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조선해양과 삼성중공업의 합병설이 또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정부는 최근 조선업 구조조정의 방안으로 조선사 통폐합이 아닌 각자 살 길을 찾는 방향을 확정했지만 시장은 여전히 조선사의 합병카드가 유효하다고 보고 있다.
|
|
|
▲ 박대영 삼성중공업 사장(왼쪽), 정성립 대우조선해양 사장. |
산업은행이 대우조선해양 매각을 앞당겨 추진할 가능성이 있다는 관측도 합병설에 힘을 보탠다.
17일 조선업계에 따르면 대우조선해양과 삼성중공업이 통폐합할 수도 있다는 주장이 다시 제기되고 있다.
현재 조선업계 협의체인 조선해양플랜트협회는 조선업 전체 구조조정을 위한 컨설팅을 진행하고 있다. 글로벌 수급전망과 적정한 공급규모, 국내 조선업계 포트폴리오 등을 고려한 컨설팅 결과는 오는 8월 나온다.
컨설팅 결과에 중장기 조선업종에 대한 전망을 토대로 국내 조선사의 적정한 공급능력을 추정해 생산규모 감축을 권고하는 내용이 담길 것으로 관측된다.
업계 관계자들은 금융당국이 애초 조선3사가 각자도생하는 방식으로 구조조정 계획을 짰지만 컨설팅 결과를 토대로 조선업 구조조정 방향을 틀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있다.
현대중공업은 그대로 유지하는 대신 대우조선해양과 삼성중공업의 합병을 유도해 조선2사 체제로 재편하려고 한다는 것이다.
대우조선해양과 삼성중공업은 모두 거제에 조선소가 있다. 또한 삼성중공업은 드릴십 건조기술에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고 대우조선해양은 액화천연가스(LNG)선박 건조에 강점을 지니고 있어 두 회사가 합병하면 장소와 사업 측면에서 시너지를 낼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조선사간 공급과잉 문제를 해소하는 동시에 현대중공업 규모와 맞먹는 경쟁기업을 만들어 긍정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것이다.
산업은행이 대우조선해양 부실감독 논란 등 악재에서 벗어나기 위해 대우조선해양 매각시기를 앞당길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는 점도 합병설의 배경으로 꼽힌다.
산업은행은 대우조선해양을 15년 넘게 맡아오면서 경영개선은커녕 방만경영과 내부비리 등을 제대로 관리감독하지 못한 것으로 드러나고 있다.
감사원은 15일 대우조선해양의 2013~2014년 재무상태를 점검한 결과 2년 동안 영업이익 1조5342억 원을 과다계상 했다고 밝혔다. 산업은행은 대우조선해양의 경영을 감시할 수 있었는데도 불구하고 부실을 찾아내지 못해 현 상황을 자초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산업은행은 그동안 대우조선해양에 최고재무책임자(CFO)를 파견하는 등 경영실태를 파악할 수 있는 제도장치를 가졌지만 제대로 감시하지 못했다”며 “공적자금 투입이 불가피한 상황에서 산업은행이 감독을 소홀히 했다는 지적에서 자유로울 수 있겠느냐”고 말했다.
산업은행은 예전부터 비금융자회사인 대우조선해양을 매각하려고 노력했지만 모두 무산됐다. 매각가격과 특수선(방산)사업부 문제가 매각에 걸림돌로 꼽혔다.
하지만 금융위원회가 지난해 산업은행의 비금융자회사를 조기에 매각하겠다는 방침을 정했고 대우조선해양이 자구안에 특수선사업부를 분사하겠다는 내용을 담으면서 장애물은 전부 제거됐다. [비즈니스포스트 남희헌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