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ournal
Cjournal
금융  금융

[단독] 한투증권 전산장애 이유 있었다, 운용비 초대형증권사 중 '꼴찌'

박안나 기자 annapark@businesspost.co.kr 2022-08-10 14:06:22
확대 축소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유튜브 공유하기 url 공유하기 인쇄하기

[비즈니스포스트] 15시간 넘는 거래 시스템 장애 사고가 발행한 한국투자증권의 전산운용비가 5년 전 수준에 머물러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게다가 한국투자증권은 국내 초대형투자은행(IB) 5곳 가운데 순이익 대비 전산운용비 규모가 가장 작은 것으로 조사됐다.
 
[단독] 한투증권 전산장애 이유 있었다, 운용비 초대형증권사 중 '꼴찌'
▲ 한국투자증권의 전산운용비가 5년 전 수준에 머물러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투자증권 본사 앞 상징물.

10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2021년 별도기준 한국투자증권의 전산운용비 지출 규모는 333억 원으로 집계됐다. 

2017년 325억 원과 비교해 5년 동안 2.46% 증가하는 데 그쳤다.

자본규모 3조 원 이상 대형 증권사 9곳 가운데 지난 5년의 전산운용비 증가율이 한자릿수에 그친 곳은 한국투자증권 뿐이다. 

같은 기간 다른 대형증권사들의 전산운용비는 신한금융투자 111.56%, 미래에셋증권 85.44%, 키움증권 60.50% , 하나증권 51.28%, NH투자증권 41.55%씩 늘었다.

이 외에 KB증권 25.7%, 삼성증권 17.93%, 메리츠증권 17.86%의 증가폭을 보였다. 

전산운용비 증가폭만 놓고 보면 한국투자증권은 최하위권에 자리했다.

2021년 기준 한국투자증권의 전산운용비 규모는 자본규모 상위권 증권사 가운데 삼성증권(822억 원), 키움증권(764억 원), 미래에셋증권(675억 원)에 이어 4위에 해당한다.  

5년 전에도 한국투자증권(325억 원)은 삼성증권(671억 원)과 키움증권(476억 원), 미래에셋증권(365억 원)에 이어 4위였다. 

당시 5위였던 NH투자증권의 전산운용비는 219억 원으로 한국투자증권에 한참 뒤졌지만 지난해 말 NH투자증권은 전산운용비 지출을 310억 원으로 키웠다.  

신한금융투자 역시 2017년 147억 원에 그쳤던 전산운용비를 2021년 311억 원까지 늘렸다.

디지털 전환 시대에 온라인 거래가 급격히 증가하면서 증권사마다 전산운용비 규모를 대폭 늘리고 있는데 한국투자증권의 전산운용비만 제자리 걸음인 셈이다.

한국투자증권은 미래에셋증권, NH투자증권, 삼성증권, KB증권 등 국내 초대형 종합금융투자회사(IB) 5곳 가운데 영업수익 및 순이익 대비 전산운용비 규모가 가장 작은 증권사로 나타났다. 
 
순이익 대비 전산운용비 비율
(%)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삼성증권 27.15% 21.87% 19.41% 15.23% 8.78% 
미래에셋증권 8.59% 11.05% 11.07% 8.89% 8.18% 
NH투자증권 6.17% 7.71% 6.00% 6.06% 3.91% 
KB증권 7.13% 7.70% 6.41% 5.47% 4.08% 
한국투자증권 6.68% 6.65% 3.02% 4.92% 3.46% 

한국투자증권은 지난해 1년동안 별도기준으로 영업수익 12조1812억 원, 순이익 9622억 원을 올렸다. 

이 가운데 전산운용비로 나간 돈은 333억 원으로 영업수익 대비 0.27%에 해당한다. 순이익 대비 전산운용비는 3.46%에 그쳤다.

반면 초대형 종합금융투자회사 가운데 전산운용비 규모가 가장 큰 삼성증권은 지난해에 영업수익의 0.85%, 순이익의 8.78%를 전산운용비로 썼다.

전산운용비는 증권사 전산시스템 운용 및 관리에 들어가는 비용을 말한다. 기업의 판매와 관리, 유지에 필요한 필요한 비용을 통틀어 지칭하는 판매관리비에 전산운용비도 포함된다. 

한 대형증권사 관계자는 "전산운용비에는 다양한 내역이 포함되지만 시스템 설치나 구축 비용 등은 포함되지 않기도 한다"며 "IT 담당 내부 인력의 인건비 역시 판관비 계정 가운데 전산운용비가 아니라 급여 항목에 포함된다"고 설명했다. 박안나 기자

최신기사

'여의도역 점령' 사활 건 증권사들, 플랫폼 계단 역사 안가리는 '광고 전쟁'
국민의힘 대선 2차 경선 투표 시작, 한동훈 2등 여부가 관전 포인트
에쓰오일 수익성 하락에도 '샤힌 프로젝트' 뚝심, 원가 경쟁력으로 실적 정상화
국내 전기 SUV 신차 경쟁 치열해진다, 테슬라 모델Y 1위 자리 지킬까
'긴 여름' 비빔면 전쟁 격화, 농심 '신제품' 오뚜기 '가성비'로 팔도 아성 넘본다
'디지털 달러' 테더 환율에도 영향 줄까, 가까워진 가상화폐의 실물시장 습격
블랙핑크가 찍은 K팝 공연 티켓 30만 원, '추종 팬' 앞세워 가격 랠리 이어진다
삼성전기 스마트폰 수요 둔화에 관세까지, 장덕현 전장에서 돌파구 찾는다
HL디앤아이한라 수주 수익성 다 잡아, 홍석화 '수도권' '사업성'으로 연임기반 닦는다
트럼프 '기후특사'도 폐지 예고, 무역전쟁에 이어 기후대응도 중국과 대립
Cjournal

댓글 (0)

  • - 200자까지 쓰실 수 있습니다. (현재 0 byte / 최대 400byte)
  • -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댓글은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등 비하하는 단어가 내용에 포함되거나 인신공격성 글은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삭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