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진해운 선박이 하역한 뒤에도 빈 컨테이너 처리 등의 물류문제가 발생하고 있지만 정부는 한진해운의 물류사태 해결에서 역할을 하역작업으로 한정하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6일 한진해운이 하역한 뒤 방치한 빈 컨테이너가 LA항과 롱비치항에서 문제거리가 되고 있다고 보도했다.
|
|
|
▲ 석태수 한진해운 사장. |
한진해운 컨테이너선박이 LA항과 롱비치항에서 하역을 마친 뒤 비어있는 컨테이너는 1만5천여 개다. 터미널 공간이 부족해 항구 주변의 사설 야적장과 주차공간 등에도 방치돼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진해운의 미주노선 운항이 사실상 중단되면서 짐을 실을 컨테이너를 회수할 필요도 없어진 것이다.
빈 컨테이너 자체도 문제지만 한진해운의 빈 컨테이너로 다른 해운사들이 피해를 입을 수 있다는 점이 더 큰 문제라고 월스트리트저널은 지적했다.
컨테이너를 트럭으로 운반할 때 수송장비인 섀시가 필요한데 빈 컨테이너에 섀시가 연결된 상태에서 방치되는 바람에 다른 해운사들이 섀시를 이용하는 데 불편을 겪을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연말 성수기가 다가올수록 물동량이 늘어나 섀시 수요도 급증하면 더욱 문제가 될 수 있다.
LA항은 빈 컨테이너에 연결된 섀시를 이용하기 위해 빈 컨테이너를 보관할 장소를 물색 중이지만 법적절차와 서류작업 등으로 시일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다만 현대상선이 한진해운의 미주노선 대체선박을 정기 운항하기로 하면서 한진해운의 빈 컨테이너를 회수할 길이 열렸다. 현대상선은 한진해운의 빈 컨테이너를 단계적으로 국내로 실어오기로 하면서 한진해운과 운송비용 등을 협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컨테이너가 비어있는 상태에서 회수할 경우 비용이 크고 컨테이너에 짐을 채워 올 경우 화주 모집이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이 때문에 빈 컨테이너 회수에는 적지 않은 시간이 들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한진해운 선박의 하역 이후 온갖 물류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한진해운의 법정관리 절차 개시에 따른 물류대란을 해결하는 데 정부의 역할을 하역작업으로 한정하고 있다.
최상목 기획재정부 1차관은 4일 정부 세종청사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한진해운이 법정관리에 들어가면서 이번 화물문제가 생겼지만 하역까지가 당초 한진해운의 책임”이라며 “한진해운 선박 하역작업 이후에 이뤄지는 화물작업은 관련 기업들이 자율적으로 해결하거나 법정관리의 틀에서 풀어야 한다”고 말했다.
정부는 10월 말까지 한진해운 선박의 하역작업 90% 이상을 끝낸다는 목표를 세워놓고 있다. 6일 해양수산부 발표에 따르면 한진해운이 운영하는 컨테이너선박 97척 중 하역을 마친 선박은 모두 60척이다. [비즈니스포스트 임수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