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의 특별 명예퇴직에 8천 명이 넘는 직원이 신청했다. 역대 세차례 있었던 KT 명예퇴직 중 최대 규모다. 앞으로 황창규의 ‘KT호’가 인력감축을 통해 조직의 군살을 빼고 경영위기를 극복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 |
||
| ▲ 황창규 KT 사장 | ||
KT는 21일 오후 6시까지 총 8320명이 명예퇴직을 신청했다고 밝혔다. 예상 명예퇴직 규모 6천 명을 훌쩍 넘는 역대 최대 규모다.
KT는 10일부터 21일까지 특별명예퇴직 접수를 받았다. 27일 영업재개일에 맞춰 조직정비를 마무리하기 위해 당초 24일까지 예정된 접수기간을 사흘 앞당겼다.
KT는 2003년과 2006년 명예퇴직을 실시한 적 있다. 각각 5505명과 5992명이 퇴직했다. 그보다 훨씬 많은 규모의 이번 명예퇴직으로 KT 직원수는 3만2천여 명에서 2만3천여 명으로 줄어들게 됐다.
근속기간 15년 이상 직원을 대상으로 한 이번 명예퇴직 신청자들은 평균 연령 51세, 평균 재직기간 26년이었다. 이들은 원할 경우 KT M&S ITS(고객서비스법인)에 2년간 재취업 기회를 얻는다. 또 퇴직자들을 위한 창업지원과 컨설팅 등 전직지원 프로그램도 가동된다.
KT는 이번 명예퇴직으로 매년 약 7천억 원의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게 됐다. KT는 인력감소로 나타나는 업무공백이 없도록 업무 효율화 및 인력 재배치를 시행하기로 했다.
KT경영지원부문장 한동훈 전무는 “이번 명예퇴직으로 KT가 당면한 경영위기를 극복하고 변화와 혁신을 통해 1등 KT로 거듭나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명예퇴직하는 동료들에게 부끄럽지 않게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일부 KT 직원들은 회사의 퇴직종용이 있었다고 주장했다. 회사가 구조조정에 따른 업무공백 예방을 위한 방안을 내라고 압박을 했다는 것이다. 이들은 회사가 기존의 업무에서 손을 떼라는 식으로 퇴직압력을 줬다고 말했다.
KT는 특별명퇴 대상자들이 예민한 상황에서 오해를 한 것이라며 퇴직강요는 없었다고 해명했다.
<저작권자(c) 비즈니스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김디모데 기자의 다른기사보기| 류진 풍산 승계 어떻게 하나, 아들 한국 국적 포기해 방산업체 소유와 경영 장벽 높아 |
| 게임업계 '싱글 콘솔 대작' 흐름인데 카카오게임즈 신작 방점은 '온라인', 한상우 실적개선 차별화 전략은 |
| 풍산 신소재 개발과 방산 생산량 증대 집중, 전문경영인 박우동·손신명·황세영·서정국 역할 분담 |
| 현대제철 당진제철소 불법파견 소송 2심서 뒤집혀, 566명만 정규직 인정 |
| '실적 부진' 롯데웰푸드 대표 교체, 새 대표 서정호 가야할 길은 '수익성 회복' |
| 오스코텍 "제노스코 100% 자회사 편입 위해 발행주식 확대, 주주가치 제고" |
| 삼성증권 2026년 임원인사 실시, 부사장에 양완모 강남지역본부장 |
| 나이스신용평가 "롯데케미칼 NCC 통폐합되면 적자 축소, 일회성 비용 발생할 수도" |
| SK하이닉스 3분기도 매출 기준 D램 글로벌 1위, 점유율 33.2%로 삼성전자 소폭 앞서 |
| HD현대중공업 신임 노조지부장에 김동하 당선, 강성 성향으로 분류 |
| HDC그룹 4개 계열사 대표이사 교체, 정몽규 차남 상무보로 승진 |
| [오늘의 주목주] '2차전지 주식 강세' LG화학 9%대 급등, 코스닥 케어젠 11%대.. |
| 롯데건설 '부도설 지라시' 고소, "허위사실 유포에 강력 대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