 추출하는 COTC(Crude Oil To Chemical) 설비에 투자하면서 역내 공급과잉 상태가 지속되고 있다.
 
[재계 키맨] 화학업계 물갈이 피한 LG화학 <a href='https://www.businesspost.co.kr/BP?command=article_view&num=367300' class='human_link' style='text-decoration:underline' target='_blank'>신학철</a>, 사업구조 개편 '주마가편' 
신학철 LG화학 대표이사 부회장이 연임에 성공하면서 전지재료, 신약 등 3대 신성장동력 사업 육성에 더욱 속도를 낼 것으로 예상된다. 사진은 지난 9일(현지시각) 미국 워싱턴DC에 위치한 상원의원 건물을 방문한 신 부회장 모습. <연합뉴스> 

롯데그룹, 한화그룹, SK그룹 등은 화학 계열사들이 대규모 적자를 내자 올해 임원인사에서 화학계열사 사장단을 대거 교체하며 쇄신에 나섰다.

LG화학도 쇄신 인사를 낼 것으로 예상됐지만, 지난달 인사에서 구광모 LG그룹 회장은 신 부회장을 재신임했다. 

회사의 사업 포트폴리오 개편을 주도하고 있는 그에게 체질개선 속도를 끌어올려달라 주문한 것으로 해석되는 대목이다. 

이에 따라 신 부회장은 LG화학의 △전지재료 △신약 △서스테이너블리티 등 이른바 ‘3대 신성장동력’ 분야의 육성에 더욱 주력할 것으로 보인다. 

3대 신성장동력은 그가 2021년부터 낙점해 선제적으로 육성한 분야다. 회사 전체 투자의 60% 이상을 신성장동력 사업에 투자할 정도로 공을 들이고 있다.

회사는 전지소재 분야에서 2024년 연산 14만 톤 규모의 양극재 생산능력을 2026년 20만 톤으로 늘리고 LG에너지솔루션 외 다른 배터리 제조사 매출 비중을 40%까지 확대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전기차 판매 둔화가 장기화하고, 전기차 지원정책 축소·폐지를 예고한 도널드 트럼프 후보의 재집권에 따라 일각에선 양극재 설비투자 계획을 다소 늦출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다만 신 부회장은 지난 9일(현지시각) 미국을 방문해 2023년 말 테네시주에서 착공한 양극재 공장 건설과 관련해 미국 정권 교체에도 투자 계획에는 큰 변화는 없다고 시사했다.

신약 분야에서는 항암·면역·대사·당뇨분야에서 지난해 기준 12개인 신약 후보물질을 2030년 20개까지 확대하겠다는 목표를 밝혔다. 2023년 초 약 8천억 원에 인수한 미국 제약사 아베오(AVEO)가 항암제 중심의 신약 파이프라 강화의 중심이다. 

서스테이너블리티(Sustainability) 사업 육성은 부진에 빠진 석유화학 사업 고도화도 맞닿아있다. 석유화학 기초유분 사업 비중을 낮추고 재활용 제품, 친환경 바이오소재, 신재생에너지산업 소재 사업을 적극 키우는 것이 목표다.

기존 석유화학 분야도 고부가가치 제품 위주로 사업을 전환한다.

LG화학은 올해 미국과 인도 현지에 각각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공장을 준공하고, 향후 추가 증설투자를 검토하고 있다. 또 자동차 전장용 접착제 사업도 2030년까지 수천억 원 규모로 키우겠다고 최근 밝혔다.

일각에서는 LG화학 올해 연말 임원인사에서 이지웅 M&A 담당의 전무 승진을 들어 신성장동력 육성을 가속화할 인수합병 매물을 적극 찾아나설 것이라는 관측을 내놓기도 한다. 

3대 신성장동력 육성과 함께 LG화학의 나프타분해시설(NCC) 여수2공장의 매각여부를 결론짓는 것도 신 부회장 몫이다. 지난해부터 하반기부터 꾸준히 매각설이 나오고 있는 여수 2공장은 쿠웨이트 석유공사 측과 매각협상이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재계 키맨] 화학업계 물갈이 피한 LG화학 <a href='https://www.businesspost.co.kr/BP?command=article_view&num=367300' class='human_link' style='text-decoration:underline' target='_blank'>신학철</a>, 사업구조 개편 '주마가편' 
▲ 2018년 11월 LG화학 대표이사 부회장으로 영입된 신학철 부회장은 올해 화학 실적 부진에도 연말 임원인사에서 연임에 성공, 구광모 LG그룹 회장(사진)의 신뢰가 매우 두텁다는 것을 증명했다. <연합뉴스>  

신 부회장은 1957년 생으로 서울대 기계공학과를 졸업한 뒤 3M에서 수석부회장까지 오른 인물이다. 

그는 LG그룹이 2018년 구광모 회장 체제 출범 이후 영입한 첫 번째 외부 영입인사로, 그룹 공채 출신 인사를 기용하던 전통을 깬 능력주의 인사의 대표적 사례로 꼽힌다. 올해 임원 인사에서도 LG화학 대표이사 자리를 지키자, 재계에서는 구 회장의 신뢰가 두텁다는 반응이 나온다.

그는 지난 6월 하계 다보스포럼 공동의장에 선출된 후 "LG화학은 화학첨단소재 산업 분야부터 AI, 에너지, 헬스케어 등 다양한 분야의 글로벌 리더들과 협력해 전지 소재, 친환경 소재 등 3대 신성장동력 비즈니스로 전환을 더욱 가속화할 것”라고 말했다. 신재희 기자

최신기사

트럼프 "미국 내 틱톡 금지 90일간 유예할 수 있어", 취임식 날 발표할 듯
금감원 공매도 통합 가이드라인 마련, 3월까지 전산화 준비 마친 뒤 재개
이재명, 서부지법 발생 난동 놓고 "사법부 파괴하는 용납할 수 없는 행위"
최태원 'SK하이닉스 HBM' 자신감, "엔비디아 젠슨 황 요구보다 개발 빨라"
최태원 "수출주도 경제 바꿔야", '경제 연대' '해외투자' '해외시민 유입' 강조
삼성전자 뉴 갤럭시 AI구독클럽 월 5900원 출시, 새 갤럭시 S시리즈부터
삼성전자, 넥슨·네오플과 3차원 게임 '퍼스트 비서커' 개발 협력
윤석열 구속 뒤 첫 공수처 조사 거부, "법률가로서 이해하기 어렵다"
GS25 자체브랜드 리얼프라이스, 가성비 앞세워 1년 만에 매출 500억
SK텔레콤 설 앞두고 협력사 1230억 대금 조기 지급, 내수경제 활성화 기대
koreawho

댓글 (0)

  • - 200자까지 쓰실 수 있습니다. (현재 0 byte / 최대 400byte)
  • -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댓글은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등 비하하는 단어가 내용에 포함되거나 인신공격성 글은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삭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