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ournal
Cjournal
정치·사회  사회

서경덕 교수 아베 피격과 안중근 의거 비교 외신 비판, "기사 수정 요청"

김대철 기자 dckim@businesspost.co.kr 2022-07-14 11:21:20
확대 축소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유튜브 공유하기 url 공유하기 인쇄하기

[비즈니스포스트] 서경덕 성신여자대학교 교수가 아베 신조 전 일본총리 총격 사건을 안중근 의사의 사례에 빗댄 외국 언론의 보도를 바로 잡겠다는 뜻을 나타냈다.

서 교수는 14일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월스트리트저널(WSJ)에 기사 수정요청을 해야 할 것 같다”며 8일 보도된 월스트리트저널의 ‘아베 신조 총격 사건이 일본의 전쟁 전 정치 폭력 역사를 상기시키다’라는 제목의 기사 내용의 오류를 짚었다.
 
서경덕 교수 아베 피격과 안중근 의거 비교 외신 비판, "기사 수정 요청"
▲ 서경덕 성신여자대학교 교수가 비판한 7월8일 월스트리트저널(WSJ)의 기사.

월스트리트저널은 해당 기사에서 “일본에서 가장 영향력 있고 오래 재임했던 총리 가운데 한 명인 이토 히로부미는 퇴임 뒤 1909년 현재 중국 북동부에 있는 기차역에서 살해됐다”며 “그 암살자(안중근 의사)는 일본의 한반도 식민지화에 반대했던 한국인 민족주의자였다”라고 보도했다.

또 1921년 11월4일 하라 다카시 당시 총리가 정부 정책에 반대하던 철도 개찰원에게 흉기로 찔린 사건과 1936년 2월26일 고레키요 타카하시 재무장관인이 쿠데타를 시도한 사람들에 의해 암살된 사건을 함께 예시로 들었다.  

서 교수는 월스트리트저널의 기사가 언급한 다른 사례들과 안중근 의사의 ‘하얼빈 의거’는 원인이 다르기 때문에 비교될 수 없다는 점을 지적했다.

그는 “다른 사건들은 일본 내부의 정치적 문제로 인한 폭력사건인 반면 안중근 의사의 이토 히로부미 저격은 ‘독립운동’의 일환이다”라고 설명했다.

외국 언론의 역사인식 부재에서 비롯된 오보에는 대응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

서 교수는 “기사 수정을 요청하는 이유는 전 세계 독자들이 이번 기사로 역사적 오해를 할 수 있기 때문이다”며 “미국 언론에 한국 문화와 역사를 제대로 알릴 수 있는 캠페인을 더 펼쳐 나가야겠다”고 말했다.

서 교수는 김치, 독도 등 우리 문화와 역사를 전 세계에 알리는 데 힘쓰고 있다.

그는 지난 6월 중국의 김치공정에 대응해 구글 번역기에서 ‘김치·kimchi’가 중국어 ‘파오차이’로 번역되는 것을 정정해 달라고 요청했으며 2021년 8월에는 뉴욕타임스에 김치광고를 게재하기도 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세계김치연구소는 11일 서 교수를 글로벌 김치 홍보대사에 위촉했다. 김대철

최신기사

현대로템 폴란드와 K2전차 수출 협상 완료, '8.8조 규모' 새 정부 첫 방산 쾌거
이란 IAEA 사찰단 입국 불허 결정, "평화적 핵 활동 안전 보장될 때까지"
한은 총재 이창용 "규제 없이 스테이블 코인 허용하면 자본 유출 우려"
현대면세점 첫 연간 흑자 달성 기대, 박장서 구조조정 발판 삼아 톱3 향해
유진투자 "크래프톤 2분기 실적 기대 밑돌아, 하반기는 반등 기대"
[KSOI] 정당지지도 민주당 47.8%로 국힘과 22.3%p 격차, TK에서도 8.5..
[오늘의 주목주] '2차전지 약세' SK이노베이션 6%대 하락, 코스닥 실리콘투 8%대..
[KSOI] 이재명 지지율 59.3%, 중도층에서 긍정평가 65.8%
양종희 '공존' 진옥동 '실천', 4대 금융지주 회장들의 '결 다른' ESG 경영철학
삼천당제약 캐나다서 아일리아 바이오시밀러 허가 받아, 7월 중에 판매 시작
Cjournal

댓글 (0)

  • - 200자까지 쓰실 수 있습니다. (현재 0 byte / 최대 400byte)
  • -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댓글은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등 비하하는 단어가 내용에 포함되거나 인신공격성 글은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삭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