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ournal
Cjournal
기업과산업  자동차·부품

한국GM, 말리부 이쿼녹스 공격적 할인정책에도 판매회복 고전

차화영 기자 chy@businesspost.co.kr 2019-03-06 16:00:56
확대 축소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유튜브 공유하기 url 공유하기 인쇄하기

한국GM이 내수 판매 회복에 온힘을 쏟고 있지만 주력 차종인 말리부와 이쿼녹스 등의 판매 부진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6일 한국GM에 따르면 올해 1~2월 국내 누적 판매량은 1만340대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5% 줄었다. 
 
한국GM, 말리부 이쿼녹스 공격적 할인정책에도 판매회복 고전
▲ 카허 카젬 한국GM 대표이사 사장.
 
말리부와 이쿼녹스의 2월 국내 판매량은 1월보다 3.6%, 12.5% 각각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월에 말리부는 1075대, 이쿼녹스는 133대 팔렸다. 

이쿼녹스와 말리부는 한국GM의 신차 15종 출시계획 가운데 두 번째와 세 번째 차량인 데다 두 차종을 중심으로 공격적 가격정책을 펼친 만큼 판매 부진은 한국GM에 뼈아플 것으로 보인다. 

한국GM은 2018년 5월 5년 동안 신차를 비롯해 부분변경, 상품성 개선모델 등 15종을 차례대로 선보인다는 계획을 내놓은 바 있다.

한국GM은 2018년 6월에 중형 SUV 이쿼녹스를, 11월에 세단  말리부의 부분변경모델 더 뉴 말리부를 내놨다.

그동안 높은 가격이 고객의 구매 저항력을 높이는 핵심 요인으로 꼽혀온 점을 의식해 한국GM은 신형 말리부와 신형 이쿼녹스에 비교적 낮은 가격을 책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신형 말리부는 2345만~3279만 원 사이인데 부분변경 이전 모델보다 오히려 최고 가격을 기준으로 59만 원 싸고 신형 이쿼녹스는 중형 SUV 경쟁 차량인 현대자동차의 싼타페와 비교해 최고 가격으로 비교하면 413만 원 저렴하다.

한국GM은 말리부와 이쿼녹스에 집중해 할인정책도 펼쳤다.

한국GM은 2월에 최대 할인금액을 기준으로 이쿼녹스를 350만 원, 말리부를 300만 원 싸게 팔았다.

신차효과와 가격정책이 시너지를 내리라는 기대가 컸을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두 차종의 판매 부진으로 한국GM은 내수 판매 회복을 두고 고심이 깊을 것으로 보인다. 

철수설에 따른 브랜드 이미지 하락과 쌍용자동차의 준중형급 SUV 신차 출시 등의 영향으로 한국GM이 가격정책만으로 판매량을 늘리는 게 쉽지 않았을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다만 아직 가격정책을 적극적으로 펼친 게 얼마 되지 않은 데다 2월이 상대적으로 자동차 판매 비수기라는 점에서 한국GM은 2월 판매량을 두고 가격정책이 어느 정도 성과를 낸 것으로 바라보고 있다. 

시저 톨레도 한국GM 영업부문 부사장은 “가격 재설정(재포지셔닝)을 바탕으로 점진적으로 판매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며 “3월에 봄 성수기가 시작되는 만큼 내수 판매를 끌어올리기 위해 총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GM은 3월에도 할인정책을 그대로 이어간다. 한국GM은 ‘쉐보레 새봄 새출발 캠페인’을 진행해 말리부를 최대 350만 원 할인해 판매하기로 했다. 

카허 카젬 한국GM 대표이사 사장이 내수 판매 회복을 두고 의지를 보인 만큼 한국 GM은 판매량을 늘리는 데 더욱 힘을 쏟을 것으로 보인다.  

카젬 사장은 2월20일 전국 대리점 대표가 모인 자리에서 올해 내수 판매 목표로 11만4천대를 제시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차화영 기자]

최신기사

IBK투자 "카카오 조용한 1분기, 그러나 하반기는 다르다"
IBK투자 "넷마블 신작 러시와 수익성 개선으로 다음 스테이지 입성"
IBK투자 "BGF리테일 영업이익 내려앉았다, 중대형 출점 전략은 합리적"
한국타이어 1분기 매출 두 배 넘게 뛰며 4.9조, 영업이익은 11% 감소
네이버 'AI 전략' 통했다, 이해진 복귀 첫 1분기 역대 최대 실적 썼다
[여론조사꽃] 이재명 한덕수에도 과반, 이재명 51% 한덕수 28% 이준석 5%
IBK투자 "신세계푸드 단체급식 의존도 감소, 노브랜드 버거 확대"
비트코인 시세 올라 마이크로스트래티지 주가도 최고치, 보유자산 가치 상승
[여론조사꽃] 이재명 '3자 대결'서 과반, 이재명 52% 김문수 21% 이준석 5%
IBK기업은행 BNK부산은행, 금융위 기술금융평가 대형은행과 소형은행부문 각각 1위 올라
Cjournal

댓글 (0)

  • - 200자까지 쓰실 수 있습니다. (현재 0 byte / 최대 400byte)
  • -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댓글은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등 비하하는 단어가 내용에 포함되거나 인신공격성 글은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삭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