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ournal
Cjournal
시장과머니  부동산

7월 전국 미분양 소폭 감소, 준공후미분양 1만6천 가구로 3년9개월 만에 최대

김인애 기자 grape@businesspost.co.kr 2024-08-30 14:34:35
확대 축소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유튜브 공유하기 url 공유하기 인쇄하기

[비즈니스포스트] 전국 미분양물량이 소폭 줄었다. 그러나 준공 후 미분양은 더 늘어나 3년9개월 만에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국토교통부가 30일 발표한 주택통계에 따르면 7월 전국 미분양물량은 7만1822세대로 전월(7만4037세대)와 비교해 3.0% 줄면서 7개월 연속 증가세가 꺾였다.
 
7월 전국 미분양 소폭 감소, 준공후미분양 1만6천 가구로 3년9개월 만에 최대
▲ 전국 미분양물량이 감소했다. 준공 후 미분양은 계속 늘어나고 있다.

미분양물량을 지역별로 보면 수도권은 1만3989세대로 전월 1만5051세대와 견줘 7.1%(△1062세대) 감소했고 비수도권은 5만7833세대로 전월(5만8986세대)보다 2.0%(△1153세대) 줄었다. 

7월 준공 후 미분양물량은 1만6083세대로 전월(1만4865세대)보다 8.0% 증가했다. 지난해 8월부터 12개월 연속 증가해 2020년 10월(1만6084세대) 이후 가장 많았다.

준공 후 미분양물량은 아파트 단지조성이 끝나 입주가 가능한 때까지 분양이 이뤄지지 않은 세대인데 악성 재고로 평가된다. 주택시장 동향을 파악하는데 미분양물량보다 더욱 중요한 지표로 여겨진다.

7월 착공은 1만6024세대로 전월(2만712세대)보다 22.6% 감소했다. 올해 1~7월 누적 착공 물량은 14만3273세대로 전년 같은 기간(11만2412세대)보다 27.5% 증가했다. 

7월 분양물량(주택법상 입주자모집 승인 대상)은 1만2981세대로 전월(2만1655세대)과 비교해 40.1% 감소했다. 올해 1~7월 분양물량(12만5476세대)은 전년(7만9631세대)보다 57.6% 늘었다. 

7월 인허가는 2만1817세대로 전월(2만3886세대)과 비교해 8.7% 감소했다. 올해 1~7월 누적으로 보면 전년(22만2515세대)보다 22.8% 감소한 17만1677세대로 집계됐다.

7월 주택 매매거래량(신고일)은 6만8296건으로 전월(5만5760건)과 비교해 22.5% 증가했다. 올해 1~7월 누적 주택 매매거래량은 37만9047건으로 전년 같은 기간보다 17.4% 증가했다. 

7월 주택 매매거래량을 지역별로 보면 수도권 주택 매매거래량은 3만7684세대로 전월(2만8703세대)보다 31.3% 늘었고 비수도권 주택 매매거래량은 3만612세대로 전월(2만7057세대)과 비교해 13.1% 증가했다. 김인애 기자

최신기사

[오늘의 주목주] '그룹주 동반 하락' 한화오션 6%대 내려, 코스닥 네이처셀 상한가
코스피 이틀 연속 하락하며 2610선 마감, 코스닥도 710선 하락
트렌드포스 "2분기 D램 가격 최대 8% 상승, 미국 관세 가능성에 재고 줄어"
미국 켄터키주 '비트코인 권리법' 통과, 비트코인 1억2770만 원대 횡보
제4인뱅 '1강' 굳히는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 '미참여' KB국민은행도 웃는다
넷플릭스 주식 거시경제 악화에도 '무풍지대' 평가, 저가 요금제 출시 성과
한국ESG평가원, 고려아연 측 이사후보 '지지' MBK·영풍에 '반대'
한양증권 임재택 잔류 이유는? KCGI '잡음 가득' 인수전에 소액주주들 시름
LG전자 미국서 전기레인지 화재 관련 소비자 집단소송 당해, "안전기능 있고, 리콜 조..
리니지 사로잡힌 '내수기업' 엔씨소프트 김택진, 해외 달려가는 경쟁사 부럽네
Cjournal

댓글 (0)

  • - 200자까지 쓰실 수 있습니다. (현재 0 byte / 최대 400byte)
  • -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댓글은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등 비하하는 단어가 내용에 포함되거나 인신공격성 글은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삭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