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물산이 호주 로이힐 프로젝트에서 언제쯤 자유로워질 수 있을까.
삼성물산은 로이힐 프로젝트에서 수천억 원에 이르는 손실을 입었는데 공사를 마친 지금도 여전히 법적 분쟁을 겪고 있다.
|
|
|
▲ 지난해 12월 열린 로이힐 프로젝트 첫 선적 행사. |
파이낸셜타임스는 11일 삼성물산이 호주 로이힐 프로젝트에서 거액의 손실을 입고 법적 분쟁까지 겪고 있다고 보도했다.
삼성물산은 2013년 로이힐 광산 개발사업을 56억 달러에 수주해 철광석 플랜트와 운반을 위한 철도, 수출을 위한 항만시설을 건설했다. 하지만 공사가 지연되면서 비용이 계속 증가했다.
결국 예정된 준공일을 지나 지난해 12월에야 로이힐 광산에서 생산한 철광석의 첫 선적 작업이 이뤄졌다.
최치훈 사장은 첫 선적 행사에서 삼성물산이 호주의 가혹한 환경에서 광산을 건설하기 위해 많은 난관을 겪었다고 말했다.
삼성물산은 최근 로이힐 공사를 완료했으나 10억 호주달러(8700억 원)의 손실을 회계에 반영했다. 그러나 로이힐 프로젝트와 관련해 모든 비용처리가 끝난 것은 아니다. 하청업체와 법적분쟁이 진행되고 있기 때문이다.
스페인 건설사 두로펠게라는 최근 삼성물산을 상대로 6500만 호주달러 규모의 공사대금 체불소송을 제기했다. 라울 세라노 두로펠게라 사업부장은 “로이힐에서 500만 달러 하도급 계약을 수행했는데 삼성물산으로부터 100만 달러 이상을 받지 못했다”고 주장했다.
삼성물산은 이와 관련해 법률적 검토를 한 뒤 법적 절차에 따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적절한 조치를 취하겠다는 뜻을 나타냈다.
파이낸셜타임스는 삼성물산이 광산사업에 진입한 시기가 나빴다고 바라봤다. 로이힐 프로젝트가 시작된 시점이 10여년간 지속된 자원개발 열풍이 끝난 때였기 때문이다.
파이낸셜타임스는 로이힐 프로젝트의 경험으로 삼성물산의 광산사업이 위축될 것이라고 바라봤다.
삼성물산 관계자는 “로이힐 프로젝트는 삼성물산의 첫번째 광산사업이었다”며 “현재 진행하고 있는 광산사업은 없다”고 말했다.
삼성물산 관계자는 “원자재시장 상황이 어려움을 겪고 있어 광산 건설 공사에 대한 시장 수요도 적다”고 덧붙였다.
삼성물산은 2014년 반다나에너지로부터 호주 퀸즐랜드 지하탄광 개발사업 시공사로 선정됐으나 발주처가 원자재시장 붕괴로 법정관리에 들어서면서 사업이 추진되지 못했다.
이광수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삼성물산이 초반에 의욕적이었지만 프로젝트가 진행되면서 통제할 수 없는 리스크가 발생했다”며 “삼성물산이 앞으로 광산사업을 확대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디모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