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자동차회사가 1분기 수출실적에서 뒷걸음질했다.
중국 경제성장이 둔화되고 주요 신흥시장에서 자동차 수요가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13일 한국자동차산업협회에 따르면 국내 자동차회사들은 1~3월 모두 65만4494대의 차량을 수출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0.8% 줄었다.
![]() |
||
| ▲ 한국GM 트랙스. | ||
국내 자동차회사는 1분기에 승용차 62만6144대, 상용차 2만8350대를 해외에 판매했다.
한국GM의 소형SUV(스포츠유틸리티차량) 트랙스가 모두 6만1466대로 가장 많이 수출됐다. 현대차 아반떼(5만5440대), 기아차 프라이드(5만5106대), 현대차 액센트(4만9375대), 현대차 투싼(4만5093대)이 뒤를 이었다.
한국GM은 “북미에서 소형SUV에 대한 수요가 많아 트랙스 수출이 활발하게 이뤄졌다”라며 “현지 수요를 맞추기 위해 부평1공장 가동률을 높이고 있다”고 말했다.
업체별로는 기아차가 25만4332대로 가장 많은 수출실적을 올렸다. 현대차(23만9226대), 한국GM(11만1707대), 르노삼성(3만7984대), 쌍용차(1만1044대)가 뒤를 이었다.
자동차업계 관계자는 “글로벌 경기성장이 침체된데다 글로벌 기업과의 경쟁도 심화돼 1분기 수출이 감소했다”며 “지난해 말부터 올해 1분기 사이에 출시된 신차들이 수출대열에 합류하면 2분기부터 실적이 개선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남희헌 기자]
<저작권자(c) 비즈니스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남희헌 기자의 다른기사보기| 골프존 코로나19 뒤 성장 주춤, 최덕형·박강수·장성원 역할 분담으로 신사업과 글로벌 확대 주력 |
| 골프존 '주주가치' 내걸고 자사주 계속 매입했는데, 주주 소각 요구에 김영찬 일단 '침묵' |
| 골프존 오너 2세 김원일 경영과 거리두기, 김영찬 정말 소유와 경영 분리 체제로 가나 |
| 한미 관세협상 후속 민관회의 열린다, 이재용 최태원 정의선 구광모 참석 |
| 미국 매체 "현대차·LG엔솔 미국 조지아 배터리 공장에 한국인 직원 일부 복귀" |
| 한미 3500억 달러 투자 양해각서 서명, "조선업 투자수익 모두 한국에 귀속" |
| 코스피 외인·기관 순매도에 3%대 하락 4010선, 환율은 1457원대로 내려 |
| 농협중앙회 임원 보수체계 전면 개편, "성과 중심 책임경영 강화" |
| 교촌에프앤비 수익성 한 단계 상승 중, 송종화 '꼼수 가격 인상' 논란에 조심 또 조심 |
| [현장] 지스타 2025 크래프톤 '팰월드 모바일'로 화제몰이, 원작 재미 충실히 구현 |
| 두나무 3분기 순이익 2390억으로 3배 늘어, 업비트 거래규모 확대 영향 |
| 신임 대검 차장에 구자현 서울고검장, 노만석 후임 '검찰총장 권한대행' 맡아 |
| 계룡건설 3분기 영업이익 387억으로 49.4% 증가, 매출 10.9% 줄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