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사회  사회

강남3구와 용산구가 작년 전국 주택분 종합부동산세 42% 냈다

윤종학 기자 jhyoon@businesspost.co.kr 2019-12-29 12:18:17
확대 축소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유튜브 공유하기 url 공유하기 인쇄하기

2018년 종합부동산세 납세자가 1년 전보다 17% 늘어난 가운데 전체 종합부동산세의 40% 이상을 서울 강남3구(강남, 서초, 송파구)와 용산구 거주자가 낸 것으로 집계됐다.

29일 국세청의 '2019년 국세통계 연보'에 따르면 지난해 46만3527명이 1조8772억6천만 원의 종합부동산세를 냈다.
 
강남3구와 용산구가 작년 전국 주택분 종합부동산세 42% 냈다
▲ 국세청 로고.

2017년 39만7066명이 1조6864억6400만 원을 낸 것에 비교하면 납부 인원은 16.7%, 종합부동산세액은 11.3% 각각 증가했다. 1인당 평균 종부세액은405만 원으로 전년 425만 원보다 오히려 4.6% 줄었다.

지역별로는 서울시민의 종부세 납부액이 1조1208억2800만 원(23만8481명)으로 전체의 60%를 차지했다. 

경기(2733억 원·10만6325명)와 대전(662억8600만 원·6493명), 부산(658억9300만 원·2만2631명) 순으로 뒤를 이었다.

1인당 평균 종합부동산세액은 전남이 1099만 원으로 가장 많았고 대전이 1021만 원으로 2위를 차지했다.

개인 소유인 주택분 종합부동산세를 살펴보면 강남구(953억3300만 원), 서초구(472억3300만 원), 용산구(232억6300만 원), 송파구(220억3600만 원) 등 집값 상승을 주도한 지역의 납부액이 상위 1~4위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4개 구민의 주택분 종합부동산세 납부액은 1878억6500만 원으로 전국 주택 종합부동산세(4431억9000만 원)의 42.4%, 서울 주택 종합부동산세(2754억7천만 원)의 68.2%에 이른다.

2018년 집값 상승에 따라 단 한채의 주택만 소유하고도 종합부동산세를 납부한 사람은 12만7369명으로 2017년보다 45.9% 늘어났다. [비즈니스포스트 윤종학 기자]
비즈니스피플배너

인기기사

한진그룹 회장 조원태 “무엇을 포기하든 아시아나항공 반드시 인수” 임민규 기자
마이크론 중국 규제 받자 미국정부 지원 집중,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불리해져 김용원 기자
키움증권 "포스코인터내셔널 2차전지 소재 사업 확대, 중장기 성장성 강화"  허원석 기자
[데스크리포트 6월] 미국의 중국 견제, 한국 반도체 위축 일본 부활 가능성 박창욱 기자
크래프톤 개발 조직 분사 움직임, 김창한 잇따른 신작 실패에 ‘벼랑 끝’ 카드 임민규 기자
삼성바이오 셀트리온 24조 미국 ‘휴미라’ 시장 격돌, 판매방식 달라 성과 주목 임한솔 기자
두산퓨얼셀 수소사업 보릿고개, 정형락 정부 마중물 앞서 시장 개척 총력 류근영 기자
삼성바이오로직스 제5공장 가동 앞당긴다, 존 림 “수주액 100억 달러 돌파” 김용원 기자
FLNG 최강 삼성중공업 수주 준비 끝내, 플랜트 전문가 최성안 실력 발휘 채비 류근영 기자
롯데그룹 ‘키맨’으로 이훈기 역할 커져, 미래 성장동력 발굴에 신유열 승계까지 남희헌 기자

댓글 (0)

  • - 200자까지 쓰실 수 있습니다. (현재 0 byte / 최대 400byte)
  • -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댓글은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등 비하하는 단어가 내용에 포함되거나 인신공격성 글은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삭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