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의 발등에 불이 떨어졌다. 대선 1주년을 맞은 박 대통령의 지지율이 48%로 떨어졌다. 지난 9월(67%)에 비해 무려 20%포인트 가까이 떨어진 수치다. 내년 지방선거를 본격적으로 준비해야 하는 시기이기에 이번 결과는 더 뼈아프다. 박 대통령의 지지율 하락이 새누리당의 지방선거에 악영향을 끼칠 경우, 박 대통령의 남은 임기 4년 역시 흔들릴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
|
|
▲ 대선 1년이 지난 12월 셋째주 여론조사 결과 박근혜 대통령 지지율은 48%에 머물렀다 |
‘한국갤럽’이 지난 16일부터 19일까지 나흘간 전국 성인 1,207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주간정례여론조사에서 박 대통령의 직무수행 지지율을 조사한 결과 ‘잘 하고 있다’는 응답은 48%로 나타났다. 전주에 비해 6% 하락한 수치다. 지지율이 50% 아래로 떨어진 것은 인사실패 논란이 불거졌던 4월 이후 처음이다.
◆ 지방선거, 이전엔 어땠나
중요한 것은 내년 6월에 치러질 지방선거다. 박 대통령은 집권 2년차에 지방선거를 맞게 됐다. 정권 초기에 맞는 지방선거는 향후 국정 운영의 방향을 좌우하는 중요한 분수령이다.
이명박 정권은 3년차인 2010년 지방선거를 맞았으나 인천, 강원, 경남 등에서 야권 후보에게 밀리며 선거에서 실질적으로 패배했다. 당시 당대표였던 정몽준 의원은 선거 결과에 책임을 느끼고 사퇴할 정도로 지방선거 패배는 충격이었다. 선거를 기점으로 이명박 정권의 국정 장악력은 후퇴했다. 조기 레임덕을 맞이했다는 평이다.
반면 노무현 정권 때는 집권 2년째인 2004년 총선을 치렀다. 당시 노 전 대통령은 탄핵소추안이 발의돼 직무 정지 중이었다. 그러나 총선에서 열린우리당이 우세승을 거두었고, 탄핵안은 기각됐다. 이후 정국은 빠르게 안정됐고 노 전 대통령은 과반의석을 차지한 여당의 지지를 바탕으로 무리없이 국정 운영을 할 수 있었다.
◆ 점점 불안해지는 새누리당
새누리당은 내년 지방선거는 당연히 승리하리라고 자신했다. 지난 10월 재보궐선거의 압승과 야권의 분열로 인한 반사이익 등 정당지지도에서 민주당을 압도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지방선거는 정권에 대한 민심이 표출되는 한판 싸움이다. 박 대통령의 지지율이 하락하고 있는 이상 낙관할 수만은 없다.
특히, 미니 대선으로 불리는 서울, 경기, 인천 등 수도권 광역단체장 선거는 그 중요도가 더 높다. 여기에서의 패배는 정권에 심한 타격을 입힌다. 지금까지의 여론조사 결과, 어느 한 곳도 쉽게 승리를 장담할 수 없다. 새누리당으로서는 ‘확실한 카드’를 제시하지 못하면 위험하다.
이러한 상황에서 지지율 40%대 추락은 큰 불안 요소다. 더욱이 조사 결과 안철수 신당이 창당될 경우 정당 지지율은 새누리당 35%, 안철수 신당 32%로 고작 3% 차이밖에 나지 않는다. 때문에 지방선거 결과가 마냥 장밋빛은 아닐 것이라고 보는 시각이 많아지고 있다.
◆ ‘소통’으로 지지율 끌어올릴 수 있을까
박 대통령도 위기감을 느꼈는지 26일 신년기자회견을 예고했다. 대통령 당선 이후 첫 번째 기자회견이다. 이명박 전 대통령이 취임 1년간 15회, 노무현 전 대통령이 1년간 18회의 기자회견 또는 국민과의 대화를 했던 것에 비하면, 소통이 적었던 것은 분명하다.
박 대통령은 어떤 선택을 할 수 있을까? 지지율을 끌어올려 지방선거에서 승리를 하기 위해서는 지지율을 끌어내렸던 불통 이미지를 벗는 것도 중요하지만, '선심성 행정'을 펼치는 것도 불가피하다. 철도파업 등에 대한 유화제스처, 증세 등 세금이슈의 일부 후퇴, 복지정책의 고수 등등을 선택해야 한다. 그러나 이를 선택할 경우 지방선거 이후 국정운영에 대해 큰 부담을 안게 된다. 요구가 분출할 것이고 한정된 자원으로 효과적으로 재원을 배분할 수 없게 되면서 민심이반의 악순환에 빠질 수도 있다.
그렇다고 국정운영의 현실을 고려해 대통령 선거 당시의 공약들을 하나씩 파기해 나가는 등 후퇴를 할 경우 민심이반은 가속되고 현재 지지율조차도 유지하기 어렵게 된다. 이렇게 되면 지방선거에서 어려운 싸움이 예상된다. 자칫 '중간평가적 성격'과 '박근혜 정권심판'으로 지방선거 이슈가 형성될 경우 낮은 지지율은 선거패배라는 부메랑으로 돌아올 게 뻔하다. 지방선거 이후 조기 레임덕 현상을 맞을 수도 있다. 박 대통령의 신년기자회견이 이를 가늠하는 잣대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