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자주] 폭우와 홍수, 가뭄과 폭염 등 기후재앙이 지구를 휩쓸고 있다. 지구평균기온이 산업화 이전 대비 ‘1.5도’ 즉 임계점을 넘어설 것이라는 경고의 목소리가 높아진다. 전 세계는 2050년 온실가스 순배출량을 제로(0)로 만들겠다는 ‘탄소중립’ 목표를 향해 달리기 시작했다. 이 가운데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는 분야가 있다. 바로 기후테크다. 온실가스 배출 감소 기후변화를 해결하는 데 도움을 주는 모든 범위의 기술을 총칭한다. 온실가스 감축과 기후변화 적응 문제는 기술적 혁신을 제외하고 해결하기 어렵다. 이에 각국 정부와 국제기구뿐 아니라 일론 머스크와 마이크로소프트, 삼성, SK, LG, 한화 등 국내외 대기업들은 저마다 기후테크와 핵심기술 보유기업에 투자하고 나섰다. 비즈니스포스트는 혁신적 기술로 희망을 만들고 있는 기후테크, 기술기업과 투자자 등 관련 전문가들을 소개함으로써 기후위기의 해법을 조망하고자 한다. [기후테크가 뜬다] '인류 미래가 걸린 기술', 한국 경제규모 2배의 시장이 열린다 [기후테크가 뜬다] (1-1) ‘수소 혼소율 세계 최고’ 한화임팩트, LNG 발전 친환경화 [기후테크가 뜬다] (1-2) 좌초자산 LNG 가스터빈 되살린다, 한화임팩트 수소 전소·수명연장 기술 [기후테크가 뜬다] (2) 초전도체 없이 핵융합 발전, MS 계약한 헬리온에너지 [기후테크가 뜬다] (3) 암모니아를 전기로 변환한다, 실리콘밸리의 한국 벤처 아모지 |
▲ 지구 온난화 속도가 가팔라지고 기후재앙이 증가하면서 기후테크 투자 필요성이 증대하고 있다. 보스턴컨설팅그룹은 3조5천억 달러(약 4400조원), 국제에너지기구는 5조 달러(약 6300조 원)가량의 투자가 매년 필요하다고 전망한다. 한국 정부는 6월22일 기후테크에 2030년까지 145조 원을 민관합동으로 투자하겠다고 발표했다. |
▲ 정부는 산업기술혁신펀드 내 전문펀드와 초격차 펀드로 4천억원 이상 조성하고 기업형 벤처캐피탈(CVC), 임팩트 투자 등 기업 ESG 활동과 연계한 2천억원 규모의 민간 투자를 활성화하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사진은 중소벤처기업부가 20일 서울 강남구 팁스타운에서 연 친환경·에너지 분야 스타트업 간담회 장면. 이 자리에는 테라블록, 엘디카본, 엔라이튼, 원광에스앤티, 인투코어테크놀로지 등 초격차 창업기업 1,000+ 사업의 친환경·에너지 분야에 선정기업들이 참석했다. <중소벤처기업부> |
▲ 국제에너지기구(IEA)의 ‘2050 넷제로로드맵 보고서'는 2030년에 넷제로 분야에 5조 달러(약 6300조 원)가량의 투자가 필요하다고 전망했다. 시각물은 넷제로 기술별 연 평균 자본 투자 수요. <국제에너지기구> |
<저작권자(c) 비즈니스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장상유 기자의 다른기사보기크래프톤 '인조이' 동시접속 급감해 실패라고 볼까, 김창한 경쟁작 '심즈 초반 고전' 돌아본다 |
크래프톤에게 일본은 '게임 메이저리그', '개발자' 김창한 'IP 생태계 구축' 바라본다 |
한일시멘트 '생각의 전환'으로 영업이익 증가 압도적, 전근식 불황에도 연구개발비 늘렸다 |
대신증권 "CJ제일제당 2분기도 어려웠던 식품, 상저하고 흐름 예상" |
유안타증권 "HK이노엔 ETC 중심 성장, 하반기 글로벌 케이캡 모멘텀 기대" |
택배 주5일 이하 근무비율 보니, 쿠팡CLS 62%·롯데 4%·CJ 1.5% 순 |
비트코인 최고가 경신 뒤 이더리움·엑스알피 '들썩', '알트장' 다가오나 |
갤럭시Z 플립7으로 돌아온 '엑시노스', 삼성전자 하반기 시스템반도체 실적 반등 발판 되나 |
GS건설 하반기 도시정비 다시 뛴다, 허윤홍 수주 경쟁 이겨내고 역대 기록 깰까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역대 최대 규모 2.9조 유증 흥행으로 마감, 21일 신주상장 |
교보증권 "호텔신라 호텔은 든든, 면세는 개선 기대 구간" |
교보증권 "신세계, 상반기 대비 실적 개선 가능성이 열려 있다" |
스튜디오드래곤 넷플릭스와 '찰떡 공조', '초호화 라인업' 무기로 반등 승부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