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ournal
2025금융포럼
정치·사회  정치

10년 걸리는 서울대 인문대 박사학위

강우민 기자 wmk@businesspost.co.kr 2014-07-13 14:06:18
확대 축소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유튜브 공유하기 url 공유하기 인쇄하기


  10년 걸리는 서울대 인문대 박사학위  
▲ 2013년 2월26일 서울대학교 체육관에서 열린 제67회 전기 학위수여식 모습. 정운찬 전 국무총리(오른쪽 두번째)가 오연천 총장의 졸업식사를 듣고 있다.

서울대 인문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는 데 평균 20학기 정도로 10년 가까이 걸리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서울대 전체 단과대학의 평균 박사학위 취득기간보다 두 배 정도 길다. 중간에 포기하는 비율도 인문대가 가장 높다.

이런 사실은 서울대가 13일 밝힌 '서울대학교 대학원 실태조사 연구보고서'에서 나타났다.

서울대는 대학원 교육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1946년 개교 이래 처음으로 이 연구를 실시했다. 이 보고서는 2005학년도부터 2011학년도까지 7년 동안 자료를 분석했다.

이 보고서를 보면 서울대 인문대 박사학위 취득에 평균 19.23학기(휴학, 군 복무, 수료 이후 기간 포함), 10년 가까이 걸리는 것으로 조사됐다.

박사과정 중간에 그만두는 비율도 인문대가 7.24%로 가장 높았다. 정원 대비 최종 충원률은 인문대 석사가 82.49%, 박사가 72.98%로 모든 단과대학 가운데 가장 낮았다.

인문대학 외에 박사학위를 취득하는 데 오랜 기간이 걸리는 단과대학은 사회대학(평균 8년, 15.7학기), 자연과학대학(평균 7년, 13.9학기), 법과대학(평균 7년, 13.8학기) 등으로 조사됐다.

전체 단과대학 평균 박사학위 취득기간은 6년6개월(12.5학기)로 나타났다.

서울대의 한 관계자는 “중도이탈은 유학 등 다양한 이유가 있지만 생계를 유지하기 위해 공부에만 전념할 수 없는 점도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며 "일부 단과대학의 경우 박사과정은 물론 석사과정에서도 지나치게 학위기간이 길어 그 원인과 대처방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번 조사에서 서울대 학부를 졸업한 석사과정 학생은 47.95%로 집계됐다. 또 서울대에서 학부를 졸업했거나 석사학위를 받은 박사과정 학생의 비율은 70.26%였다.

석사과정의 경우 미술대학과 음악대학, 법과대학에서 서울대 출신 비율이 각각 78.23%, 75.61%, 81.12%로 높았다. 반면 보건대학원과 환경대학원, 국제대학원은 각각 13.58%, 16%, 17.47%로 서울대 출신 비율이 낮았다.

박사과정의 경우 인문대학이 83.3%로 서울대 출신 비율이 가장 높았고 자연과학대학(82.51%), 공과대학(80.58%)이 그 뒤를 이었다. 국제대학원(38.61%)과 환경대학원(41.34%)은 서울대 출신 비율이 낮았다.

이번 조사에서 서울대 석사과정 전체 평균 입학경쟁률은 2.3대 1, 박사과정 전체 평균 입학경쟁률은 2.19대 1로 조사됐다.

석사과정 입학경쟁률이 가장 높은 단과대학은 경영대학(3.72)이었고 미술대학(3.65), 사범대학(3.05) 이 뒤를 이었다. 경쟁률이 가장 낮은 곳은 농업생명과학대학(1.31), 약학대학(1.4), 치과대학(1.44), 수의과대학(1.46) 등이었다.

박사과정 입학경쟁률이 가장 높은 단과대학은 환경대학원(4.23)이고 음악대학(3.96)과 미술대학(3.43) 등도 높았다. 반면 수의과대학(1.04)과 인문대학(1.06)은 경쟁률이 낮았다.

서울대 관계자는 "다른 대학 대학원과 비교했을 때 전체적으로 입학경쟁률이 높지 않은 편"이라고 말했다.

최신기사

하나증권 "우리금융 3분기 염가매수차익 크게 봐, 배당매력 더 높아져"
[현장] 정의선·이재용·젠슨황 '치맥 회동', 이 "내가 다 살게" 정 "2차 살게" ..
캐나다 총리 한화오션 거제사업장 방문, 김동관 "잠수함 사업에 역량 총결집"
하나증권 "삼성전기 데이터센터 훈풍 맞아, 4분기도 견조한 실적 흐름 지속"
DS투자 "SK하이닉스 4분기 D램 영업이익률 67% 전망, 내년에도 계약 가격 상승 ..
이재명 트럼프 이어 다카이치와 회담, 시진핑 만나 외교 '마지막 퍼즐' 채우나
DS투자 "삼성전기 주요 제폼 AI 관련 수혜 본격화, 가동률 90% 후반대"
신세계면세점 인천공항서 '방 뺀다', 위약금·외형 축소·재입찰 패널티 '3중고'
한화투자 "우리금융지주 염가매수차익으로 배당매력 커져, 비과세로 실리적"
키움증권 "삼성전기 3분기 MLCC 가동률 98%로 확대, 4분기도 수요 견조"
Cjournal

댓글 (0)

  • - 200자까지 쓰실 수 있습니다. (현재 0 byte / 최대 400byte)
  • -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댓글은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등 비하하는 단어가 내용에 포함되거나 인신공격성 글은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삭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