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ournal
Cjournal
기업과산업  인터넷·게임·콘텐츠

에스원 보안시장 입지 지킨다, 노희찬 보안기술과 건물관리 통합 앞세워

조충희 기자 choongbiz@businesspost.co.kr 2021-09-30 16:09:16
확대 축소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유튜브 공유하기 url 공유하기 인쇄하기

노희찬 에스원 대표이사 사장이 시스템보안기술과 건물관리업 노하우를 합친 통합서비스로 기업과 기업 사이 거래(B2B) 보안시장에서 입지를 지키려고 한다.

30일 에스원에 따르면 노 사장은 최근 출시한 스마트건물관리 솔루션 '블루스캔'의 신규 기업고객 확보에 힘을 쏟고 있다.
 
에스원 보안시장 입지 지킨다, 노희찬 보안기술과 건물관리 통합 앞세워
▲ 노희찬 에스원 대표이사 사장.

블루스캔은 ICT장비를 활용해 시스템보안 및 출동서비스와 건물관리를 한꺼번에 해결해주는 서비스다.

기업고객은 전용 앱을 통해 냉·난방기와 조명 등을 원격제어할 수 있으며 문제 발생 때에는 센서가 이상을 감지하고 에스원 관제센터가 이를 즉시 기업고객에게 통보해줘 대응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를 통해 기업고객은 상주 경비인력을 최소화할 수 있고 솔루션의 범위에 따라 무인화도 가능해져 부동산관리에 드는 고정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는 것이 에스원의 설명이다.

에스원은 최근 급성장하는 리츠업계가 블루스캔의 주고객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리츠란 주식회사 형식으로 자금을 모아 부동산을 구입하고 여기서 발생하는 임대료를 통해 수익을 내는 사업을 말한다. 리츠 운용사들은 부동산 임대료의 90% 정도를 주주들에게 현금배당하기 때문에 사무실관리비와 인건비 등 고정비용을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

에스원은 서울지역 소재 9만 여 곳의 빌딩이 블루스캔의 잠재고객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추산한다.

이런 에스원의 통합서비스 움직임은 B2B 보안시장에서 입지를 더욱 굳히기 위한 행보로 풀이된다. 에스원은 시스템보안업계에서 전체 60% 정도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지만 최근 보안업계에 뛰어든 통신사들의 거센 도전을 받고 있다.

SK텔레콤과  KT 등 통신기업들은 기존 보안기업을 인수하는 방식으로 시스템보안업계에 뛰어들었으며 TV 및 통신 결합상품을 무기로 가정용 보안시장을 거의 장악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SK텔레콤은  2013년 시스템보안업계 점유율 4위 업체인 엔속(NSOK)을 인수한 데 이어 2018년에는 2위 업체 ADT캡스까지 손에 쥐면서 점유율이 30%까지 높아졌다.

이에 노 사장은 올해 1월부터 에스원의 물리보안사업과 건물관리사업조직을 하나로 합친 뒤 통합솔루션 개발에 힘을 쏟아왔다. 노 사장은 서비스를 통해 기업을 대상으로 한 시장에서 만큼은 자리를 내주지 않으려고 한다.

에스원 관계자는 "시스템보안기술과 건물관리업 노하우를 합친 첨단서비스를 통해 보안업계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만들어가려고 한다"며 "보안업계에서 초격차 1위를 지켜가겠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조충희 기자]

최신기사

한국도 뛰어든 '소버린 AI' 세금 낭비에 그치나, 미국 빅테크와 경쟁에 한계
삼성물산 롯데건설이 도시정비 경쟁 불붙일까, 개포우성4차 여의도대교에서 격돌 가능성
한화투자증권 인니 사업 본격화, '운용' 한두희서 '글로벌' 장병호로 세대교체
NH농협손보 산불과 폭염에 수익성 건전성 흔들, 송춘수 '소방수' 역할 시험대
기업은행 정권 교체 뒤 첫 정기인사에 쏠리는 눈, 미뤄지는 부행장 인선 촉각
HD현대마린엔진 그룹 편입 '1년' 검증은 끝났다, 강영 계열사 납품 증가로 실적 '탄..
중국 전기차 '출혈 경쟁' 시진핑도 손 쓰기 어렵다, 무리한 육성 정책 후폭풍
우리은행 정진완의 공격 경영, 자본비율 열세에도 중소기업 품고 기업금융 강화
녹색전환연구소 김병권 신임 소장 선임, "국민 삶과 현장 잇는 리더십 발휘할 것"
배당소득 분리과세 추진 이재명 정부, '증시부양' '부자감세' 균형잡기 과제
Cjournal

댓글 (0)

  • - 200자까지 쓰실 수 있습니다. (현재 0 byte / 최대 400byte)
  • -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댓글은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등 비하하는 단어가 내용에 포함되거나 인신공격성 글은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삭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