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ournal
Cjournal
시민과경제  기후환경

북그린란드 빙붕 1978년 이후 35% 감소, 다 녹으면 해수면 2.1m 상승

이상호 기자 sangho@businesspost.co.kr 2023-11-08 12:22:03
확대 축소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유튜브 공유하기 url 공유하기 인쇄하기

북그린란드 빙붕 1978년 이후 35% 감소, 다 녹으면 해수면 2.1m 상승
▲ 북극해 일대 바다에 얼음이 떠 있는 모습. <연합뉴스>
[비즈니스포스트] 북그린란드 빙붕이 최근 40여 년 동안 3분의 1 이상 줄어든 것으로 밝혀졌다.

빙붕이 녹아 사라지는 주된 원인으로는 따해진 대서양 해수의 유입이 꼽혔다.

8일 국제 과학저널인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에는 이같은 내용이 담긴 프랑스 국립과학센터(CNRS), 그르노블 알프스대학의 로맹 밀란 박사 연구팀의 연구논문이 게재됐다.

빙붕(氷棚, ice shelf)은 대륙과 이어져 바다에 떠 있는 300~900m 두께의 얼음 덩어리다.

북그린란드 일대의 빙붕은 오랜 기간 안정적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이번 연구 결과를 보면 북그린란드의 빙붕은 1978년 이후 35%가 감소했다.

빙붕 8개 가운데 3개는 ‘완전히 붕괴(collapsing completely)’ 됐으며 나머지 빙붕 역시 빠르게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북그린란드 빙붕을 녹아 사라지게 만드는 중요한 원인으로는 해수 온도 상승이 제시됐다. 따뜻해진 대서양의 해수가 유입되면서 빙붕을 유지하는 열적 균형이 깨졌다는 것이다.
 
북그린란드 빙붕 1978년 이후 35% 감소, 다 녹으면 해수면 2.1m 상승
▲ 프랑스 국립과학센터(CNRS), 그르노블 알프스대학의 로맹 밀란 박사 연구팀의 연구논문에 실린 북그린란드 일대 빙붕 감소 상황. <'Rapid disintegration and weakening of ice shelves in North Greenland' 논문 중 발췌>
빙붕의 소멸은 인근 빙상의 소멸로도 이어진다. 빙상(氷床, ice sheet)이란 육지를 5만㎢ 이상 덮고 있는 빙하 얼음 덩어리를 이른다.

빙붕은 빙상 인근 바닷물을 식혀 빙상이 녹지 않고 유지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해수 온도의 상승으로 빙붕이 줄고 빙상까지 줄어들기 시작하면 전 지구적으로는 해수면이 상승하는 효과로 이어지게 된다.

북그린란드 빙붕의 감소는 2006년부터 2018년 사이 해수면 상승에 17.3%를 기여한 것으로 조사됐다.

북그린란드 일대의 전체 얼음 규모는 모두 녹았을 때 지구의 해수면을 2.1m 높일 정도인 것으로 파악된다.

연구진은 “빙붕이 제공하는 버팀목이 사라진다면 북그린란드 일대의 빙하가 해수면 상승에 기여하는 속도가 매우 빨라질 수 있다”고 말했다. 이상호 기자

최신기사

일론 머스크 중국에서 인기 상승, 트럼프와 관계 악화에 "10억 명 우군 확보"
신한은행 하반기 경영전략회의, 정상혁 "핵심 역량은 진정성 있는 고객관리"
서경배 아모레퍼시픽 회장 차녀 서호정씨 오설록 입사, 후계 구도 변화 주목
유안타증권 "한국 조선사 미국 함정 완전 건조 가능성 낮아, 블록 건조가 현실적"
리비안 폴크스바겐에서 10억 달러 투자 확보, 신모델 'R2' 성과에 명운 걸려
키움증권 "LG이노텍 하반기도 실적부진, 아이폰17 카메라 사양 변화 제한적"
DS투자 "대웅제약 믿고 보는 나보타, 뒤를 받쳐주는 펙수클루"
TSMC 첨단 파운드리 독점체제 굳힌다, 삼성전자 인텔 1.4나노 경쟁도 '불안'
DB증권 "현대로템 목표주가 상향, 폴란드 K2 2차 계약 역대 최대 9조 규모"
IBK투자증권 "KT 목표주가 상향, 2분기 영업이익 시장 전망치 웃돌아"
Cjournal

댓글 (0)

  • - 200자까지 쓰실 수 있습니다. (현재 0 byte / 최대 400byte)
  • -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댓글은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등 비하하는 단어가 내용에 포함되거나 인신공격성 글은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삭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