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ournal
Cjournal
시민과경제  경제일반

3월 소비자물가 상승률 0.4%로 석 달째 0%대

백승진 기자 bsj@businesspost.co.kr 2019-04-02 11:25:33
확대 축소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유튜브 공유하기 url 공유하기 인쇄하기

3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3개월 연속 0%대를 보였다. 석유류와 채소류 가격이 떨어지고 서비스요금 상승률이 둔화되면서 상승폭이 줄어들었다.

통계청이 2일 내놓은 ‘소비자물가 동향’을 보면 3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04.49로 집계돼 2018년 같은 기간보다 0.4% 올랐다. 이 상승률은 2016년 7월 0.4%를 보인 뒤 가장 낮은 수치다.
 
3월 소비자물가 상승률 0.4%로 석 달째 0%대
▲ 통계청이 2일 내놓은 ‘소비자물가 동향’을 보면 3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04.49로 집계돼 2018년 같은 기간보다 0.4% 올랐다. <통계청>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018년 8월까지 1%대에 머물다 9월부터 11월까지 2개월 동안 2%대로 올랐다. 그러나 2018년 12월 1%대로 다시 떨어진 뒤 2019년 2월에 0.5%까지 하락했다.

3월 소비자물가는 석유류 물가가 떨어지면서 상승폭이 둔화됐다.

석유류 물가는 2018년 3월보다 9.6% 떨어졌다. 전체 물가를 0.43%포인트 떨어뜨리는 효과를 나타냈다.

국제유가가 떨어지고 유류세가 인하돼 석유류 물가의 하락폭이 커졌다.

석유류 품목별로 물가 하락폭을 살펴보면 휘발유 –12.6%, 경유 –7%, 자동차용 액화석유가스(LPG) -6.9% 등이다.

농축수산물 물가는 같은 기간 12.9% 떨어져 전체 물가를 0.02%포인트 떨어뜨렸다.

농축수산물 물가 하락은 채소류 물가가 2018년 3월보다 12.9% 떨어진 데 영향을 받았다. 기상 여건이 좋아 채소류 출하량이 증가해 가격이 떨어졌다.

채소류 품목별로 물가 하락폭을 살펴보면 무 –51.1%, 파 –30.6%, 양파 –30.3%, 호박 –30%,  딸기 –16.1% 등이다.

서비스 물가는 2018년 3월보다 1.1% 올라 전체 물가를 0.58%포인트 상승하도록 했다. 그럼에도 이 수치는 2014년 2월 1.1% 이후 가장 낮은 상승률이다.

품목별로 살펴보면 학교 급식비가 같은 기간 41.3% 떨어져 1995년 1월 관련 통계를 작성한 이후 최대 하락폭을 나타냈다. 공공서비스는 같은 기간 0.3% 떨어졌으나 개인서비스는 2% 올랐다.

3월 생활물가지수는 2018년 같은 기간과 비교해 변동이 없었다. 생활물가지수는 체감물가를 나타내기 위해 자주 사들이고 지출 비중도 높은 품목 141개를 바탕으로 작성한다.

신선식품지수는 2018년 3월보다 3% 떨어졌다. 신선식품지수는 채소·과실·어류 등 기상조건이나 계절에 따라 가격이 크게 바뀌는 품목 50개를 기준으로 만든다.

경제협력개발기구(OCED) 기준에 맞춘 식료품및에너지제외지수는 0.8%, 계절이나 일시적 충격에 따른 물가 변동을 제외한 농산물및석유류제외지수(근원물가)는 0.9% 상승했다.

김윤성 통계청 물가동향과장은 “2018년 11월부터 2월까지 국제유가 하락과 유류세 인하로 석유류가 물가 안정에 가장 많이 기여했다”며 “채소류 출하량도 늘고 서비스요금 상승세도 둔화돼 물가 하락에 영향을 미쳤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백승진 기자]

최신기사

NH투자 "코스맥스 중국과 미국 법인 매출 성장, 해외법인 손익 개선에 주목"
메리츠증권 "CJENM 미디어플랫폼 영업적자, 영화드라마는 흑자전환 전망"
SK증권 "대웅제약 내년 영업이익 2천억 돌파, 호실적 지속"
이재용·정의선·조현준, 14일 일본 도쿄 '한미일 경제대화' 참석한다
코스피 미·중 무역 갈등에 3580선 하락, 원/달러 환율 1425.8원 마감
비트코인 1억7334만 원대 상승, 커진 변동성에 전문가 전망 엇갈려
비수기 3분기에도 웃은 카카오, AI 서비스로 '카카오톡 개편 논란' 잠재울까
대신증권 "아모레퍼시픽 코스알엑스 4분기 부진 완화, 안정적 체력 유지"
산업장관 김정관 "3500억 달러 투자금 증액 요구는 없다" "새 제안 와서 검토중"
[오늘의 주목주] '반사수혜 기대' 고려아연 19%대 상승, 코스닥 HLB 6%대 올라
Cjournal

댓글 (0)

  • - 200자까지 쓰실 수 있습니다. (현재 0 byte / 최대 400byte)
  • -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댓글은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등 비하하는 단어가 내용에 포함되거나 인신공격성 글은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삭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