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의 특별 명예퇴직에 8천 명이 넘는 직원이 신청했다. 역대 세차례 있었던 KT 명예퇴직 중 최대 규모다. 앞으로 황창규의 ‘KT호’가 인력감축을 통해 조직의 군살을 빼고 경영위기를 극복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 |
||
▲ 황창규 KT 사장 |
KT는 21일 오후 6시까지 총 8320명이 명예퇴직을 신청했다고 밝혔다. 예상 명예퇴직 규모 6천 명을 훌쩍 넘는 역대 최대 규모다.
KT는 10일부터 21일까지 특별명예퇴직 접수를 받았다. 27일 영업재개일에 맞춰 조직정비를 마무리하기 위해 당초 24일까지 예정된 접수기간을 사흘 앞당겼다.
KT는 2003년과 2006년 명예퇴직을 실시한 적 있다. 각각 5505명과 5992명이 퇴직했다. 그보다 훨씬 많은 규모의 이번 명예퇴직으로 KT 직원수는 3만2천여 명에서 2만3천여 명으로 줄어들게 됐다.
근속기간 15년 이상 직원을 대상으로 한 이번 명예퇴직 신청자들은 평균 연령 51세, 평균 재직기간 26년이었다. 이들은 원할 경우 KT M&S ITS(고객서비스법인)에 2년간 재취업 기회를 얻는다. 또 퇴직자들을 위한 창업지원과 컨설팅 등 전직지원 프로그램도 가동된다.
KT는 이번 명예퇴직으로 매년 약 7천억 원의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게 됐다. KT는 인력감소로 나타나는 업무공백이 없도록 업무 효율화 및 인력 재배치를 시행하기로 했다.
KT경영지원부문장 한동훈 전무는 “이번 명예퇴직으로 KT가 당면한 경영위기를 극복하고 변화와 혁신을 통해 1등 KT로 거듭나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명예퇴직하는 동료들에게 부끄럽지 않게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일부 KT 직원들은 회사의 퇴직종용이 있었다고 주장했다. 회사가 구조조정에 따른 업무공백 예방을 위한 방안을 내라고 압박을 했다는 것이다. 이들은 회사가 기존의 업무에서 손을 떼라는 식으로 퇴직압력을 줬다고 말했다.
KT는 특별명퇴 대상자들이 예민한 상황에서 오해를 한 것이라며 퇴직강요는 없었다고 해명했다.
<저작권자(c) 비즈니스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김디모데 기자의 다른기사보기한미반도체 '1등 아니면 죽는다' 창업주 정신 절실, 곽동신 SK하이닉스 외 고객 다변화 온힘 |
한미반도체 3인 이사회는 오너 곽동신 중심, 결단력 의사결정과 독단적 의사결정 사이 |
한미반도체 오너 곽동신 아들 곽호성이 명품 판매업체 곽신홀딩스서 경영수업 받는 이유 |
유엔 세계 각국에 기후총회 대표단 축소 요청, "개최지 숙박시설 부족해" |
애플 차기 아이폰 '반도체 혁신' 예고, TSMC 2나노 공정과 자체 통신칩 적용 |
마이크론 실적으로 'HBM 공급과잉' 우려 완화, SK하이닉스와 경쟁에 점유율 유지 전망 |
iM증권 "LG디스플레이 목표주가 상향, 하반기 새 스마트폰 OLED 탑재 효과" |
새마을금고, 상호금융조합 비과세로 2.4조 세금 혜택에도 대출 70% 이상은 비조합원 |
SK텔레콤 오픈AI와 손잡고 B2C 협력, 챗GPT 플러스 프로모션 진행 |
비트코인 1억6070만 원대 횡보, "최고가 경신 전 저가 매수 기회" 분석도 |
국제 해킹조직 SK텔레콤 가입자정보 판매 주장, SK텔레콤 '사실 아냐' 반박 |
상법 개정·세제 개편 예상에 증권주 기대, 하나증권 "상상인증권 키움증권 한국금융지주 .. |
SK온 전고체 배터리 파일럿 플랜트 준공, 상업생산 2029년으로 1년 앞당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