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 전국공무원노조 서울지부는 서울시에 “강제 제로페이 실적 할당, 인센티브사업, 구청별 평가, 강제 공무원 동원 등을 하지 말라”고 요구했다.
박 시장의 총력전에도 불구하고 제로페이의 실제 이용액은 미미한 수준이다.
6일 김종석 자유한국당 의원은 2019년 1월 제로페이 결제실적이 8633건, 결제금액은 약 1억9949만 원에 불과하다는 금융감독원 자료를 공개했다. 1월 한 달 동안 전체 카드 결제건수의 0.0006%에 불과한 적은 수치이다.
1월 31일 기준 제로페이에 정식 등록한 가맹점은 4만6628개로 한 달 동안 가맹점당 거래실적은 평균 0.19건( 4278원)에 그친다. 아직 초기이긴 하지만 서울시가 ‘시정 4개년 계획’에서 밝힌 2019년 제로페이 이용액 목표액 8조 5300억 원에 한참 못미친다.
무엇보다 제로페이가 내세우는 ‘소상공인을 돕는 소비’가 실사용자들에게는 피부로 와닿지 않는다는 지적을 받는다.
제로페이가 막대한 예산을 들여 홍보한다고 해도 신용카드와 경쟁하기에는 할부기능이 없어 경쟁력에서 밀린다. 연간 40%까지 소득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지만 신용카드 결제에 익숙한 중장년층의 소비습관을 바꾸기는 힘들다는 지적도 있다.
카카오페이, 삼성페이 등 민간 주도 간편결제시장이 활성화된 상황에서 서울시가 ‘착한 소비’만으로 선점된 시장 틈새를 뚫고들어가기 쉽지 않다는 분석도 나온다.
서울시가 민간시장에 뛰어든 것은 제로페이가 처음은 아니다.
서울시는 2017년 12월 한국스마트카드와 손잡고 택시호출앱 ‘지브로’를 개발했으나 소비자와 택시기사 양쪽의 외면을 받고 결국 실패했다. 이미 ‘카카오택시’가 선점한 시장에 후발주자로 뛰어들었으나 역부족이었다.
서울시는 택시기사가 승차객의 목적지를 알 수 없어 승차거부를 할 수 없다는 점을 장점으로 내세웠으나 되려 택시기사들이 ‘지브로’ 앱 호출을 거부하는 결과를 낳았다.
서울시 관계자는 “지브로 공공앱은 카카오 택시의 힘에 밀려 무참히 패배했다”며 “지브로앱은 아직 운영하고 있지만 거의 사용이 없어서 올해 안에 서비스를 재개편해 선보일 것”이라고 말했다.
이용자들의 필요와 편의를 고려하기보다는 시 주도의 정책만을 강조하며 홍보에 막대한 예산을 투자하고 있는 점에서 지브로와 제로페이가 닮은 꼴이란 지적도 있다.
민간기업 주도로 형성된 시장에 서울시가 후발주자로 뛰어든 것이나 초반에 홍보 및 지원에 막대한 예산을 투자했지만 실제 이용자의 외면을 받고 있다는 점에서 비슷하다는 것이다.
지브로의 실패를 되풀이 하지 않기 위해서라도 제로페이가 공익성을 강조하기 보다는 이용자들의 편의를 더 고려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비즈니스포스트 석현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