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금융

10월 소비자심리지수 개선, 경기전망은 비관적

최석철 기자 esdolsoi@businesspost.co.kr 2016-10-26 17:31:34
확대 축소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유튜브 공유하기 url 공유하기 인쇄하기


소비자심리지수(CCSI)가 10월에 소폭 올랐다.

그러나 10월 가계의 경기전망은 삼성전자의 갤러시노트7 리콜 사태와 자동차업계의 파업 등으로 9월보다 악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10월 소비자심리지수 개선, 경기전망은 비관적  
▲ 한국은행이 25일 발표한 ‘10월 소비자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10월 소비자심리지수는 101.9로 집계됐는데 9월보다 0.2포인트 상승했다.<뉴시스>
한국은행이 26일 발표한 ‘10월 소비자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10월 소비자심리지수는 101.9로 집계됐다. 9월보다 0.2포인트 상승했다.

소비자심리지수가 기준치인 100보다 크면 소비자들이 경제를 낙관적으로, 100보다 작으면 비관적으로 본다는 뜻이다.

소비자심리지수는 최근 3개월 동안 오르내림을 반복하고 있다. 8월 101.8에서 9월 101.7로 떨어진 뒤 한 달 만에 다시 올랐다.

가계재정상황도 9월보다 소폭 나아질 것으로 예상됐다. 현재생활형편 지수와 가계수입 전망지수는 각각92와 101로 집계됐는데 9월보다 1포인트씩 올랐다.

다만 소비자들은 경기가 9월보다 악화할 것으로 예상했다.

주성제 한국은행 통계조사팀 과장은 “조선해운업 구조조정 이슈가 지속되고 있고 최근 삼성전자의 갤럭시노트7 리콜 사태와 자동차업계 파업 등이 경기전망지수에 영향을 끼쳤다”고 설명했다.

10월 가계의 경제상황 인식을 부문별로 살펴보면 경기전망지수는 80으로 집계돼 9월보다 3포인트 하락했다. 취업기회 전망지수는 79로 9월보다 1포인트 떨어졌다.

임금수준 전망지수는 113으로 나타났는데 9월보다 1포인트 낮아졌다. 가계부채 전망지수는 98로 집계돼 1포인트 하락했다.

생활형편 전망지수는 98, 소비지출 전망지수는 107로 집계됐는데 9월과 같은 수준을 유지했다. 가계가 생활형편이 더 나아지지 않을 것으로 예상하고 소비를 더 늘리지 않겠다는 것으로 풀이된다.

기대인플레이션률은 10월 기준으로 2.5%로 나타나 9월과 같은 수준을 유지했다. 기대인플레이션률은 앞으로 1년 동안 소비자물가상승률 예측치를 뜻한다.

이번 조사는 12일부터 19일까지 전국 도시 2200가구를 대상으로 진행됐으며 응답가구는 2013가구였다. [비즈니스포스트 최석철 기자]

인기기사

킨텍스 제3전시장 발주 가시화, '6천억' 공사에 대형 건설사 총출동 전망 류수재 기자
LG엔솔 유럽 입지 '단단', EU의 중국 견제 더해져 비중국 세계1위 '청신호' 류근영 기자
‘인간형 로봇’ 삼성전자 ‘서빙·물류로봇’ LG전자, 로봇사업 다른 길 이유 조장우 기자
삼성전자 애플 스마트폰 경쟁 새 국면, 탄소중립 핵심 목표로 떠올라 김용원 기자
SM엔터테인먼트 라이즈로 보이그룹 명가 증명, 올해 사상 첫 매출 1조 기대 조충희 기자
한국전력 기요금 인상 절실, 김동철 ‘전제조건’ 자구안 마련 총력 태세 이상호 기자
증권사 토큰증권 발행 탐색전’ 끝, 추석 이후 플랫폼 선점 경쟁 뜨거워진다 정희경 기자
의원 출신 이학재·함진규 첫 국감, 인천공항·도로공사 카르텔 논란 대응 주목 김대철 기자
우리금융 굿윌스토어와 가을 동행 눈길, 임종룡표 사회공헌 색깔 낸다 김환 기자
비즈니스피플배너

댓글 (0)

  • - 200자까지 쓰실 수 있습니다. (현재 0 byte / 최대 400byte)
  • -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댓글은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등 비하하는 단어가 내용에 포함되거나 인신공격성 글은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삭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