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정성립 대우조선해양 사장. |
정성립 사장이 1조 원으로 대우조선해양을 위기에서 구해낼 수 있을까?
대우조선해양은 금융당국이 이미 약속한 1조 원 외에 추가적인 자금지원을 하지 않겠다는 방침을 정해 앞으로 채권단에게 더이상 손을 내밀 수 없게 됐다.
정 사장은 1조 원을 동앗줄 삼아 자본잠식과 인도지연, 수주절벽 등 3중고를 겪고 있는 대우조선해양을 수렁에서 건져내야 하는데 앞길이 만만치 않을 것으로 보인다.
◆ 대우조선해양, 1조 원이 마지막 지원자금
9일 업계에 따르면 대우조선해양이 산업은행으로부터 애초 약속한 1조 원을 지원받기로 했지만 더이상 추가지원이 없다는 방침이 확고해지면서 이 1조 원으로 경영정상화를 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기획재정부는 8일 ‘조선·해운업계 구조조정 연석청문회’에서 “대우조선해양에 기존에 지원하기로 한 4조2천억 원 이외에 추가로 신규자금을 지원할 수 없다”고 밝혔다.
산업은행은 지난해 10월 대우조선해양에 4조2천억 원의 자금을 지원하기로 했는데 현재까지 대출 2조8천억 원, 유상증자 4천억 원이 집행됐다. 대우조선해양으로서는 남은 1조 원이 마지막으로 기댈 수 있는 언덕인 셈이다.
정성립 사장은 청문회에서 “대우조선해양의 미래에 대해 상당히 불안해 하는데 4만 명을 이끌고가는 수장으로서 자신있게 말한다”며 “4조2천억 원의 한도 안에서 지원해주면 더 이상 추가지원 없이 대우조선해양을 정상화시키겠다”고 약속했다.
하지만 1조 원으로 대우조선해양이 정상화될지는 불확실하다.
대우조선해양은 2분기에 순손실 1조2209억 원을 내며 자본총액이 마이너스로 돌아서 완전자본잠식 상태에 빠졌다. 올해 말까지 최소 1조2천억 원이 넘는 자본을 확충하지 못하면 한국거래소로부터 즉시 상장폐지를 당할 수 있다.
한영수 삼성증권 연구원은 “대우조선해양은 대형 조선사 가운데 재무상태가 가장 부실하다”며 “미래 현금흐름도 불확실해 여러모로 현금조달에 가장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진단했다.
대우조선해양이 자금지원을 충분히 받지 못해 상장폐지라는 최악의 사태에 직면할 경우 국제 해운업계로부터 선박수주를 할 수 없는 상황에 몰릴 수도 있다.
◆ 정성립, 구조조정 가속화 주문에 어떻게 대응할까
대우조선해양이 자금지원에서 마지노선이 설정된 만큼 정 사장은 자구계획안 이행에 더욱 속도를 낼 수밖에 없게 됐다. 그러나 자구안 이행 속도를 놓고 불안한 시각도 폭넓게 존재한다.
한영수 연구원은 “대우조선해양의 구조조정 진행 속도가 경쟁사보다 늦어지고 있는 점이 수주경쟁력에 부담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했다.
대우조선해양은 현재 비핵심자산 매각과 인력 구조조정 등을 포함한 5조3천억 원 규모의 자구안을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현대중공업과 삼성중공업의 자구안 추진속도와는 속도차이가 난다.
현대중공업은 최근 설비지원부문을 현대중공업MOS로 분사하며 일부 인력을 외주화했고 곧 로봇사업부도 분사할 계획을 세워놨다. 삼성중공업도 2018년까지 전체인력의 30~40%를 감원하겠다는 계획을 달성하기 위해 희망퇴직을 진행하고 있고 임직원들로부터 임금도 반납받고 있다.
하지만 대우조선해양은 자구안을 이행하는 데 고전하고 있다.
정 사장은 정년퇴직 등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퇴직자를 통해 2020년까지 직영인력의 20%를 줄이겠다는 방침을 세워놨다. 무리하게 인력감원을 추진하지 않겠다는 것이다.
게다가 서울 본사사옥과 마곡부지 등 자산매각도 투자자를 찾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대해 대우조선해양 관계자는 “경영진이 1조 원의 자금지원만을 가지고 경영정상화를 할 수 있다고 약속했으니 결과를 지켜봐야 알 것”이라며 “아직 구조조정 가속화에 대한 논의는 나오지 않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희망퇴직을 진행하려면 충분한 유동성이 있어야 하지만 현재 자금이 충분히 확보되지 않은 상황”이라며 “소난골 프로젝트가 인도돼 자금이 유입되면 올해 말이나 내년에 희망퇴직을 진행할 수도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