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중공업그룹이 대우조선해양을 성공적으로 인수하면 연구개발(R&D) 등에서 시너지를 낼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됐다.
다만 경쟁국의 기업결합 심사 등을 통과하는 일이 과제로 지목됐다.
▲ 현대중공업그룹은 대우조선해양 인수를 위해 3월8일 산업은행과 본계약을 체결했다. |
정동익 KB증권 연구원은 11일 "현대중공업그룹의 대우조선해양 인수로 한국 조선산업이 '빅2'체제로 재편되면 현대중공업은 규모의 경제와 중복투자 제거, 구매 및 연구개발부문 등의 측면에서 시너지 효과를 볼 수 있다"고 전망했다.
현대중공업그룹은 대우조선해양 인수를 위해 8일 산업은행과 본계약을 맺었다.
계약에 따라 현대중공업그룹은 현대중공업을 투자부문과 사업부문으로 물적분할한 뒤 산업은행이 보유한 대우조선해양 지분 56%를 현물로 출자받는다.
이렇게 되면 분할 이후 존속법인인 중간지주회사(가칭 한국조선해양)는 현대중공업 사업회사와 대우조선해양, 현대미포조선, 현대삼호중공업 등 조선사 4개를 거느리고 산업은행은 중간지주회사의 2대주주가 된다.
그러나 기업결합 심사와 노조의 반발 등을 극복할 수 있을지가 인수 성사 여부의 관건으로 꼽혔다.
정 연구원은 "노조 반발이 향후 전면파업 등으로 확대되면 생산 차질과 이에 따른 지체배상금 등이 문제될 수 있고 이해관계 국가들의 기업결합 심사도 현대중공업그룹이 넘어야 할 산"이라고 분석했다.
이번 계약은 국내외 공정거래위원회의 기업결합 승인 등 거래 종결에 필요한 각국 정부의 인허가를 모두 취득하는 것을 선행 조건으로 한다.
과거 사례를 보면 유럽연합(EU)은 2000년대 초 한국 정부가 조선사들에게 불법지원을 했다며 세계무역기구 (WTO)에 제소하는 등 한국 조선업을 견제하는 모습을 보였다.
독일과 프랑스는 이탈리아 핀칸티에리 조선소와 STX프랑스 사이의 합병을 막기 위해 유럽연합 집행위원회에 독과점 조사 탄원서를 넣기도 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고진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