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과산업  바이오·제약

신동빈, 한국롯데에 대한 일본 주주 지배력 확대 어떻게 푸나

김재창 기자 changs@businesspost.co.kr 2016-09-01 17:09:02
확대 축소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유튜브 공유하기 url 공유하기 인쇄하기


  신동빈, 한국롯데에 대한 일본 주주 지배력 확대 어떻게 푸나  
▲ (왼쪽부터)신격호 롯데그룹 총괄회장,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 신동주 전 일본 롯데홀딩스 부회장.

신격호 롯데그룹 총괄회장에 대해 법원이 ‘한정후견’ 판단을 내리면서 신동빈 회장이 ‘원리더’로서 유리한 고지를 선점하게 된 반면 신동주 전 일본롯데홀딩스 부회장은 입지가 더욱 좁아지게 됐다.

그러나 호텔롯데 상장이 지연되고 검찰수사로 신 회장이 궁지에 몰릴 경우 한국 롯데그룹에 대한 일본 주주의 지배력이 확대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1일 업계와 법조계에 따르면 법원의 이번 판결로 신 전 부회장이 롯데그룹 지배구조의 정점에 있는 광윤사의 대표 및 최대주주 자리를 빼앗길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광윤사는 신 총괄회장의 위임장을 근거로 2015년 10월 주총을 열어 신 총괄회장의 지분 1주를 신 전 부회장에게 넘겨주는 거래를 승인했다.  또 신 회장을 등기이사에서 해임하고 신 총괄회장을 대신해 신 전 부회장이 광윤사 대표로 선임됐다. 이로써 신 전 부회장은 광윤사의 지분 '50%+1주' 를 보유한 최대주주에 올랐다.

신 회장은 1월 일본 법원에 “신 총괄회장의 판단력에 문제가 있는 만큼 주총의 근거가 된 위임장은 무효”라며 광윤사 주총 및 이사회 결의사항을 취소해 달라는 소송을 제기했다.

만약 일본 법원이 한국 법원의 한정후견 개시 결정을 참조해 신 회장의 손을 들어준다면 신 전 부회장은 광윤사 대표와 과반 최대주주 지위를 모두 잃게 된다. 

이렇게 되면 롯데그룹에 대한 영향력을 전혀 행사할 수 없게 된다는 얘기다. 결과적으로 지난해부터 1년 넘게 이어진 롯데그룹 경영권 분쟁은 신 회장의 승리로 막을 내릴 가능성이 높다.

신 전 부회장은 경영권 분쟁 과정에서 줄곧 ‘아버지의 뜻’을 내세웠는데 이번 법원의 판결로 그의 발언도 힘을 잃을 수밖에 없게 됐다.

롯데그룹은 법원의 판결 직후 입장자료를 통해 “정상적인 의사결정을 하기 어려운 신 총괄회장의 건강상태가 그릇되게 이용된 부분들은 순차적으로 바로 잡아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신 회장이 유리한 고지를 점했다고 하지만 안심할 수 있는 단계는 아니다. 검찰 수사가 장기화하면서 신 회장이 야심차게 추진했던 호텔롯데 상장이 사실상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호텔롯데 상장은 지주사 전환과 호텔롯데에 대한 신 회장의 지배력 확보, 핵심 계열사 지배로 이어지는 ‘원롯데-원리더’ 확립의 첫 단추로 꼽힌다.

호텔롯데 상장이 무산된 것은 일본 주주들의 지배를 받는 롯데그룹의 지배구조를 바꿀 수 있는 계기가 사라졌다는 의미도 있다.

호텔롯데는 롯데쇼핑(지분율 8.83%), 롯데알미늄(12.99%), 롯데리아(18.77%) 등의 주요 주주인데 사실상 한국 롯데그룹의 지주회사 역할을 하고 있다.

하지만 호텔롯데의 최대주주는 12개 L투자회사들(지분율 72.65%)이고 여기에 일본 롯데홀딩스의 지분(19.07%)까지 더하면 사실상 일본 롯데 계열사들이 호텔롯데 지분의 99%를 보유하고 있다.

호텔롯데의 상장으로 일본 주주들의 지분율이 떨어지면 일본 롯데홀딩스 지분율이 1%대로 미미한 신 회장 개인의 경영권 안정 측면에서도 도움이 된다.

재계의 한 관계자는 “신 회장이 호텔롯데 상장을 통해 기대한 가장 큰 효과는 수조 원의 공모자금이 아니라 일본 국적 논란 해소인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신 회장은 2015년 9월 국감에서 “중장기적으로 일본 주주 비중을 50% 아래로 낮추고 일반 주주의 비중을 절반 이상으로 늘리겠다”고 말했다.

안상희 대신경제연구소 지배구조연구실 연구위원은 “롯데그룹은 일본 기업화 가능성이 전혀 없다고 보기 어렵다”며 “지배구조에 대한 부분을 더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안 연구위원은 “(신 회장 입장에서) 호텔롯데 상장 등 지배구조 개선을 미루지 않고 추진해야 한다”며 “이 부분이 이뤄지지 않으면 경영권 분쟁도 더 미궁에 빠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비즈니스포스트 김재창 기자]

비즈니스피플배너

인기기사

엔비디아 TSMC 의존 끊는다, 젠슨 황 CEO "삼성전자 인텔 파운드리도 활용" 김용원 기자
JYP엔터 자체 플랫폼 구축 시동, SM 카카오 하이브 3각 관계 속 독자노선 찾나 임민규 기자
없어서 못 파는 엔비디아 AI 칩, 이재용 삼성전자 파운드리 수주 기회 잡나 나병현 기자
LG엔솔 스텔란티스 배터리공장 무산 위기, 캐나다에선 연방정부 비판 목소리 이근호 기자
인공지능 열풍에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반도체 수혜, 파운드리는 TSMC '독식' 김용원 기자
버블 운영사 디어유 “JYP 자체 팬플랫폼 개발 사실 아냐, 관계 공고 ” 임민규 기자
윤석열 공들인 테슬라 전기차공장 인도로 '유턴', 한국 유치 불확실성 커져 김용원 기자
유명 팁스터 "퀄컴, 스냅드래곤8 4세대의 삼성전자 3나노 활용 계획 취소" 나병현 기자
키움증권 "포스코홀딩스 2차전지 소재 부각, 4분기 광양 리튬공장 가동" 허원석 기자
이베스트증권 “엘앤에프, 하이니켈 양극재로 고객 다변화와 마진 확대” 류근영 기자

댓글 (0)

  • - 200자까지 쓰실 수 있습니다. (현재 0 byte / 최대 400byte)
  • -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댓글은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등 비하하는 단어가 내용에 포함되거나 인신공격성 글은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삭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