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그룹은 우리나라 주식시장에서 어디까지 영향력을 확대할까. 삼성SDS와 삼성에버랜드가 상장 추진 계획을 발표하면서 삼성그룹이 말 그대로 국내 증시를 ‘접수’할 기세다.
![]() |
||
▲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 |
삼성전자만 해도 5일 종가 기준으로 시가총액이 214조 원 이상으로 전체 주식시장 시가총액의 20%를 넘는다. 다른 기업이 넘볼 수 없는 시총 규모다.
코스피지수 역시 삼성전자에 영향을 많이 받는다. 증권가에서 “삼성전자가 기침만 해도 코스피가 알아눕는다”는 우스갯소리가 오갈 정도다.
삼성그룹의 시가총액 규모를 삼성생명, 삼성물산 등 삼성그룹 상장사 전체로 확대하면 비중은 더욱 높아져서 무려 28%에 이른다. 지난달 8일부터 30일까지 한국증시 전체 시총은 37조1761억 원이 늘었다. 같은 기간 삼성그룹 상장사 시가총액은 20조9805억 원이 늘어 전체 증가분의 56.4%를 차지했다. 그만큼 삼성그룹의 주식시장 영향력이 크다는 것을 보여준다.
여기에 거대 비상장 계열사인 삼성SDS와 삼성에버랜드가 상장을 예고했다. 연내 상장계획을 밝힌 삼성SDS가 상장될 경우 주가는 20만 원 안팎, 시가총액은 최대 20조 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전문가들은 삼성에버랜드의 경우 예상주가 365만 원에 시가총액 9조1천억 원을 점치고 있다. 이들을 단순 합산하면 삼성그룹의 시총은 30%에 육박한다.
여기서 끝이 아니다. 전문가들은 삼성그룹 지배구조가 개편되면 삼성그룹의 중심인 삼성전자의 주가가 더 상승할 것이라고 입을 모으고 있다. 경영승계를 위해서 삼성전자가 배당성향을 높일 것이라는 전망이 많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삼성전자 주가가 220만~240만 원까지 오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삼성전자 주가가 10%만 상승해도 삼성그룹의 주식시장 비중은 31.2%가 된다. 증권가 예상대로 삼성전자 주가가 오른다면 전체 삼성그룹의 시가총액은 38~39%까지 높아진다. 40%도 넘볼 수 있다.
외국에서도 이런 사례는 찾아보기 어렵다. 스웨덴의 발렌베리 그룹이 스웨덴 전체 주식시장의 40%를 차지한 적이 있는 게 전부다. 발렌베리 그룹은 자주 삼성그룹과 비교 대상에 오르는 스웨덴의 유력가문이다.
증권 전문가들은 삼성그룹 의존도가 지나치게 높아지면 우리 증시가 위기에 취약해 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한 투자전문가는 “최근 삼성그룹 지배구조 개편에 대한 기대감이 국내 증시 역동성을 높였다는 점에서는 긍정적”이라고 평가하면서도 “반대로 삼성그룹에 대한 불안요소가 발생하면 증시가 크게 출렁일 수 있다”고 말했다.
다른 증권 관계자는 “삼성그룹의 국지적 이슈가 전체 증시에 큰 영향을 끼칠 수 있다”며 “국내 증시의 건강한 성장을 위해서라도 지나친 쏠림 현상은 경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c) 비즈니스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김디모데 기자의 다른기사보기가천대 국내외 대학평가서 가파른 상승, '영원한 현역 총장' 이길여 바람개비 리더십 |
경성대 전·현직 이사장 투명하지 못한 경영에 상처 깊어져, 사학 공시체계 확립 요구 커져 |
오리온 해외 확대와 포트폴리오 혁신으로 '매출 5조'로, 이승준 품질로 승부 거는 집요함 |
비트코인 시세 11만 달러로 하락 가능성, 투자자 차익실현 '시험대' 이어져 |
중국 전기차·배터리 자국보다 해외에 더 많이 투자, "시장 포화로 해외 진출" |
노무라 현대로템 주식에 '매수' 의견, "해외 수주로 주가 30% 상승 잠재력" |
대한상의 "국민 76%, '노동조합법 개정되면 노사갈등 심화된다' 응답" |
테슬라 중국에서 LG엔솔 배터리 탑재한 '모델Y L' 판매, 가격 예상보다 낮아 |
LIG넥스원 1.8조 규모 '전자전 항공기' 사업 참여 공식화, 대한항공과 손잡아 |
엔비디아 실적 발표 앞두고 목표주가 상향 행렬, 중국 수출 재개는 '금상첨화' |
현대차 미국에 전고체 배터리 특허 출원, 구리 써서 원가 절감과 내구성 개선 |
DB투자 "삼성전자 실적 2분기 저점으로 반등, HBM3E 12단 품질 통과는 9월 말.. |
[김재섭의 뒤집어보기] '체신 마피아'가 개인정보보호위를 '과기정통부 2중대'로 만들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