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ournal
Cjournal
기업과산업  전자·전기·정보통신

삼성전자 폴더블 스마트폰 1위 탈환 전망, 중국 화웨이 BOE 추격은 거세져

김용원 기자 one@businesspost.co.kr 2024-06-14 10:19:46
확대 축소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유튜브 공유하기 url 공유하기 인쇄하기

삼성전자 폴더블 스마트폰 1위 탈환 전망, 중국 화웨이 BOE 추격은 거세져
▲ 삼성전자가 올해 폴더블 스마트폰 점유율 1위를 되찾을 것으로 전망되지만 중국 경쟁사의 추격도 거세질 것이라는 예측이 나왔다. <그래픽 비즈니스포스트>
[비즈니스포스트] 삼성전자의 1분기 폴더블 스마트폰 출하량이 중국 화웨이에 밀렸지만 2분기 및 연간 기준으로는 선두를 지킬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다만 화웨이와 아너, BOE 등 중국 기업들과 점유율 차이는 대폭 줄어들 것으로 예상됐다.

14일 대만 경제일보에 따르면 시장 조사기관 카운터포인트리서치는 1분기 전 세계 폴더블 스마트폰용 디스플레이 출하량이 지난해 1분기보다 46% 늘었다는 조사 결과를 전했다.

카운터포인트리서치는 삼성전자가 아닌 중국 화웨이가 이러한 수요 증가를 주도했다고 분석했다. 화웨이는 1분기 폴더블 스마트폰 시장에서 55%의 출하량 점유율로 1위에 올랐다.

폴더블 스마트폰 시장이 열린 뒤 부동의 선두를 지키고 있던 삼성전자가 처음으로 화웨이에 밀려 2위에 그친 것이다.

카운터포인트리서치는 화웨이 ‘메이트X5’ 등 제품이 내수시장을 중심으로 소비자들에 인기를 끌며 폴더블 디스플레이 시장에 미치는 영향력도 그만큼 커졌다고 바라봤다.

하지만 삼성전자는 2분기 및 연간 기준으로 1위 탈환에 성공할 것으로 전망됐다.

경제일보는 시장 조사기관 DSCC의 예측을 인용해 2분기 폴더블 패널 수요가 925만 대 수준으로 지난해 2분기 대비 113% 늘어나며 역대 최대치를 기록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삼성전자가 갤럭시Z플립6 및 Z폴드6 하반기 출시를 위해 본격적인 생산을 시작하며 패널 물량 수급을 늘리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삼성전자의 2분기 폴더블 패널 구매 점유율은 52%로 늘어나며 화웨이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됐다. 이는 폴더블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도 높아진다는 의미다.
 
삼성전자 폴더블 스마트폰 1위 탈환 전망, 중국 화웨이 BOE 추격은 거세져
▲ 삼성전자 갤럭시Z폴드5 및 플립5.
DSCC는 삼성전자의 올해 연간 폴더블 디스플레이 구매 점유율도 48%에 이르며 선두를 지킬 수 있다고 내다봤다. 다만 지난해와 비교하면 6%포인트 감소하는 수치다.

화웨이의 점유율은 지난해 18%에서 올해 28%로, 아너의 점유율은 10%에서 18%까지 상승할 것으로 예측됐다.

폴더블 디스플레이 패널 시장에서 삼성디스플레이는 올해 54% 점유율로 1위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됐다. 다만 지난해와 비교하면 8%포인트 줄어드는 것이다.

화웨이 등에 폴더블 패널을 주로 공급하는 중국 BOE의 연간 출하량 점유율은 28%로 지난해보다 1%포인트 상승할 것으로 전망됐다.

삼성전자와 삼성디스플레이가 올해도 글로벌 폴더블 스마트폰 및 패널 시장을 주도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중국 경쟁사들의 추격은 빨라지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김용원 기자

최신기사

콜마홀딩스 콜마비앤에이치에 이사회 개편 위한 주총 요구, 윤상현 윤여원 남매 '경영권 ..
국힘 지도부 '강제 단일화' 가능성 커지나, 법원 후보자 지위 가처분 신청 기각
DS투자 "넷마블 올해 내내 비용 통제 예상, 게임 8종 출시 대기 중"
DS투자 "KT&G 해외서 담배 잘 나가, 전자담배·건기식 부진은 아쉬워"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 1분기 영업손실 460억 봐 적자전환, "동박 판매량 역대 최소"
고려아연 "MBK·영풍 측 이사 2인 사임해야, 비방과 흠집내기에 골몰"
KT&G 해외궐련이 전자담배·건기식 부진 덮었다, 방경만 차세대 담배 시장 선점 경고등
현대백화점 지주사에 현대홈쇼핑 지분 전량 넘기기로, "행위제한 요건 충족"
이재명 10일 중앙선관위에 대선 후보 등록, 12·3계엄 막은 배우 이관훈 동행
[오늘의 주목주] '호실적과 주주환원' 고려아연 7%대 상승, 코스닥 동진쎄미켐 5%대..
Cjournal

댓글 (0)

  • - 200자까지 쓰실 수 있습니다. (현재 0 byte / 최대 400byte)
  • -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댓글은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등 비하하는 단어가 내용에 포함되거나 인신공격성 글은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삭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