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ournal
Cjournal
기업과산업  바이오·제약

FCA코리아 포드코리아 아우디폭스바겐코리아 리콜

김수정 기자 hallow21@businesspost.co.kr 2016-08-29 18:13:35
확대 축소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유튜브 공유하기 url 공유하기 인쇄하기


피아트크라이슬러(FCA)코리아 등 3개 수입차 회사에서 판매한 7개 차종 1만여 대가 자동차 제작 결함으로 리콜명령을 받았다.

국토교통부는 FCA코리아, 포드세일즈서비스코리아, 아우디폭스바겐코리아가 수입판매한 차량 가운데 1만488대에서 제작결함이 발견돼 시정조치를 내렸다고 29일 밝혔다.

  FCA코리아 포드코리아 아우디폭스바겐코리아 리콜  
▲ 정재희 포드세일즈서비스코리아 대표.
FCA코리아가 수입판매한 지프 그랜드 체로키와 300C는 기어 위치에 대한 경고장치가 충분하지 않은 점이 지적됐다.

그랜드 체로키는 할리우드 배우 안톤 옐친이 6월19일 사고로 사망하면서 문제점이 발견됐다.

리콜 대상차량은 2013년 3월27일부터 2015년 12월1일까지 제작된 지프 그랜드 체로키 3272대, 2011년 9월8일부터 2014년 11월17일까지 생산된 300C 승용차 1768대다.

이밖에 지프 그랜드 체로키 승용차 2198대는 선바이어 램프배선 결함으로 리콜명령을 받았다. 2010년 7월20일부터 2012년 8월31일까지 제작된 차량이 해당한다.

램프 배선과 루프 패널의 간섭이 일어나 배선이 손상될 경우 램프 오작동과 화재가 발생할 가능성이 지적됐다.

또 그랜드 보이저 승용차 6대는 변속기 내부 오일펌프의 제작결함으로 이번에 리콜대상에 포함됐다. 2015년 9월14일부터 30일까지 제작된 차량이 해당한다.

포드세일즈서비스코리아에서 수입판매한 몬데오 승용차 2046대는 소프트웨어 오류로 LED전조등, 차폭 등이 갑자기 꺼져 주행 중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발견됐다. 2014년 5월3일부터 올해 6월14일까지 제작된 차량이다.

MKX 승용차 1197대는 브레이크 부스터 다이아프램의 제작결함으로 리콜대상에 포함됐다.

아우디폭스바겐코리아에서 수입판매한 벤틀리 컨티넨탈 플라잉 스퍼 승용차는 선루프의 창유리 패널이 오염될 경우 차량에서 떨어져나갈 위험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2008년 6월26일에 제작된 차량 1대가 리콜대상에 올랐다. [비즈니스포스트 김수정 기자]

최신기사

IBK투자 "카카오 조용한 1분기, 그러나 하반기는 다르다"
IBK투자 "넷마블 신작 러시와 수익성 개선으로 다음 스테이지 입성"
IBK투자 "BGF리테일 영업이익 내려앉았다, 중대형 출점 전략은 합리적"
한국타이어 1분기 매출 두 배 넘게 뛰며 4.9조, 영업이익은 11% 감소
네이버 'AI 전략' 통했다, 이해진 복귀 첫 1분기 역대 최대 실적 썼다
[여론조사꽃] 이재명 한덕수에도 과반, 이재명 51% 한덕수 28% 이준석 5%
IBK투자 "신세계푸드 단체급식 의존도 감소, 노브랜드 버거 확대"
비트코인 시세 올라 마이크로스트래티지 주가도 최고치, 보유자산 가치 상승
[여론조사꽃] 이재명 '3자 대결'서 과반, 이재명 52% 김문수 21% 이준석 5%
IBK기업은행 BNK부산은행, 금융위 기술금융평가 대형은행과 소형은행부문 각각 1위 올라
Cjournal

댓글 (0)

  • - 200자까지 쓰실 수 있습니다. (현재 0 byte / 최대 400byte)
  • -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댓글은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등 비하하는 단어가 내용에 포함되거나 인신공격성 글은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삭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