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자주] 2023년은 기상 관측 이래 지구가 가장 뜨거운 해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뜨거워진 지구는 인류에 이전과 다른 극단화된 기후를 보여줬다. 지구촌 곳곳은 전례없는 폭염과 한파, 가뭄과 홍수를 겪었다. 기후위기는 정치, 경제, 산업 등 인류 생활 전반에 강한 영향을 미쳤다. 비즈니스포스트는 지난 1년 동안 기후리스크와 국제대응뿐 아니라 기후스튜어드십, 기후테크, 워터리스크 등 기후변화로 인해 달라지고 있는 산업, 금융 현장의 트렌드들을 취재해 심층 보도했다. 그 중 핵심 이슈를 되짚어 본다. ① 기후재난 심화에도 인류는 허둥지둥, 숙제는 2024년으로 ② 세계 큰손들의 기후행동 본격화, ‘기후스튜어드십’ ③ '워터리스크' 한국도 예외 아니다, 삼성 등 대응 분주 ④ 물 문제는 이제 국가 안보, 워터리스크 대응에 진심인 국가들 ⑤ 수십조 투자 끌어들이는 시장, 기후테크가 뜬다 ⑥ 묻혀가는 기후위기 대응 법안, 다음 국회서 빛 볼 날 기다린다 |
▲ 대만 신주과학단지에 산업용수를 공급하는 바오샨 제2저수지와 댐 전경. <비즈니스포스트> |
▲ 싱가포르 마리나 베리지에서 바라본 싱가포르 도심의 모습. 마리나 베리지는 싱가포르의 도심 인근에 지어진 만큼 시민들의 접근 가능성도 고려해 지어졌다. 마리나 베리지에서는 싱가포르의 주요 지역을 한 눈에 볼 수 있으며 공원으로도 활용되고, 수상활동도 가능하다. <비즈니스포스트> |
▲ 사우디아라비아 제다 인근 수로 시설의 모습. 사우디아라비아는 거의 비가 내리지 않는 건조한 지역인 만큼 수로시설도 평상시에는 말라있다. <비즈니스포스트> |
▲ 일본 구마모토현에 위치한 소니의 협력농가 소유 밭의 모습. 작물을 재배하지 않을 때 밭에 물을 채워 지하로 스며들게끔 하고 있다. 표지판에는 소니가 2003년부터 지하수 보충 프로그램을 시작했다는 내용이 적혀 있다. <소니> |
<저작권자(c) 비즈니스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이상호 기자의 다른기사보기쿠팡 연매출 40조 만든 김범석의 양 날개, 법조인 출신 강한승과 창업공신 박대준 |
쿠팡 성장의 아킬레스건 '노동문제', 김범석 근본적 변화 없으면 글로벌도 없다 |
김범석 쿠팡 연매출 40조도 배고프다, 해외진출 해답이 '대만'인 이유는 뭘까 |
금감원 통신사에 '금융서비스 인증 강화' 권고, SK텔레콤 해킹 사고 여파 |
중국 미국산 반도체에 물린 보복 관세 철회 조짐, 외신들 '무역 현장' 변화 전해 |
코스피 11거래일 만에 돌아온 외국인에 2540선 위로, 코스닥도 강보합 마감 |
LX하우시스 1분기 영업이익 71억 내 78% 급감, 전방시장 침체·원료값 상승 |
SK온, 미국 중저가 전기차 제조사에 4조 규모 배터리 공급 |
우리금융지주 1분기 순이익 6156억으로 25.3% 감소, 주당 200원 분기 배당 |
서울시 중계본동 백사마을 정비사업 가결, 3178세대 규모 아파트로 탈바꿈 |
BNK금융지주 1분기 순이익 1666억으로 33% 감소, 대손비용 확대 영향 |
이마트 실적 개선 탑승하다, 한채양 점포는 '확장' 내부는 '절감' 전략 성과 |
국힘 경선 일대일 토론회, 홍준표 "윤석열에 깐족대고 시비" 한동훈 "대통령 옆 아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