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ournal
Cjournal
기업과산업  건설

서울 신축빌라 4곳 중 1곳 전세가율 90% 넘어서, 강서구 가장 많아

김지효 기자 kjihyo@businesspost.co.kr 2021-08-18 14:36:00
확대 축소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유튜브 공유하기 url 공유하기 인쇄하기

서울 신축빌라 4곳 중 1곳 전세가율 90% 넘어서, 강서구 가장 많아
▲ 2021년 상빈기에 거래된 서울 신축빌라 전세거래 가운데 26.9%가 전세가율 90% 이상인 '깡통주택'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방>
2021년 상빈기에 거래된 서울 신축빌라 전세거래 가운데 26.9%가 전세가율 90% 이상인 '깡통주택'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세가율은 매매가격과 비교한 전세가격의 비율을 의미한다. 깡통주택은 매매가격보다 전세보증금이 높거나 비슷한 수준의 집을 말하는데 통상적으로 전세가율이 80% 이상인 전세매물을 두고 깡통주택으로 부른다.

18일 부동산 플랫폼 ‘다방’을 운영하는 스테이션3가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를 바탕으로 올해 지어진 서울 신축빌라의 상반기 전세거래 2752건을 전수조사한 결과 이 가운데  27.9%(739건)이 전세가율 90%를 웃돈 것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전세가격이 매매가격보다 높거나 같은 사례도 19.8%(544건)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에서 깡통주택의 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강서구로 나타났다. 

강서구에서 거래된 신축빌라 전세거래 351건 가운데 290건(82.6%)이 전세가율 90%를 웃도는 것으로 집계됐다. 화곡동이 252건으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화곡동은 인근 목동, 마곡동 등과 비교해 상대적으로 집값이 낮은 데다 서울 지하철 5호선 화곡역과 서울 지하철 2·5호선 까치산역을 이용할 수 있어 주거 수요가 많은 지역이다. 

도봉구가 그 뒤를 이었다. 

도봉구는 신축빌라 전세거래 40건 가운데 전세가율 90%를 넘는 사례가 22건(55%)으로 집계됐다.

금천구는 121건 가운데 62건(51.2%)으로 나타났다. 독산동과 시흥동에 들어선 신축빌라를 중심으로 전세가율 90%가 넘는 전세가 많았다.

은평구는 134건 가운데 57건(42.5%)이 전세가율 90% 이상으로 집계됐다. 역촌동과 갈현동을 중심으로 전세거래가 많았다.

강북구와 서대문구·종로구는 신축빌라 전세거래가 각각 14건, 9건, 6건으로 거래량이 많지는 않았지만 그 가운데 절반 이상이 전세가율 90%를 웃돈 것으로 나타났다.

양천구(48.7%)와 관악구(34.5%), 구로구(29%) 등도 거래량이 많지는 않았지만 깡통주택의 비중이 높았다. 

다방은 이번 조사에서 전세가율을 계산할 때 상반기 매매된 빌라 매물과 소수점까지 같은 면적의 집을 기준으로 삼았다고 설명했다. 

다방은 "깡통주택 기준을 통상 매매가의 80%로 본다는 점을 고려하면 실제 깡통주택 비율은 더 높을 것으로 추정된다"고 덧붙였다. 

신축빌라에서 특히 깡통주택이 많은 이유를 두고 다방은 건설 사업자의 마케팅 전략과 빌라의 특성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제값을 다 주고 빌라를 매수하려는 수요가 없는 상황에서 세입자를 먼저 입주시키면 매수자가 최소 자기자본으로 집을 장만할 수 있어 매수자를 찾기 훨씬 수월해지기 때문이다.

다방 관계자는 "깡통주택은 임대차 계약이 만기된 뒤 세입자가 집주인에게 전세금을 돌려받을 때 문제가 생길 수 있다"며 "집값이 하락하면 집주인의 주택담보대출 금액이 줄어드는 데다 빌라 특성상 매매도 어려워질 수 있고 최악의 상황에는 전세보증금을 떼일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지효 기자]

최신기사

SK 최태원 "2028년까지 128조 이상 국내 투자, 용인에만 향후 600조 투입"
LG 구광모 "국내 향후 5년간 100조 투자, 60조는 소재부품장비에"
삼성 국내에 5년간 450조 투자·6만 명 채용, 평택 반도체 5공장 건설 착수
국민의힘 송언석 '검찰 반발' 촉구, "검찰 죽이기 공작에 굴복할 것인가"
이재명 "국내 투자 관심 가져달라", 삼성·현대차·SK·LG 재계 총수들 5년간 800..
정부 여당 '서울시 한강버스 사고 재발' 비판, 박주민 "운항 중지하고 전면 재검토해야"
비트코인 1억4401만 원대 하락, 아사히신문 "일본 정부 가상화폐 105종 금융상품 ..
현대차그룹 2030년까지 국내 125조 투자 '역대 최대', AI·SDV·로봇·수소 집..
경찰 1년간 사이버 성폭력범 3557명 검거 '48% 증가', '딥페이크' 범죄 가장 많아
인천 영흥화력발전소 화재 1시간 만에 초기 진화, 인명 피해는 없어
Cjournal

댓글 (0)

  • - 200자까지 쓰실 수 있습니다. (현재 0 byte / 최대 400byte)
  • -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댓글은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등 비하하는 단어가 내용에 포함되거나 인신공격성 글은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삭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