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 호위함 11척 놓고 한국 일본 수주 격돌, HD현대중공업·한화오션 vs 미쓰비시중공업
김호현 기자 hsmyk@businesspost.co.kr2024-05-29 17:12:19
확대축소
공유하기
▲ 일부 전문가들은 HD현대중공업이 9조 원 규모의 호주 호위함 수주에서 일본의 미쓰비시중공업과 함께 앞서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사진은 4월10일 울산에서 열린 최신형 호위함 ‘충남함’ 진수식. < HD현대중공업 >
[비즈니스포스트] 호주 호위함 수주전이 한일 조선업체 간 경쟁이 될 전망이다.
업계는 기술력, 가격 경쟁력 등 호주 정부가 요구하는 여러 조건에서 한국 조선업체가 수주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 있다.
29일 조선업계에 따르면 9조 원 규모의 호주 차기 호위함 수주 입찰 결과가 빠른 시일 내 나올 것으로 보인다.
최근 호주 경제매체 파이낸셜리뷰는 호주 정부가 호위함 입찰에 참가한 HD현대중공업, 한화오션, 미쓰비시중공업(일본), TKMS(독일), 나반티아(스페인) 등 5개 기업에 총 11척의 군함 가운데 먼저 건조할 3척의 계획안을 3주 내인 6월 중순까지 제출하라고 요구했다고 보도했다.
조선업계는 이번 계획안 제출에 5개 기업이 사활을 걸 것으로 보고 있다. 최초 3척 수주 결과에 따라 나머지 8척 호휘함 수주도 사실상 결정되기 때문이다.
업계 전문가들은 이번 입찰이 사실상 HD현대중공업·한화오션과 미쓰비스중공업이 겨루는 한일전이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HD현대중공업은 호주 정부 측이 요구하는 호위함급에 해당하는 충남급(3600~4300톤급) 호위함을 우리 정부로부터 수주해 곧 인도한다. 회사 측은 이미 호주 측이 요구하는 기술력을 충분히 갖추고 있다고 밝혔다.
HD현대중공업의 충남급은 배치(Batch)-3 호위함으로 3500톤급 함정이다. 최대 30노트(시속 55km) 속도를 내고 대공전과 대잠전 능력을 갖추고 있다. 함정 전투체계와 다기능 레이더, 적외선 탐색추적 장비를 통합한 복합 센서 마스트가 강점이다.
한화오션도 지난해 11월 국내서 충남급 호위함 수주에 성공했고, 이 기술력을 바탕으로 입찰 제안서를 전달할 예정이다.
미쓰비시중공업은 2019년 일본 정부로부터 3900톤급 수상전투함인 모가미급 호위함을 수주해 인도한 경험이 있다.
모가미급 호위함은 최대 30노트(시속 55km) 속력에 장사정 함대공 미사일을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중간 심도 EMD(전해 이산화망간) 무인 기뢰 제거 시스템도 장착하는 등 높은 기술 수준의 호위함으로 평가된다.
독일 TKMS, 스페인 나반티아도 호주 호위함급 건조 기술력을 갖추고 있다. 하지만 이 두 기업은 호주 정부가 요구하는 건조 금액을 맞추지 못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 이번 호주 호위함 수주전에서 HD현대중공업이 여러 부문에서 경쟁력을 지닐 것으로 예상했다. 사진은 공군1호기에 걸린 태극기와 호주 국기. <연합뉴스>
호주 정부는 우선 건조하는 3척의 호위함은 각국에서 건조하지만, 나머지 8척은 호주 현지에서 건조해야 한다는 조건을 달았다.
호주 현지 건조는 자국 건조가 아니기 때문에 설비와 인력 등에 더 많은 비용이 들어간다. 호주 정부가 책정한 예산에 따라 계산하면 호위함 한 척의 예산은 8700억 원 가량으로 추산된다.
하지만 이 두 기업은 호주 현지에서 건조될 호위함의 예산을 1조 원 이상으로 제안했다고 전해졌다. 사실상 이들 조선사가 손해를 감수하지 않는 이상 건조 불가능한 수준이라는 분석이다.
이에 비해 HD현대중공업의 충남급 호위함은 1척에 약 4천억 원이다. 또 미쓰비시중공업이 건조한 모가미급은 1척에 4400억 원 수준이다.
국내 조선 업계 일각에선 미쓰비시중공업이 호주 정부가 요구하는 납기일과 예산을 맞추지 못할 것이란 관측을 내놨다. 호주 정부는 9조 원 규모의 예산에 2026년에 건조를 시작해 2029년 인도할 것을 요구했다
업계 관계자는 “수주에는 성능, 가격, 납기 세 박자가 맞아야 하는데, 일본 미쓰비시중공업은 납기와 예산을 맞추지 못할 것”이라고 추정했다.
한편 이번 호주 호위함 사업 수주는 미국, 영국,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의 방위 공동체 ‘파이브 아이즈’와 협력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예측까지 나온다. 호주 정부는 입찰에 참가한 5개 기업에 ‘동맹국과의 상호 운용성’을 핵심 요구사항 가운데 하나로 요구했다. 김호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