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ournal
Cjournal
시민과경제  경제정책

부동산 공시가격 현실화율 90%로, 6억 이하 1주택자 재산세는 인하

이상호 기자 sangho@businesspost.co.kr 2020-11-03 17:53:57
확대 축소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유튜브 공유하기 url 공유하기 인쇄하기

부동산 공시가격 현실화율 90%로, 6억 이하 1주택자 재산세는 인하
▲ 김흥진 국토교통부 주택토지실장(왼쪽)과 박재민 행정안전부 지방재정경제실장이 3일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부동산 공시가격 현실화 계획’과 ‘재산세 부담 완화 방안’을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내년부터 부동산 공시가격의 현실화율이 점진적으로 상향 조정된다.

부동산 현실화율 상승에 따른 1주택자의 조세 부담을 낮추기 위해 6억 원 이하 주택에 부과되는 재산세는 인하된다.

국토교통부와 행정안전부는 3일 ‘부동산 공시가격 현실화 계획’과 ‘재산세 부담 완화방안’을 발표했다.

부동산 공시가격의 현실화율 목표치는 부동산 유형에 상관 없이 시세의 90%다.

2020년 기준으로 현실화율은 토지(표준지 기준) 65.5%, 단독주택(표준주택 기준) 53.6%, 공동주택 69.0% 등이다.

현실화율 조정은 공동주택은 가격대별로 5~10년, 단독주택은 7~15년, 토지는 8년 등에 걸쳐 연간 평균 3%포인트씩 높이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공시가격 현실화 계획은 2021년도 공시가격 산정부터 적용된다.

1세대 1주택자가 보유한 공시가격 6억 원 이하 주택에 부과되는 재산세율은 내년부터 3년 동안 과세표준 구간별로 0.05%포인트씩 낮아진다.

이에 따라 재산세가 줄어드는 감면율은 최대 50%에서 최소 22.2%로 계산된다. 공시가격 1억 원 이하 주택이 50% 감면으로 감면율이 가장 높고 누진과세의 특성상 주택 가격이 높을수록 감면율은 낮아진다.

재산세율 인하에 따라 예상되는 구체적 감면폭은 공시가격 1억 원 이하 주택은 최대 3만 원, 공시가격 1억~2억5천만 원 이하 주택은 3만~7만5천 원, 공시가격 2억5천만 원~5억 원 이하는 7만5천~15만 원, 공시가격 5억~6억 원 이하 주택은 15만~18만 원 등이다. 

주택 재산세 인하는 2021년부터 2023년까지 3년 동안 적용되며 이후 재산세율은 주택시장 변동상황 등을 고려해 추후에 다시 검토된다.

정부는 이날 발표된 정책의 추진을 위해 지방세법 등 개정을 정기국회에서 논의한다는 방침을 정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이상호 기자]

최신기사

민주당 3대 특검 종합대응 특위 "특별재판부 포함 내란특별법 도입 검토"
정청래 "검찰개혁에 당·정·대 이견 없어, 검찰청 역사 속으로 사라질 것"  
한화그룹, 글로벌·엔진·파워시스템·호텔앤드리조트 4개 계열사 신임 대표 내정
강태영 NH농협은행 홍콩 현장경영, "글로벌 사업 주요 수익축으로"
SK텔레콤, 슈나이더 일렉트릭과 'SK AI데이터센터 울산' 구축 협력
6·27대책 이전 서울 아파트 주담대 평균 3억, 강남 서초 용산 성동 송파 순
호반건설 서울 신월동 144-20 가로주택정비 수주, "인근과 연계수주 검토"
홈플러스 점포 임대료 협상 결렬로 15곳 순차 폐점, 11월16일 5곳 문 닫아
현대건설 첫 우수협력 현장소장 시상, 이한우 "소장 역량이 곧 현대건설 신뢰"
GS리테일 하반기 신입사원 공개채용, "유통혁신 인재 영입"
Cjournal

댓글 (0)

  • - 200자까지 쓰실 수 있습니다. (현재 0 byte / 최대 400byte)
  • -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댓글은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등 비하하는 단어가 내용에 포함되거나 인신공격성 글은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삭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