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철호 울산시장이 역점사업인 해상 풍력발전 추진에 걸림돌이 되고 있는 해군 작전구역 침범 논란을 넘는 데 힘쓴다.
27일 울산시청에 따르면
송철호 시장은 해상 풍력발전 사업구역인 울산 동해 정 해역(울산 동남쪽 63킬로미터 지점)에서 해군 작전구역 침범 논란을 빚은 구간의 사업계획 변경을 지시하는 등 해상 풍력발전 추진에 전력을 쏟고 있다.
울산시청 관계자는 해상 풍력발전사업 구역이 우리 군의 군사작전 구역을 침범했다는 울산해양수산청의 지적에 “해군의 작전구역이 민간에 공개되지 않은 보안사항이라 알지 못했다"며 “군이 문제 제기한 사업구역을 작전지역에 영향이 없는 곳으로 옮기겠다"고 말했다.
송 시장은 민간 투자회사들과 손잡고 한국에서 가장 해상 풍력발전 경제성이 높은 울산 동해 정 해역을 기점으로 해상 풍력발전단지 조성을 추진하고 있다.
취임 이후 야심차게 울산의 미래를 바꿀 성장엔진으로 해상 풍력발전을 내걸었지만 첫 삽을 뜨기도 전에 해군 작전구역 침범 논란이라는 장애물을 만났다.
작전구역 침범 문제를 풀기 위해 국방부와 협의하는 과정에서 사업 진행이 차일피일 미뤄지면 투자를 약속한 민간회사들이 빠져나갈 수 있어 다급한 상황이라고 할 수 있다.
해상 풍력발전이 전액 민간투자로 진행된다는 점을 고려하면 송 시장은 이번 해군 작전구역 침범문제를 서둘러 정리해야 한다.
송 시장은 해상 풍력발전을 추진하기 위해 1월 로열더치쉘과 코엔스헥시콘, SK E&S와 CIP, GIG, KFWind 등 민간 투자회사 4곳과 업무협약을 맺었다.
이 투자회사들은 2030년까지 원전 4~6기에 해당하는 6기가와트급 해상 풍력발전단지를 울산 해상에 조성하기로 했다.
1기가와트급 해상 풍력발전단지를 조성하는 데는 6조 원이 들어갈 것으로 추산된다. 민간 투자회사들의 투자금액을 전부 합하면 36조 원이나 된다.
울산시 예산은 2019년 3조6천억 원에 불과한데 민간 투자회사 없이 초대형급 해상 풍력발전을 추진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
울산시는 송 시장이 해상 풍력발전을 ‘울산의 새로운 성장엔진’이라고 부를 정도로 무게를 두고 있는 만큼 작전구역 침범 논란으로 사업 추진력이 흩어지지 않도록 우선 문제가 없는 해역부터 계획대로 진행해가기로 했다.
울산시청 관계자는 “문제가 된 해역을 제외한 곳부터 투자회사들이 4월 안에 라이다(풍력 계측 장비) 설치를 시작할 수 있도록 조치하겠다"고 말했다.
울산시가 추진 중인 해상풍력발전은 상업화 이전에 사업 타당성을 분석하기 위해 200메가와트급 실증단지를 설치해야 한다. 이를 위해 라이다를 바다 위에 설치하고 해당 지역의 풍력 관련 데이터를 1년 동안 모아야 한다.
하지만 라이다 설치 허가권을 지닌 울산해양수산청이 최근 민간 투자회사들이 라이다를 설치하겠다고 신청한 구역 일부가 해군의 작전구역을 침범한다며 신청을 반려해 울산시가 사업 추진에 어려움을 겪어왔다. [비즈니스포스트 임한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