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산업통상자원부(산업부)가 안정적 전력망을 구축하기 에너지저장기술(ESS) 산업 육성 전략을 논의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산업부는 30일 이호현 전력정책관 주재로 ‘에너지스토리지(Energy Srorage System, ESS) 산업 태스크포스(TF)’ 출범회의를 열었다. 이번 TF는 2023년 상반기 안으로 수립할 `에너지스토리지 산업 발전전략`과 관련해 산업·학계·연구가 등 전문가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구성됐다.
▲ 산업통산자원부가 1월30일 '에너지스토리지 산업 정책 TF' 출범회의를 열었다. 그래프는 글로벌 ESS 보급 전망 추이.<산업통상자원부>
ESS는 태양열 발전 등으로 생산된 전기를 배터리에 저장해 뒀다가 전력이 필요할 때 쓸 수 있도록 돕는 에너지 저장 기술을 말한다. 발전소 건설비, 송전선 설치비 등 투자비를 줄일 수 있고 재생에너지 변동성 대응이 가능해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산업부는 12일 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서 2036년까지 약 26기가와트(GW)의 ESS가 필요할 것으로 전망했다. 산업부는 단주기 ESS 설비에 최대 1조2천억 원, 장주기 ESS 설비에 최대 44조2천억 원 등 최대 45조4천억 원이 소요될 것으로 추산했다.
단주기 ESS는 충전과 방전에 걸리는 시간이 수 초에서 1시간 안팎으로 짧은 ESS며 장주기 ESS는 충전과 방전에 걸리는 시간이 4시간이 넘는 장비다.
이호현 산업부 전력정책관은 장주기‧대용량 스토리지를 필수적으로 도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정책관은 “재생에너지 비중이 높은 제주도와 호남 지역의 계통 불안정성을 보완하고 재생에너지 출력제어 완화, 석탄발전소 재활용 등에 대응하기 위해 장주기‧대용량 에너지스토리지 도입이 필수적”이라고 말했다.
이에 더해 이 정책관은 우리나라 전력 환경에 적합한 ESS를 구축하는 ‘스토리지(저장)믹스’ 계획을 마련하고 우리 ESS의 해외진출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 정책관은 “우리나라에 적합한 다양한 ESS를 전력망과 연계하는 스토리지믹스 계획을 마련하고 연구개발(R&D)과 실증 및 사업화 지원 등 에너지스토리지 생태계를 조성할 것”이라며 “국내기업이 해외시장에 진출할 수 있도록 ‘에너지스토리지 산업 발전전략’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김바램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