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ournal
Cjournal
시민과경제  경제정책

"한국 미니면세점, 듀티프리에서 택스프리로 바꿔야"

이지혜 기자 wisdom@businesspost.co.kr 2016-09-11 12:27:47
확대 축소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유튜브 공유하기 url 공유하기 인쇄하기


한국형 미니면세점을 기존의 듀티프리 중심에서 택스프리 중심으로 바꿔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미니면세점은 외국인관광객을 겨냥해 물건을 구입한 장소에서 즉시 세금을 환급해주는 소규모 면세점을 말한다. 한국은 1월부터 미니면세점을 관세나 부가세가 부과되기 전 보세가격으로 상품을 판매하는 듀티프리를 중심으로 운영하고 있다.

  "한국 미니면세점, 듀티프리에서 택스프리로 바꿔야"  
▲ 김해공항 면세점 이미지.
택스프리 면세점은 내국인과 똑같이 상품가격을 지불한 뒤 세금환급창구에서 부가가치세 등의 세금을 환급받을 수 있는 면세점을 말한다. 택스프리 면세점은 외국인관광객을 대상으로 한 수출로 간주된다.

택스프리의 일시체류 외국인이 주로 이용하는 반면 듀티프리는 출국 내국인과 외국인 등이 이용한다.

정수정 중소기업연구원 연구원은 11일 ‘소상공인의 새로운 성장동력: 미니면세점’ 보고서에서 “미니면세점을 듀티프리로 운영하면 특허로 대기업에 적합해 소상공인의 내수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이 적다”고 지적했다.

듀티프리 면세점은 국가의 특허에 따라 사업자가 선정되고 큰 규모의 사업장을 임대해야 하므로 초기에 대규모 투자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에서 대기업에 유리하다.

한국은 대기업이 면세시장의 80%를 점유하고 있으며 판매상품도 명품과 해외상품에 집중돼 내수품 활성화에 큰 보탬이 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 연구원은 “듀티프리 면세점은 서울의 단체관광객을 공략하지만 점차 외국인 관광객이 개별관광객과 재방문 위주로 바뀌고 있다”며 “택스프리 면세점 방식으로 전환해야 개별관광객을 흡수하며 지방까지 효과가 미쳐 소상공인이 내수활성화에 기여하게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미니면세점을 택스프리로 운영하면 개인사업자나 협동조합이 소규모로 면세점을 운영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내수품 위주로 판매하는 소상공인도 면세점시장에 진출해 개별관광객을 소비자로 유치할 수 있게 된다. [비즈니스포스트 이지혜 기자]

최신기사

메리츠증권 5천억 유상증자 결정, 넥스라이즈제일차에 제3자 배정
개인정보보호위 마이데이터 사업 확대에 뿔난 국내 이커머스, "외국에 개인정보 넘기는 것"
법원행정처장 천대엽 '법정모욕' 김용현 변호인들 고발, "사법질서 부정"
스마일게이트 '카제나' 한 달 매출 400억 돌파, 하루에 111만 명 즐겨
삼성, 인도 릴라이언스와 AI 데이터센터·배터리 신사업 협력 확대
코스콤 탄소배출권 위탁매매 중계시스템 구축, 금융기관 시장 참여 기반 마련
[오늘의 주목주] '인적분할 재상장' 삼성바이오로직스 9%대 하락, 코스닥 ISC 16..
NH투자증권 3150억 규모 모험자본 선제 투입, 윤병운 "경제 성장 축에 투자"
DL케미칼·한화솔루션 여천NCC 대여금 3천억 출자전환, 채무상환 목적
구글·앱스토어 30% 수수료 너무해, 넷마블·엔씨소프트 자체 결제로 '탈 마켓'
Cjournal

댓글 (0)

  • - 200자까지 쓰실 수 있습니다. (현재 0 byte / 최대 400byte)
  • -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댓글은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등 비하하는 단어가 내용에 포함되거나 인신공격성 글은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삭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