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ournal
Cjournal
시장과머니  해외증시

뉴욕증시 S&P500 지수 장중 최고치, 미국 금리인하 기대에 국제유가도 상승

윤휘종 기자 yhj@businesspost.co.kr 2024-09-18 10:59:53
확대 축소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유튜브 공유하기 url 공유하기 인쇄하기

[비즈니스포스트] 뉴욕증시 주요 지수가 혼조세를 보였다.

현지시각으로 17일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날보다 15.9포인트(0.04%) 내린 4만1606.18에 거래를 끝냈다.
  
뉴욕증시 S&P500 지수 장중 최고치, 미국 금리인하 기대에 국제유가도 상승
▲ 현지시각으로 17일 뉴욕증시가 혼조세로 마감했다. 사진은 뉴욕증권거래소(NYSE)의 모습. <연합뉴스>

대형주 중심 스탠다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1.49포인트(0.03%) 오른 5634.58에, 기술주 중심 나스닥종합지수는 35.93포인트(0.2%) 상승한 1만7628.06에 장을 마쳤다.

S&P500 지수는 장중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기도 했다. 다만 이후 하락해 결국 전날보다 소폭만 상승한 채로 장을 마감했다.

17일 발표된 미국 소매 판매가 예상치를 웃돌면서 뉴욕 증시 주요 지수들이 모두 상승세로 출발했지만 혼조세로 장을 마친 것은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의 금리 결정 발표를 앞두고 시장이 전체적으로 관망세를 취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에서 거래되고 있는 연방기금금리선물은 이번 FOMC 회의에서 기준금리가 0.5%포인트 인하될 확률을 65%, 0.25%포인트 이하로 인하될 확률을 35%로 반영하고 있다. 

국제유가는 대체로 상승했다. 

17일 뉴욕상업거래소에서 10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 원유(WTI)는 전날보다 0.94달러(1.36%) 오른 배럴당 69.96달러에, 런던선물거래소의 브렌트유 11월 인도분은 0.49달러(0.67%) 상승한 73.6달러에 장을 마쳤다. 

FOMC의 기준금리 인하 기대감과 허리케인으로 미국 멕시코만의 석유 생산 시설의 가동이 중단된 여파로 국제유가는 이틀째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윤휘종 기자

최신기사

미국 틱톡 사업권 유지에 오라클 포함 다수 기업 참여, CBS "컨소시엄 꾸린다"
국힘 곽규택 '나경원 옹호' 중 고인된 박지원 배우자 언급, 민주당 "인간이 돼라"
카카오 '오픈AI 협업 결과물' '카톡 개편안' 공개 임박, 정신아 기술 리더십 베일 ..
방사청 KDDX 사업자 선정방식 결정 또 연기, 여당 "당정 협의 필요" 제동
기아 노조 임단협 결렬 선언, 19일 파업 찬반투표 실시
'재매각설' 휴젤 2년 만에 단독대표 전환, 보령 출신 장두현 톡신 해외 확장 속도낸다
[16일 오!정말] 국힘 박성훈 "대통령 탄핵까지 포함해 법적 대응 하겠다"
가스공사 저렴한 미국산 LNG 수혜 기대, 최연혜 글로벌 트레이딩 사업 추가 수익도 모색
비트코인 1억6090만 원대 횡보, 전문가 "4분기 비트코인 이더리움 급등 가능성"
메타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착한 스마트글라스 깜짝 공개, 다양한 기능 지원
Cjournal

댓글 (0)

  • - 200자까지 쓰실 수 있습니다. (현재 0 byte / 최대 400byte)
  • -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댓글은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등 비하하는 단어가 내용에 포함되거나 인신공격성 글은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삭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