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ournal
Cjournal
시민과경제  경제정책

한국은행, 동전없는 사회 만들기 시험사업 준비

고진영 기자 lanique@businesspost.co.kr 2016-11-21 18:28:54
확대 축소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유튜브 공유하기 url 공유하기 인쇄하기


한국은행이 동전없는 사회를 만들기 위한 시범사업에 착수했다.

한은은 ‘2020년 동전없는 사회’를 구현하기 위한 시범사업의 첫 단계로 편의점에서 잔돈을 선불식 교통카드에 충전해주는 서비스를 실시하기로 했다고 21일 밝혔다.

  한국은행, 동전없는 사회 만들기 시험사업 준비  
▲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
조만간 입찰을 통해 시범 서비스를 시행할 편의점업체 선정 등 준비작업이 시작된다.

한은은 준비작업에 시간이 많이 필요하지 않아 이르면 내년 초, 늦어도 내년 상반기에 서비스가 시행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편의점마다 T머니 등 교통카드에 요금을 충전해주는 장비가 이미 마련돼 있는 만큼 관련 규정이나 프로그램을 정비하는 절차만 거치면 되기 때문이다.

한은은 시범사업을 실시한 뒤 성과가 좋으면 거스름돈을 신용카드로 충전해주거나 은행계좌에 직접 송금해주는 방식도 추진하기로 했다. 대상 업종도 소액결제가 많은 약국이나 마트 등으로 확대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

신용카드를 비롯해 삼성페이 등 전자결제 사용이 늘면서 현금사용이 이미 줄어들고 있는 만큼 시범서비스는 빠르게 자리잡을 것으로 전망된다.

동전 사용이 줄어들면 소비자들이 거스름돈을 들고다니는 불편이 줄어들뿐 아니라 매년 수백억 원에 달하는 동전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김정혁 한은 전자금융팀장은 “동전없는 사회를 추진하려는 가장 큰 이유는 비용문제와 편의성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지난해 한해 동안 국내에서 동전을 만드는데 들어간 비용은 540억 원으로 2014년(408억 원)보다 32.4% 늘어났다. 특히 10원짜리 동전을 하나 만드는 데 드는 비용은 액면가를 훌쩍 웃도는 30~40원이다.

해외에선 이미 동전뿐 아니라 현금 자체를 없애기 위한 걸음이 빨라지고 있다.

스웨덴과 덴마크, 네덜란드 등은 현금의 사용을 일부 제한하고 있고 일본은 2020년 도쿄 올림픽을 앞두고 지문결제 시스템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벨기에는 93%의 거래가 현금없이 이뤄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케네스 로고프 하버드대 교수는 최근 발간한 저서 ‘화폐의 종말’에서 화폐를 폐지하면 경제를 활성화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거래의 투명성이 높아져 지하경제를 양성화하고 탈세와 범죄를 줄일 수 있다는 것이다. [비즈니스포스트 고진영 기자]

최신기사

IBK투자 "더블유게임즈 성수기가 다가온다, 신작 성과는 내년 기대"
키움증권 "한국금융지주 목표주가 상향, 연간 순이익 2조 넘길 것"
LS증권 "이마트 경쟁 완화 국면 주목, 통합매입 기반 구조적 수익성 개선 전망"
DB증권 "삼성증권 목표주가 상향, 증시 거래대금 확대로 호실적 달성"
NH투자 "한미약품 목표주가 상향, 비민치료제 신약 가치 2.3조"
비트코인 1억5389만 원대 하락, 큰 손 투자자들의 수익실현에 하방압력 커져
IBK투자 "CJ제일제당 목표주가 하향, 모든 사업부문 부진"
하나증권 "커지는 배당소득 분리과세 기대감, NH투자 신영증권 하나금융 주목"
'소프트뱅크의 지분 매각' 엔비디아 2%대 하락, 뉴욕증시 M7 혼조세
[상속의 모든 것] 부모님과 같이 살던 집을 물려받아 팔때 주의할 점
Cjournal

댓글 (0)

  • - 200자까지 쓰실 수 있습니다. (현재 0 byte / 최대 400byte)
  • -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댓글은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등 비하하는 단어가 내용에 포함되거나 인신공격성 글은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삭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