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지방자치단체 등 96곳이 5400억 원 규모 대형사업인 네이버 데이터센터를 끌어들이기 위해 다양한 장점과 인센티브를 내걸고 유치전에 뛰어들었다.
네이버는 경기도 용인에 데이터센터를 추진하면서 주민 반대로 인허가에 난항을 겪었던 만큼 이번 유치 과정에서 지역민들을 대상으로 긍정적 여론을 조성하는 지자체를 선택할 것으로 보인다.
▲ 강원도 춘천시에 있는 네이버 데이터센터 '각'. <네이버> |
14일 네이버는 전국 지자체 및 민간사업자들을 대상으로 진행했던 데이터센터 유치 최종 제안서 접수를 마무리했다.
네이버에 따르면 기존에 유치를 문의한 지자체 등 136곳에서 다시 최종 제안서를 받은 결과 96곳이 참여했다.
데이터센터는 각종 데이터를 보관하는 서버 등 장치들이 대량으로 들어서는 시설이다.
네이버는 2013년 강원도 춘천시에 데이터센터 ‘각’을 건립한 뒤 새로운 데이터센터 부지를 물색해왔다.
2017년 들어 경기도 용인에 제2 데이터센터를 짓기로 했지만 최근 무산됐다.
지자체들은 네이버 데이터센터를 유치하기 위해 지역마다 장점을 강조하는 한편 각종 행정적, 재정적 인센티브를 내놓고 있다.
충북 제천시는 봉양읍 제3 산업단지를 데이터센터 부지로 제시햇다. 제천시는 조례에 따라 3천억 원 이상 투자하는 기업에 최대 10만㎡까지 부지 매입비를 지원할 수 있다.
부산시는 강서구 미음산업단지에 데이터센터 유치를 계획하고 있다. 부산시는 해외와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해 필요한 통신 중간기점 ‘IX(Ineternet Exchange)노드’를 보유하고 있어 통신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것을 장점으로 꼽았다.
강원 평창군도 대관령 일대를 부지로 내놓겠다며 데이터센터 유치전에 뛰어들었다. 수도권과 비교해 토지 가격이 낮은 점, 지진 등 자연재해로부터 안전한 점, 전담 태스크포스(TF)를 통한 인허가 지원을 약속했다.
다만 지자체의 지원과 의지도 중요하지만 데이터센터 예정부지 인근 주민들로부터 찬성 의견을 이끌어내는지 여부도 이번 유치전을 가를 중요한 요인이 될 것으로 보인다.
네이버가 당초 용인시 기흥구 공세동에 데이터센터 건립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전자파 피해, 환경오염 등을 우려하는 주민들의 강한 반대를 경험했기 때문이다.
당시 용인시는 주민들의 반대 목소리가 커지면서 데이터센터 인허가 행정절차를 진행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네이버는 6월 용인시 데이터센터 건립계획을 포기하고 새로 부지 공모에 들어갔다.
네이버 관계자는 “다양한 각도에서 데이터센터 입지를 검토할 것”이라며 “자세한 선정기준에 관해서는 공개하기 어렵다”고 말을 아꼈다.
한 지자체 관계자는 “데이터센터 유치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용인시의 사례를 참고할 것”이라며 “지역민과 충분히 소통하겠다”고 말했다.
지자체들은 네이버 데이터센터에 따르는 막대한 경제적 효과를 기대하는 만큼 이번 유치전에 온 힘을 쏟을 것으로 보인다.
네이버는 데이터센터 건설에 5400억 원의 사업비를 투입하기로 했다.
지방자치단체 예산안을 종합하면 2019년 기준 전국 기초자치단체 226곳의 평균 세입은 7300억 원가량으로 파악된다.
지자체 1년 수입의 절반 이상에 이르는 대형사업이 지역 건설업 등 경기에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데이터센터 시설 자체의 고용효과와 세수도 상당한 수준인 것으로 파악됐다.
춘천시에 있는 데이터센터 ‘각’은 지역 인력을 700명가량 고용했다. 네이버는 2018년 춘천시에 지방세 168억 원을 납부했다.
네이버는 14일 최종 제안서를 접수한 지자체와 민간사업자들을 대상으로 서류심사와 현장실사를 거쳐 9월 안에 최종 우선협상자를 선정한다. 2020년 상반기 착공, 2022년 완공을 계획하고 있다. [비즈니스포스트 임한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