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철강산업이 인구절벽에 따른 생산가능인구 감소의 여파를 정면으로 맞을 것으로 보여 대책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됐다.
포스코경영연구원은 1일 ‘철강산업에 다가오는 인구절벽 충격’이라는 보고서를 통해 인구절벽 충격에 철강산업이 특히 취약하다며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
|
|
▲ 경제학자 해리덴트. |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저출산 및 고령화가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고 인구절벽의 충격에 대한 경고가 제기되고 있지만 대응은 미흡하다.
미국의 경제학자 해리덴트는 “한국이 2018년 이후 인구절벽 아래로 떨어지는 마지막 선진국이 될 것이며 경제가 내림세를 보이기 시작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미 인구고령화를 겪은 선진국의 사례를 보면 특히 철강수요의 원천인 제조업과 건설업이 위축하는 추세를 보이며 철강업 근로자들의 고령화 부작용도 발생했다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가령 독일의 경우 철강업 근로자의 35.3% 50세 이상이며 근로자들은 과중한 업무로 안정 및 건강상의 문제를 겪고 있다.
일본도 고령화가 진행되면서 경제성장세가 둔화하고 있는데 경제성장률과 생산가능인구 증감률은 높은 연관성을 보이고 있고 특히 철강소비도 생산가능인구 증감률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즉 고령화로 생산가능인구가 감소하면서 철강소비도 즉각적인 영향을 받았다는 것이다.
일본의 경제상황을 시차를 두고 따라가는 한국은 2017년부터 생산가능인구가 감소세를 보이면서 철강소비도 줄어들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일본의 경우 1995년 생산가능인구 수가 최고점을 찍은 뒤 꾸준히 감소하면서 20년 뒤 철강소비는 81% 수준으로 떨어졌다.
세계 최대 철강생산국인 중국도 2015년부터 생산가능인구가 줄어들기 시작하면서 머지않아 철강소비도 감소세를 보일 것으로 보고서는 내다봤다.
중국의 철강소비는 2013년 7억6600억 톤 상당에서 향후 5억4천~6억2천 톤까지 하락할 것으로 점쳐진다.
포스코경영연구원은 생산가능인구 감소에 대비해 철강회사들이 △인도, 동남아시아, 중동, 아프리카 등을 대상으로 한 해외사업 확대 등 장기생존 계획 수립 △로봇 및 바이오 등 미래 신사업 발굴 △베이비붐 세대 대거 퇴직에 대비한 노하우 전수 및 인더스트리 4.0의 적용 확대 △저출산 및 고령화 정책에 부응하는 재택근무제 시행 등의 대책을 세워야한다고 강조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임수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