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ournal
Cjournal
기업과산업  전자·전기·정보통신

"삼성전자 반도체 수율 TSMC보다 훨씬 낮다" 주장 나와, 실적부진 원인 지적

김용원 기자 one@businesspost.co.kr 2024-01-09 14:35:45
확대 축소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유튜브 공유하기 url 공유하기 인쇄하기

"삼성전자 반도체 수율 TSMC보다 훨씬 낮다" 주장 나와, 실적부진 원인 지적
▲ 삼성전자 파운드리 수율이 경쟁사 대비 현저히 낮다는 전문가의 비판이 나왔다. 삼성전자 반도체 파운드리 생산공정에 쓰이는 웨이퍼 이미지. <삼성전자>
[비즈니스포스트] 삼성전자의 시스템반도체 생산 수율이 TSMC를 비롯한 경쟁사와 비교해 매우 낮은 수준에 그치고 있다는 기술 전문가의 주장이 나왔다.

조사기관 퓨처럼그룹에서 기술 전문 선임분석가로 일하는 코리 존슨은 9일 CNBC를 통해 “삼성전자의 실적을 자세히 들여다보고 ‘진짜 이익’에 주목해야 한다”고 말했다.

삼성전자가 이날 발표한 실적에 대한 의견을 묻는 진행자의 질문에 대답한 것이다.

코리 존슨은 삼성전자의 반도체 생산 수율이 형편없다고 지적하며 “TSMC와 같은 경쟁사와 비교해 수율이 훨씬 떨어진다”고 비판했다.

TSMC를 비교 대상으로 했다는 점은 시스템반도체 파운드리 수율을 언급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코리 존슨은 반도체 수율이 한 장의 웨이퍼(원판)에서 얼마나 많은 반도체를 생산할 수 있는지와 직결된다며 결국 낮은 수율은 실적에 부정적인 결과로 이어진다고 말했다.

그는 삼성전자의 실적을 보면 매출과 비교해 영업이익이 크게 줄어들었다는 점이 이를 뒷받침하는 근거에 해당한다는 점도 시사했다.

삼성전자는 이날 2023년 4분기 잠정실적을 발표했다. 매출은 67조 원으로 2022년 4분기 대비 4.9% 줄고 영업이익은 2조8천억 원으로 같은 기간 35% 감소했다.

코리 존슨은 CNBC 방송에서 삼성전자의 반도체 수율 문제를 주로 언급했다. 그러나 TSMC 등 경쟁사와 비교해 수율이 크게 떨어진다고 말한 근거는 명확하게 밝히지 않았다.

삼성전자 영업이익 감소가 전체 실적에서 대부분을 차지하는 메모리반도체 가격 하락 및 수요 부진 때문이라는 점도 언급되지 않았다.

따라서 삼성전자의 이번 실적과 관련해 파운드리 수율을 문제삼은 코리 존슨의 분석을 두고 의문 섞인 시선도 나온다.

코리 존슨은 블룸버그와 더스트리트 등 경제지를 거쳐 여러 조사기관 및 투자기관에서 투자자 겸 펀드매니저로 일하다 팟캐스트 전문 채널 비즈니스팟캐스트네트워크를 설립했다.

비즈니스팟캐스트네트워크는 지난해 10월 글로벌 IT기술 전문 조사 및 투자 자문기관인 퓨처럼그룹에 인수됐다. 김용원 기자

최신기사

유진투자증권 "엔씨소프트, 3분기 적자가 눈에 안들어오는 이유"
SK증권 "넷마블 무난한 실적, 높은 불확실성이 누르고 있는 주가"
대신증권 "F&F, 국내 디스커버리 부진 아쉽지만 중국은 매우 양호"
교보증권 "KT&G 궐련·NGP·부동산 호조세, 건기식만 외톨이 역성장 신세"
비트코인 현재 시세는 '저가매수 기회' 평가, 투자자 매도세 단기간에 집중
교보증권 "농심 3분기 증익 전환, 올해 매출 3.5조 예상"
KT "위약금 면제 조치 정부 조사와 피해 상황 고려해 빠른 시일 내 검토"
한화큐셀 미국 태양광 업체와 패널 재활용 인프라 구축, 연간 50만 장 목표
HD현대 정기선 회장 시대 열다, 37년만의 오너경영 체제 전환에 그룹 재도약 주목
TSMC 실적이 '인공지능 버블 우려 무력화' 평가, AI 반도체 투자경쟁 가속
Cjournal

댓글 (3)

  • - 200자까지 쓰실 수 있습니다. (현재 0 byte / 최대 400byte)
  • -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댓글은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등 비하하는 단어가 내용에 포함되거나 인신공격성 글은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삭제 합니다.
박노성
김승일씨 어떤게 삼성 발목을 잡았나요. 어떤근거로 과거정권이 발목을 잡는지 밝혀주세요.   (2024-01-14 23:40:39)
김승일
반도체는 세계 최고의 소재를 이용해 경쟁에서 한발 앞서야 한다.
소재 한번 바꾸면 정상적 수율까지 끌어 올리는데 6개월~1년 걸릴 수도 있다.
몇년전 소부장 한다고 쌩 난리 칠때 나는 그 여파가 클것 같았다.
tsmc를 쫓아 가려는데 삼성 발못 붙잡은 과거 정부 책임도 크다고 보여진다.
   (2024-01-13 17:27:55)
이동숙
안녕하세요.슬픈 소식이여서 안타갑네요.경험 이라 여기시고 다시 일어설수 있어요 재용씨 희망을 가지고 도전 하는 것이 최우선 입니다.화이팅 이재용 님☺️????????????✊️   (2024-01-12 13:33: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