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ournal
Cjournal
정치·사회  사회

고려아연 삼성디스플레이 등 11곳, 하청노동자 산재사망률 높아

임한솔 기자 limhs@businesspost.co.kr 2020-02-20 18:02:25
확대 축소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유튜브 공유하기 url 공유하기 인쇄하기

국내 제조업과 철도운송업 등의 대규모 사업장 가운데 고려아연 온산제련소 하청노동자의 산업재해 사망사고 비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노동부는 20일 '원·하청 산재 통합관리제'에 따라 2018년 기준 하청노동자 사고사망 만인율이 가장 높은 사업장 11곳을 발표했다. 
 
고려아연 삼성디스플레이 등 11곳, 하청노동자 산재사망률 높아
▲ 고용노동부 로고.

원·하청 산재 통합관리제는 원·하청 노동자가 함께 일하는 사업장에서 발생한 하청노동자의 산재를 원청의 산재 통계에 통합해 관리하는 제도를 말한다. 2018년 도입됐으며 제조업, 철도운송업, 도시철도운송업의 1천 명 이상 사업장을 대상으로 한다. 

사고사망 만인율은 노동자 1만 명당 사고 사망자 수를 가리킨다.

하청노동자 사고사망 만인율이 가장 높은 사업장은 고려아연 온산제련소(15.072명)였다. 

삼성디스플레이 천안사업장(8.977명), 에쓰오일(5.244명), 르노삼성자동차(4.843명)가 뒤를 이었다.

포스코 포항제철소(3.231명), 한국철도공사(2.823명), 삼성전자 기흥공장(2.536명), LG디스플레이(0.901명), 포스코 광양제철소(0.862명), 현대제철(0.857명), 대우조선해양(0.501명)도 명단에 포함됐다.

이 11개 사업장의 2018년 산재사고 사망자는 모두 17명이었고 그 가운데 16명이 하청노동자였다. 

하청노동자 사망사고 원인은 질식(7명)이 가장 많았고 추락(4명)과 끼임(4명)이 그 다음으로 많이 발생했다. 나머지 1명은 원인 불명이었다.

11개 사업장의 원·하청 통합 사고사망 만인율은 0.961명이었다. 원청 사고사망 만인율은 0.108명이고 하청 사고사망 만인율은 1.893명으로 집계됐다. 

원·하청 산재 통합관리제에 따라 노동부는 원·하청 통합 사고사망 만인율이 원청 사고사망 만인율보다 높은 사업장 명단을 발표하도록 돼있다. 명단 발표는 이번이 처음이다.

박영만 노동부 산재예방보상정책국장은 “안전은 원·하청 소속에 따라 구분하여 적용하는 것이 아니다”며 “모든 노동자들이 똑같이 안전하게 일할 수 있는 일터를 만들기 위해 원·하청 위험요소를 찾아내고 없애는데 함께하는 안전문화가 정착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임한솔 기자]

최신기사

TSMC 실적이 '인공지능 버블 우려 무력화' 평가, AI 반도체 투자경쟁 가속
DS투자 "풀무원 하반기 갈수록 실적 개선, 속도는 느려도 방향은 맞다"
조국혁신당 차규근 "온실가스 배출 1위 포스코 3년간 탄소배출권 1738만 톤 초과 할당"
[한국갤럽] 6·3 지방선거 '여당 다수 당선' 39% '야당' 36%, 호남·TK 외..
[한국갤럽] 국내 원자력 발전 '확대해야' 40% vs '현재 수준 유지해야' 37%
[한국갤럽] 이재명 지지율 54%로 1%p 하락, 중도층 긍정평가 7%p 줄어
일론 머스크 xAI 엔비디아 반도체 대규모 리스, 오픈AI 앤스로픽과 차별화
대우건설 정원주 투르크메니스탄 비료공장 건설 본격화, 전략시장 거점 강화
HBM 이어 범용 D램도 고객사 물량확보 경쟁, 삼성전자 SK하이닉스 '특수'
미국 23개 주 트럼프 정부에 소송, "태양광 보조금 폐지는 저소득층에 악영향"
Cjournal

댓글 (0)

  • - 200자까지 쓰실 수 있습니다. (현재 0 byte / 최대 400byte)
  • -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댓글은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등 비하하는 단어가 내용에 포함되거나 인신공격성 글은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삭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