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진해운이 1600억 원을 확보해 물류대란 해결을 위한 하역작업에 집중하고 있다.
그러나 하역자금을 추가로 마련해야 할 가능성이 있어 물류대란이 최종적으로 해결되기까지 진통이 예상된다.
|
|
|
▲ 유일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
유일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3일 부산신항 한진해운 터미널에서 관계자들과 간담회를 열고 “10월 말까지 전체 한진 컨테이너 선박의 약 90%가 하역 완료되는 등 사태가 해결 국면에 들어서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한진해운은 물류사태를 해결하기 위해 1600억 원의 하역자금을 마련하고 선박 하역작업에 공을 들이고 있다.
그러나 추가 하역자금이 발생하면서 이 자금을 마련하는 데 시간이 걸리게 되면 정부가 제시한 시점보다 물류대란 해결이 지연될 수 있다.
이에 앞서 산업은행이 500억 원, 대한항공이 600억 원, 전현직 대주주가 500억 원을 한진해운에 지원하면서 한진해운은 하역자금 1600억여 원을 마련할 수 있었다.
법원은 최근 한진해운 컨테이너 선박의 하역에 필요한 자금을 1700억 원으로 추산했다. 하지만 자금지원 결정이 늦어지면서 용선료와 연료비 등의 증가로 하역자금 1천억 원가량이 추가로 필요하다는 예상도 나온다.
최상목 기획재정부 1차관은 23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한진해운 관련 진행상황 공동 브리핑에서 “하역 정상화에 필요한 소요비용은 추정하고 있지만 가변적인 부분들이 있다”며 “한진그룹이 보유하고 있는 시재금과 한진해운의 지원액으로 소요비용을 충당할 수 있다”고 말했다. 시재금은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현금을 말한다.
그러나 한진그룹이 한진해운에 추가 자금지원에 선뜻 나설지 의문이다. 대한항공이 한진해운에 600억 원을 지원하는 데 2주의 시간이 지체됐다.
정부와 한진해운은 전 세계 법원에 압류금지명령 신청 등을 통해 하역에 공을 들이고 있다, 그러나 당장에 시급한 건 추가적인 하역자금 마련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업계 관계자는 “하역자금만 있으면 압류금지명령 없이도 당장 하역할 수 있다”며 “정부든 한진그룹이든 한진해운 자금 지원에 선뜻 나서지 않으면서 하역작업이 늦어진 측면도 있다”고 말했다.
정부 발표에 따르면 한진해운이 보유한 컨테이너선 97척 중 법정관리 신청 이후 현재까지 35척이 하역을 완료했다. 33척은 국내 항만으로 되돌아온다. 그러나 29척은 여전히 표류 중이다. [비즈니스포스트 임수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