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ournal
Cjournal
시장과머니  특징주

[이주의 ETF] KB자산운용 'RISE AI&로봇' 10%대 올라 상승률 1위, 콘텐츠·플랫폼 테마도 강세

박혜린 기자 phl@businesspost.co.kr 2024-11-29 17:30:26
확대 축소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유튜브 공유하기 url 공유하기 인쇄하기

국내 상장지수펀드(ETF)시장은 빠르게 성장하며 투자자들의 주요 투자 수단으로 자리잡았다. 국내에 상장된 ETF 가운데 이번 주 가장 많이 오른 상품은 무엇일까. 이번 주에는 어떤 상품들이 새로 나왔을까. 이주의 ETF가 알려준다.
[이주의 ETF] KB자산운용 'RISE AI&로봇' 10%대 올라 상승률 1위, 콘텐츠·플랫폼 테마도 강세
▲ 11월25~29일 국내 상장지수펀드(ETF) 상승률 상위 5개 종목.
[비즈니스포스트] 이번 주(11월25~29일) 국내 상장지수펀드(ETF)시장에서는 KB자산운용의 ‘RISE AI&로봇’이 10.99% 오르며 레버리지 상품을 제외하고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RISE AI&로봇은 인공지능과 로봇산업 관련 주요 기업을 담고 있는 iSelect AI&로봇지수를 기초지수로 추종하는 ETF다. 

이날 기준 루닛(7.00%), 네이버(6.50%), 레인보우로보틱스(5.75%), 솔트룩스(5.48%), 두산로보틱스(5.39%), 코난테크놀로지(4.91%) 등을 높은 비중으로 담고 있다.

국내 대표적 의료 인공지능(AI)기업인 루닛 주가는 이번 주 5거래일 동안 23.63% 급등했다.

국내외 사업 확장에 순항하면서 투자심리가 강해진 것으로 보인다. 루닛은 2024년 3분기 누적으로 매출 341억 원을 거뒀다. 2023년 같은 기간보다 매출이 73% 늘었다.

루닛은 올해 5월 인수한 유방암 특화 검진 솔루션기업 볼파라헬스테크놀로지(볼파라) 실적이 반영되고 암진단 관련 인공지능(AI) 영상판독 보조 솔루션인 ‘루닛인사이트’ 국내 비급여 처방이 가능해지는 등 호재가 많은 것으로 분석됐다.

루닛은 최근 글로벌 제약사 아스트라제네카와 비소세포폐암(NSCLC) 대상 인공지능 디지털 솔루션 개발을 위한 전략적 협업을 맺기도 했다.

네이버(8.68%), 레인보우로보틱스(8.90%), 솔트룩스(15.21%) 등도 주가가 올랐다. 반면 포트폴리오 구성종목 가운데 두산로보틱스(-6.62%) 등 주가는 하락하면서 상승률 축소에 영향을 미쳤다.

이번 주 국내 ETF시장에서는 미래에셋자산운용의 ‘TIGER 인터넷TOP10’(8.28%), 삼성자산운용의 ‘KODEX 웹툰&드라마’(7.72%), KB자산운용의 ‘RISE 플랫폼테마’(7.47%) 등도 상승률 상위권을 차지했다.

TIGER 인터넷TOP10은 한국거래소 인터넷TOP10지수를 기초지수로 추종하는 ETF다. 네이버(26.76%), 더존비즈온(26.66%), 카카오(22.61%)를 75% 넘게 담고 있다.

삼성자산운용의 KODEX 웹툰&드라마는 네이버, 카카오 등 웹툰플랫폼사업을 하는 기업들과 CJENM, 스튜디오드래곤 등 드라마산업 관련 기업에 분산투자한다.

이 상품은 에프앤가이드 웹툰&드라마지수를 기초지수로 추종한다. 이날 기준 주요 구성종목을 살펴보면 네이버(20.83%), 스튜디오드래곤(19.75%), 카카오(15.16%), CJENM(13.39%), 위지윅스튜디오(4.74%) 등이 있다.

KB자산운용의 RISE 플랫폼테마는 글로벌 팬 커뮤니케이션 플랫폼기업 디어유(12.24%)를 비롯해 네이버(10.36%), 엠로(9.44%), 한글과컴퓨터(8.42%), SOOP(8.33%), 카페24(7.83%) 등을 포트폴리오에 담고 있다.

이밖에 한화자산운용의 ‘PLUS 글로벌수소&차세대연료전지’와 KB자산운용의 ‘RISE 글로벌수소경제’는 각각 10.99%, 6.97% 오르며 레버리지 상품을 제외한 상승률 순위 2위와 8위를 보였다.

레버리지 상품을 포함하면 이번 주 미래에셋자산운용 ‘TIGER BBIG레버리지’가 11.31% 올라 국내 ETF시장 상승률 1위를 차지했다. 

TIGER BBIG레버리지는 2차전지, 바이오, 인터넷, 게임으로 구성된 한국거래소 BBIG지수의 일간 수익률을 2배로 추종하는 ETF다. 

네이버(7.95%), 엔씨소프트(7.93%), 더존비즈온(7.51%), 삼성바이오로직스(6.64%), 카카오(6.55%), LG에너지솔루션(6.1%), 알테오젠(6.02%), 크래프톤(5.99%) 등을 주요 종목으로 포함하고 있다.

이번 주 국내 ETF시장에는 모두 4종목이 신규 상장했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은 ‘TIGER 미국필라델피아AI반도체나스닥’을 상장했다. TIGER 미국AI필라델피아반도체지수는 기존 필라델피아반도체지수 구성종목 가운데 인공지능 반도체 설계, 생산, 후공정 관련 기업을 선별해 투자하는 ETF다.

올해 9월 미래에셋자산운용과 미국 나스닥 증권거래소가 협업해 산출한 미국AI필라델피아반도체지수(ASOX지수)를 추종한다.

이밖에 KB자산운용의 ‘RISE 미국AI테크액티브’, NH아문디자산운용의 ‘HANARO 바이오코리아액티브’, 교보악사자산운용의 ‘파워종합채권(AA_이상)액티브도 상장했다. 박혜린 기자

최신기사

코스피 외국인 매도세에 3150선 하락 마감, 코스닥은 780선 내려
SK증권 "영원무역 OEM 견조하고 스캇 부진, 3분기 관세 영향 별로"
카카오페이 그룹 내 디지털금융 전략 중심축으로, 신원근 스테이블코인으로 존재감 키운다
금융당국 수장 인선에 코픽스 하락세까지, 은행 예대금리차 확대 제동 걸릴까
SK쉴더스 상반기 실적 부진에 노조 갈등 '이중고', 민기식 경영안정 시험대 올라
폭우에 와이퍼 멈추고 내부로 빗물 뚝뚝, 볼보코리아 품질·서비스 불만에 판매 급감
넥스트레이드 거래 제한 현실화, 김학수 '한국거래소 개장시간 확대' 기다릴 뿐
미국 'AI 데이터센터발 전력난' 이미 현실화, 빅테크 대책 마련 다급해져
E1 'LNG 사업' 확장 박차, 구자용 종합 에너지기업 도약 발판 마련한다
이재명 '전기료 인상' 시사에 반도체·디스플레이 화들짝, 전력 직접구매·자체 발전 늘린다
Cjournal

댓글 (0)

  • - 200자까지 쓰실 수 있습니다. (현재 0 byte / 최대 400byte)
  • -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댓글은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등 비하하는 단어가 내용에 포함되거나 인신공격성 글은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삭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