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근혜 대통령(왼쪽)이 문창극 국무총리 후보자의 임명동의안 재가를 연기했다. |
박근혜 대통령이 문창극 총리후보자의 국회 임명동의안 재가를 연기했다. 이를 두고 자진사퇴를 종용하는 것이라는 의견부터 새 총리 후보를 찾고 있는 것이란 말까지 해석이 분분하다.
여권의 기류는 박 대통령이 문 후보를 포기하는 쪽으로 이미 바뀌었다. 특히 친박의 핵심인물인 서청원 의원이 연일 문 후보의 자진사퇴를 압박하면서 서 의원이 박 대통령을 대신해 총대를 메고 있는 것 아니냐는 해석도 나오고 있다.
민경욱 청와대 대변인은 18일 브리핑을 통해 “박 대통령이 중앙아시아 순방을 마치고 귀국해서 총리와 장관 임명동의안 및 인사청문요구서 재가를 검토할 것”이라고 밝혔다. 민 대변인은 “순방 중 경제적 외교적으로 중요한 발표가 많다”며 “순방 기간에 외교적 경제적 이슈에 집중하고 임명동의안은 여러 사항을 충분히 검토한 뒤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문 후보자의 임명동의안 제출은 13일로 예정돼 있었지만 제출서류가 다 갖춰지지 않았다는 이유로 16일로 연기됐다. 박 대통령이 해외순방을 나서기 전 임명동의안 재가를 하고 떠나지 않겠느냐는 관측이 많았으나 임명동의안 제출은 17일로 하루 더 미뤄졌다. 박 대통령은 결국 임명동의안에 서명하지 않고 순방을 떠났다.
문 후보자는 국무총리 후보 지명 이후 과거 강연에서 일본 식민지와 위안부 문제에 대해 부적절한 발언을 하고 김대중 전 대통령과 노무현 전 대통령을 비난하는 칼럼을 쓴 것 때문에 여론의 비판에 직면해 있다.
문 후보자는 15일 긴급기자회견에서 고개를 숙이며 사과했다. 그러나 병역의무 이행 중 대학원에 다닌 사실이 밝혀지면서 비판여론이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여야를 가릴 것 없이 사퇴를 압박하면서 문 후보자는 사면초가 상태에 처해 있다.
새누리당 내 유력한 당권 후보자인 서청원 의원은 18일 “당과 국민, 현 정부를 위해서 이럴 때 본인이 스스로 판단해 부담을 주지 않는 게 좋을 것”이라며 자진사퇴를 요구했다. 서 의원은 “총리지명 이후 여론이 더 악화되고 본인에게도 부담을 주고 있다”며 “자칫하다가 새누리당의 당론분열이 심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서 의원은 전날인 17일에도 “문 후보자 스스로 언행에 대한 국민의 뜻을 헤아리고 심각한 자기성찰을 해야한다”면서 “문 후보자가 국민을 위한 길이 무엇인가 잘 판단해야 한다”고 우회적으로 문 후보자가 사퇴해야 한다는 뜻을 내비쳤다. 7선 중진 의원인 서 의원의 이같은 발언은 여권 수뇌부의 입장변화를 시사하는 것이어서 주목을 받고 있다.
야당은 직접적으로 사퇴를 요구하고 나섰다. 박범계 새정치민주연합 원내대변인은 17일 “박 대통령이 임명동의안을 재가하지 않은 뜻은 자진사퇴라고 본다”며 “눈치없는 문 후보자는 거취결정을 해주길 바란다”고 몰아붙였다.
박 대통령은 16일부터 21일까지 중앙아시아 3개국(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 투르크메니스탄)을 순방중이다. 박 대통령이 귀국하자마자 임명동의안을 재가한다고 해도 주말을 지난 23일에야 국회에 임명동의안과 인사청문요구서가 제출될 수 있다. 일부에서 박 대통령과 청와대가 새 총리 후보를 지명하기 위해 시간을 벌고 있다는 해석도 나온다.
<저작권자(c) 비즈니스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김디모데 기자의 다른기사보기권한대행 한덕수 국회의장 우원식 예방, "정부 국회와 합심해 위기 극복" |
헌재 탄핵심판 심리 절차 준비, 16일 윤석열에게 답변서 제출 요청 |
한동훈 16일 오전 기자회견 열기로, '대표 사퇴 의사 밝힐 듯' |
권성동 이재명의 '국정안정협의체' 제안 거부, "국힘 여전히 여당" "당정협의로 운영" |
고려아연 금감원에 진정서, "MBK파트너스 비밀유지계약 위반 조사 필요" |
한국은행 "'계엄사태' 이후 실물경제 위축 조짐, 장기화 되면 모든 수단 동원" |
SK하이닉스 HBM 생산능력 확대, 청주공장에 D램 인력 추가 배치 |
탄핵 격랑에도 '대왕고래' 시추 시작, 석유공사 첫 결과 내년 상반기 나올 듯 |
권한대행 한덕수 대통령비서실장 정진석 만나, "모든 정부 조직은 권한대행 지원 체제로" |
서울 '악성 미분양' 3년 만에 최대, 청약 경쟁률은 3년 만에 최고치로 '양극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