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번순 고려대학교 아세안문제연구원 아세안센터 연구위원이 4일 고려대학교 아세안문제연구원 연구실에서 비즈니스포스트와 인터뷰를 진행하고 있다. <비즈니스포스트> |
[비즈니스포스트] “한국 금융사들이 인도네시아가 유망하다고 하지만 그렇게 만만한 나라가 아니다.”
박번순 고려대학교 아세안문제연구원 아세안센터 연구위원은 인도네시아 금융시장의 잠재력을 묻는 질문에 이렇게 답했다.
국내 금융회사들이 2억8천여 명의 거대한 인구와 니켈 등 풍부한 자원, 5%대 경제 성장률을 바탕으로 한 장밋빛 전망에 기대 인도네시아에 진출하고 있으나 실상을 들여다보면 위험 요소가 많다는 것이다.
박 연구위원은 30년 넘게 아시아 경제와 국제통상 분야를 연구하고 있는 전문가다.
4일 서울 성북구 고려대학교 아세안문제연구원 연구실에서 박 연구위원을 직접 만나 인도네시아 금융시장과 관련된 자세한 이야기를 들어봤다.
박 연구위원은 현재 인도네시아 루피아의 통화 가치만 살펴만 봐도 경제 성장의 불확실성을 알 수 있다고 지적했다.
박 연구위원은 “인도네시아는 그렇게 좋은 환경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외환위기를 맞았다”며 “외환위기 무렵인 1997년 1달러에 2500루피아 수준이던 것이 지금은 1만5천 루피아인데 이 나라가 아직 대외 경쟁력을 제대로 회복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고 평가했다.
이에 인도네시아 정부가 제조업 육성을 통해 경제 성장을 꾀하고는 있으나 기술력이 뒷받침되지 못하고 있어 금융 수요를 이끌 성장이 이뤄질지 불확실하다고 바라봤다.
게다가 인도네시아시장에는 국내 금융회사뿐 아니라 이미 많은 외국계 은행이 진출해 치열한 경쟁이 펼쳐지고 있는데 외국계 은행의 진출이 활발하다는 것은 한편으로는 불안 요소가 될 수 있다고도 지적했다.
박 연구위원은 “외환위기 전에 230곳 정도 되던 상업은행들이 통폐합되면서 국유은행들이 시장 상위권을 차지하고 있고 인근 동남아 국가들의 은행들도 우리보다 훨씬 광범위하게 인도네시아에 들어가 있다”며 “국내 은행들은 지금 이들 은행보다 낮은 순위를 차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외국계 은행이 많다는 것은 그만큼 시장이 개방된 나라로 볼 수 있어 대단히 위험 요소가 많은 나라로 볼 수 있다”며 “세계 경제의 리스크가 가장 쉽게 전이될 수도 있는 셈이다”고 바라봤다.
하지만 국내 금융회사들이 해외로 사업을 확장하기 위해 선택할 수 있는 국가는 인도네시아 이외에는 별로 없다고 힘주어 말했다.
미국과 유럽 등 선진 금융시장으로 진출하기에는 이미 자리를 잡고 있는 금융회사들과 경쟁을 벌이기 쉽지 않고 중국시장도 이미 중국 금융회사들이 경쟁력을 갖추고 있어 진출이 어렵다는 것이다.
박 연구위원은 “우리나라와 같은 자본 잉여 국가는 우리보다 수익률이 높은 개발도상국으로 가야 한다”며 “사실 우리가 갈 곳은 중국밖에 없지만 중국 금융회사들도 우리보다 훨씬 커진 상태라 우리보다 발전 단계가 낮으면서 상대적으로 성장률이 높은 인도네시아로 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 박번순 고려대학교 아세안문제연구원 아세안센터 연구위원은 인도네시아 금융시장에 많은 외국계 금융회사들이 진출해 있다는 것은 리스크 요인이 될 수 있다고 짚었다. 사진은 고층 빌딩에서 바라본 인도네시아 금융 중심지인 수디르만지역(Sudirman Central Business District) 전경. <비즈니스포스트> |
국내 금융회사가 인도네시아 금융시장에서 우위를 가질 수 있는 경쟁력은 자본력이라고 짚었다.
박 연구위원은 “우리가 국제금융시장에서 자금을 조달하지 않아도 우리 돈을 직접 투자할 수 있다는 것이 인도네시아 현지 은행들보다 나은 점이라고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유일한 경쟁력이라고 볼 수 있는 ‘자본력’을 효율적으로 운용할 방안을 찾는 것이 치열한 인도네시아 금융시장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 생존 전략이 될 수 있다고 조언했다.
박 연구위원은 “대학에서 10년을 강의하면서 항상 학생들에게 우리가 단기적으로 금융 잉여 국가가 될 거라고 강조해 왔다”며 “이 돈을 어떻게 운용할 것인가가 우리의 미래를 좌우하게 될 것이다”고 강조했다.
박 연구위원은 1958년 태어나 고려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고려대학교 대학원에서 경제학 석사학위를,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에서 경영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산업연구원에서 7년, 삼성경제연구소에서는 22년간 연구원으로 근무했고 외교통상부 통상교섭자문위원을 역임했다.
이후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 경제통계학부 부교수로 재직하며 경제학을 가르쳤고 현재 고려대 아세안문제연구원 아세안센터 연구위원을 맡아 아시아에 대한 연구 작업을 이어가고 있다. 조승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