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김명수 교육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후보자(왼쪽)와 송광용 청와대 교육문화수석비서관 | ||
정부 내 교육부문 수장인 교육부총리와 청와대 교육문화수석이 논문을 표절 했다는 의혹이 제기되며 논란에 휩싸였다. 당사자들은 “문제 없다”고 주장하지만 우리나라 교육정책을 이끌어야 하는 인사들이 표절논란을 일으켰다는 점에서 청문회 때 거센 공격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김 후보자는 “학술지에 실은 논문이 부족해 제자에게 기회를 준 것”이라고 해명했지만 논란은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유은혜 새정치민주연합 원내대변인은 “김 후보자는 논문표절을 검증하는 한국교육학회장 출신이자 우리나라 교육계의 수장이 될 후보자”라며 “논문표절 의혹을 사고 있다는 사실은 도저히 묵과할 수 없는 문제”라고 꼬집었다.
송광용 청와대 교육문화수석비서관도 논문표절 의혹이 제기됐다. 역시 제자의 학위논문과 유사한 논문을 발표하면서 제1저자에 본인을, 제2저자에 제자를 올렸다는 것이다. 송 수석은 “제자의 요청에 따라 한 것”이라며 “표절의도는 없었다”고 해명했다.
그러나 교육을 담당하는 관료로서 논문표절 의혹이 제기된 것에 대해 자질이 부족하다고 보는 시각이 많다. 학계 관계자는 “관행적으로 한 일이라고 해도 표절의혹이 있는 인사가 교육부장관, 교육문화수석의 자리에 오르는 것은 부적절하다”며 “이제라도 제대로 된 연구윤리를 확립해야 하는데 이런 분들이 교육부 수장이 된다면 잘못된 관행이 고쳐지기 어려울 것”이라고 지적했다.
과거에도 논문표절 논란으로 교육부 수장이 낙마한 경우가 있다. 2006년 노무현 정부에서 김병준 교육부총리 겸 교육인적자원부 장관이 제자 논문 표절의혹으로 취임 18일만에 사퇴했다. 당시 나경원 한나라당 대변인은 “교육부 수장의 표절은 국민들의 신뢰를 무너뜨린 것”이라고 비난했다. 2000년 김대중 정부에서도 송자 교육부장관이 논문표절 의혹으로 취임 24일만에 사퇴했다.
김 후보자와 송 수석의 낙마 가능성도 점쳐진다. 박근혜 대통령이 장관 후보자들에 대한 임명동의안과 인사청문요청서 재가를 연기했기 때문이다. 박 대통령은 중앙아시아 순방을 마치고 귀국한 21일 이후에 장관 인사 재가를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박 대통령이 그 사이에 문창극 국무총리 후보자를 비롯해 논란이 일고 있는 장관 후보자들의 인선을 재고할 수도 있다는 분석이다. 김 후보자가 낙마하게 되면 송 수석도 칼끝을 비켜가기는 어려울 전망이다.
인사 실패가 거듭되면서 청와대 인사검증 시스템에 대한 비난도 끊이지 않는다. 서청원 새누리당 의원은 18일 “청와대 인사검증팀은 뭘하고 있는 건지 모르겠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청와대가 후보자들을 다각도로 분석하지 못하고 재산과 세금, 가족관계 등 평면적 부분만 검증하고 있다는 말도 나온다.
<저작권자(c) 비즈니스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김디모데 기자의 다른기사보기| 이우현 길 닦은 OCI 반도체 소재와 원료 사업, 김유신 반도체 슈퍼사이클 타고 수확하나 |
| 현대모비스 지배구조 글로벌 기준 가는 길, '1세대 거버넌스 연구원' 김화진 선임사외이사 역할 막중 |
| OCI홀딩스 '트럼프 정책 불확실성' 너무 크다, 이우현 AI 시대 태양광 사업 확장 승부수 언제 |
| 조국혁신당 최고위원 후보 4명 정견 발표, '쇄빙선' '조국 방패' 내세우며 경쟁 |
| 조국 "거대 양당 가지 않은 신항로 개척", 전당대회서 새 대한민국 구상 밝혀 |
| DL이앤씨 주택 흥했으나 플랜트 난항, 박상신 수익성 회복세 연말 주춤 분위기 |
| LG헬로비전 노사 본사 이전 두고 갈등 격화, 올해 임금협상 최대 변수 부각 |
| SK디스커버리 최창원의 주주환원 딜레마, 향후 SK가스 의존 확대 불가피 |
| "'롤' 보다가 알았다", e스포츠로 잘파세대 공략 나서는 금융사들 |
| 글로벌 누비고 국내투자 늘리는 총수들, 대기업 그룹주 ETF 한번 담아볼까 |
| 엔씨소프트 아이온2 출시 뒤 주가 아직 몰라, 새벽 대기 3만 명이 남긴 기대감 |
| 제헌절 공휴일 복귀 18년 만에 급물살, '반헌법 윤석열'도 한몫해 얄궂다 |
| 효성 주력 계열사 호조로 배당여력 커져, 조현준 상속세 재원 마련 '청신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