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건설시장이 성장세를 보이고 있지만 우리나라 기업의 해외건설·플랜트사업의 수주실적은 부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경제연구원은 수익성이 높은 투자개발형사업의 수주비중을 늘려야 한다고 주문했다.
|
|
|
▲ 한화건설이 2019년 완공을 목표로 건설하고 있는 이라크 비스마야 신도시 조감도. |
18일 한국경제연구원이 공개한 ‘기업의 해외수주 활성화를 위한 금융지원 강화 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2015년 세계 건설시장의 규모는 2014년보다 4% 성장한 8조8천억 달러로 추정된다.
그러나 2015년 우리나라 기업의 해외건설·플랜트사업 수주액은 461억 달러로 2014년의 660억 달러보다 30.1%나 급락했다. 올해 들어서도 1월부터 8월 중순까지 해외건설·플랜트사업 수주액은 170억6천만 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의 55% 수준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시공기업이 사업개발과 지분투자, 설비운영 등 전 과정에 참여하는 투자개발형사업의 비중은 2015년 기준으로 해외건설·플랜트사업 수주액의 3%에 불과했다.
반면 발주자가 금융 등 전반을 담당하고 시공기업이 단순시공과 설계, 조달 등을 맡아 수익성이 떨어지는 단순도급형 사업이 97%로 절대적인 비중을 차지했다.
이태규 한국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최근 투자개발형 해외발주 사업이 증가하는데 우리나라는 전체 해외수주 실적에서 투자개발형사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낮은 점이 문제”라고 말했다.
이 연구위원은 “최근 중동의 주요 국가들이 저유가로 재정상황이 악화하면서 재정을 직접 투입하기보다 투자개발 형태나 시공자 금융제공 등의 형태로 인프라 건설을 추진하고 있다”며 “우리나라도 현재 3%에 불과한 투자개발형사업의 수주 비중을 앞으로 5년 동안 10%까지 높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국경제연구원에 따르면 투자개발형사업은 수익률이 단순도급형 사업의 2~3배에 이르고 수요도 높다.
한국경제연구원은 투자개발형사업의 수주가 부진한 원인으로 자금조달 능력의 부족을 꼽았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려면 현재 23억9천만 달러에 불과한 정책금융형 해외인프라 펀드를 60억 달러 규모로 확대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 연구위원은 “투자개발형사업은 막대한 비용과 긴 시간이 소요되므로 적절한 금융조달없이는 사업수주와 완수가 어렵다”며 “우리나라는 건설프로젝트에 전문성을 갖추고 대규모 자금을 장기간 공급할 수 있는 민간 금융회사가 거의 없어 기업들이 수주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설명했다.
현재 우리나라는 정책금융형 해외인프라 펀드로 각각 3억9천만 달러, 20억 달러 규모의 글로벌인프라펀드(GIF)와 코리아해외인프라펀드(KOIF)를 운영하고 있다.
한국경제연구원은 또 한국투자공사(KIC)와 국민연금 등 우리나라 공적 연기금의 대체투자 비중이 주요국에 비해 낮은 편이라며 대체투자 확대 차원에서 투자개발형사업에 대한 투자를 늘릴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조은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