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ournal
Cjournal
기업과산업  중공업·조선·철강

한국 조선업계, 2월 글로벌 발주 90% 싹쓸이해 수주실적 세계 1위

고진영 기자 lanique@businesspost.co.kr 2019-03-11 12:02:35
확대 축소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유튜브 공유하기 url 공유하기 인쇄하기

한국 조선업계가 2월 글로벌 수주실적에서 중국을 크게 따돌리고 1위를 차지했다.

11일 영국의 조선해운시황 분석기관 클락슨리서치에 따르면 한국은 2월 한 달 동안 세계 선박 발주량 70만CGT(15척)의 90%인 63만CGT(8척)를 쓸어담았다.
 
한국 조선업계, 2월 글로벌 발주 90% 싹쓸이해 수주실적 세계 1위
▲ 현대중공업 울산조선소 도크.

같은 기간 중국은 세계 발주량의 3%를 수주하는 데 그쳤다.

한국 조선업계의 수주잔량 역시 증가했다.

2월 기준으로 글로벌 수주잔고는 8050만CGT로 1월 말보다 101만CGT 감소했지만 한국은 22CGT 늘었다. 같은 기간 중국은 수주잔고가 21만CGT, 일본은 54만CGT 줄었다.

현재 국가별 수주잔량을 보면 중국이 2913만CGT(36%)로 가장 많고 한국 2175만CGT(27%), 일본이 1452만CGT(18%)로 뒤를 잇고 있다.

선박 가격도 오르고 있다.

올해 2월 클락슨 신조선가지수는 131포인트로 1월보다 1포인트 상승했다. 신조선가지수는 1988년 1월 기준으로 선박 건조비용을 100으로 놓고 매달 가격을 비교한 것인데 지수가 100보다 클수록 선박 가격이 많이 올랐다는 뜻이다. 

특히 LNG(액화천연가스)운반선 가격은 두 달 연속으로 100만 달러씩 오르며 상승세를 이어갔다.

선종별 건조가격 추이를 살펴보면 2월 LNG운반선은 1억8500만 달러로 1월보다 100만 달러 비싸졌다. 지난해 2월에 1억8천만 달러로 최저점을 찍은 이후 지속적으로 오르고 있다.

2월 초대형 원유운반선(VLCC)과 대형 컨테이너선(1만3천~1만4천TEU)의 건조가격은 각각 9300만 달러, 1억1500만 달러로 1월과 같았다. [비즈니스포스트 고진영 기자]

최신기사

카카오 '오너리스크'에도 외국인 지분율 우상향, 오픈AI 협업 기대감 이어진다
'보안투자 1위' 넥슨 해킹 소동 '시끌', 게임업계 보안 경고음 켜지다
"보험 가입부터 신사업 연계 솔루션까지", 보수적 보험업계 흔드는 AI 바람
인텔 이어 마이크론도 트럼프 정부와 '밀착',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불안 키워
내년 퀄컴 AP 가격 더 오를 판, 삼성전자 노태문 '엑시노스2600'으로 원가 낮춘다
한화솔루션 미국 태양광 프로젝트 확대 수혜, 박승덕 임대 사업으로 흑자 눈앞
'2조 국가AI컴퓨팅센터' 잇단 유찰에 대폭 손질, '비수도권 설치' 조항이 최대 변수
메타 'AI 하드웨어 기업' 탈바꿈 속도전, 메타버스 대신 로봇과 신사업 본다
CJ제일제당·농심·대상까지, 유통가 보이그룹 '세븐틴'으로 해외시장 노린다
'고급화' '안전 강화' 압박에 선별수주, 대형건설사 도시정비 경쟁입찰 '실종'
Cjournal

댓글 (0)

  • - 200자까지 쓰실 수 있습니다. (현재 0 byte / 최대 400byte)
  • -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댓글은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등 비하하는 단어가 내용에 포함되거나 인신공격성 글은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삭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