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숲도 생태계이고 순환이 필요하다. 특히 수령 30~50년 나무가 대다수인 한국의 숲은 산불 방지 측면에서나 탄소중립 달성 측면에서나 세대교체가 절실하다. 사진은 후계림이 조성 중인 강원도 인제군 원대리 자작나무 숲길의 모습. <연합뉴스> |
| ▲ 적절한 목재 채취를 통한 숲의 순환은 산불 방지에도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기후변화 대응에도 긍정적이다. 탄소중립 추진에 따른 친환경 바람을 타고 목재는 이제 고층건물의 재료로도 사용될 정도로 가치가 높아지고 있다. 국토의 60% 이상이 산림이지만 목재 자급률이 15%에 불과한 한국이 목재 활용에 더욱 적극적으로 움직여야 하는 까닭이다. 사진은 2017년 캐나다 밴쿠버 브리티시 컬럼비아 대학에 지어진 18층 규모의 목조건물 기숙사. |
| [편집자주] 식목일을 앞두고 전국이 산불로 몸살을 앓고 있다. 과거와 달리 산불의 피해는 더욱 심각해지고 있지만 멀리 떨어진 곳에서 뉴스로만 소식을 접한 사람들에게는 산불이 그저 다른 지역의 재난일 수 있다. 하지만 산불은 특정 지역의 재난에 그치지 않는 전 지구적 문제다. 지구의 기후에 직접 영향을 주고 변화된 기후를 연료로 삼아 더욱 거세게 번지는 것이 산불이다. 비즈니스포스트는 산불이 기후와 어떻게 영향을 주고 받는지, 우리는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 세 차례에 걸쳐 짚어본다. [산불이 기후위기 앞당긴다] (1)원인과 결과로 맞물린 악순환, 기온 상승과 산불 [산불이 기후위기 앞당긴다] (2)한국 산림 특성 고려한 맞춤형 대책이 필요하다 [산불이 기후위기 앞당긴다] (3)산림에서 산림자원으로, 선순환 고리 만들어야 |
<저작권자(c) 비즈니스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이상호 기자의 다른기사보기| 코오롱그룹 후계자 이규호 중심 새 판 짜기 중, 김영범 코오롱글로벌 맡아 체질 개선 중 |
| 코오롱그룹 계열사 실적 부진 위험하다, 후계자 이규호 곳곳에 메스 들이대 통합 매각 상폐 |
| 코오롱인더스트리 아라미드·타이어코드 다 불안, 영입 인사 허성 외부 수혈로 돌파구 찾아 |
| 삼성전자 일부 임원에게 퇴임 통보 시작, 이르면 21일 사장단 인사 |
| 토지주택공사 신임 사장 공모 시작, 내년 초 취임 전망 |
| 비트코인 시세 하락에 '저점 임박' 관측 나와, "건강한 조정구간 범위" 분석 |
| 대우건설 정원주 태국 총리 예방, "K시티 조성으로 시너지 창출" |
| 엔비디아 기대 이상 성과에도 증권가 회의론 여전, 'AI 버블' 우려 해소 어렵다 |
| 경제계 "성장기업 돕는 '스케일업 하이웨이' 구축해야, '생산적 금융' 필요" |
| 오우라 삼성전자 갤럭시링 상대로 재차 특허침해 소송, "곡선형 부품 유사" |
|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메모리반도체 '반짝 호황' 그치나, 중국 YMTC 투자 늘려 |
| 기후솔루션 저탄소 식품 설문조사, 응답자 81% "저탄소 대체식품 확산 필요" |
| "생성형 AI부터 로봇까지", 삼성전자 'C랩 스타트업'과 혁신 생태계 확산 나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