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력공사의 자회사들이 대북사업의 하나로 신재생에너지도 추진하면서 북한도 신재생에너지사업의 주요 진출지로 떠오르고 있다.
27일 공기업계에 따르면 남북 정상회담에서 철도, 도로 등 인프라부문 남북 경협 가능성을 열어놓으면서 한국전력공사와 자회사들이 에너지와 전기사업의 북한 진출을 현실화할 가능성도 커졌다.
▲ 김종갑 한국전력공사 사장(오른쪽)과 정재훈 한국수력원자력 사장이 5월30일 정부세종청사 산업통상자원부에서 열린 재생에너지 민관협의체 회의에 참석해 있다. <연합뉴스>
김종갑 한국전력 사장은 특별 수행원으로 북한에 다녀와서 “북한이 에너지와 전기분야에 많은 관심을 두고 있다”고 말했다.
김 사장은 구체적 얘기를 할 수 있는 단계는 아니지만 북한도 에너지와 전기에 남한과 북한이 협력하는 데 우호적이라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이번 남북 정상회담으로 북한과 전기분야 협력 가능성에 기대감이 커지면서 한국전력의 자회사들은 기존에 구상하고 있었던 북한 발전사업에도 추진동력을 얻게 됐다.
한국동서발전은 북한에 평화발전소를 짓는 계획을 들고 있다. 발전분야 대북 협력사업안에 포함된 평화발전소 건립 계획은 태양광과 풍력발전소를 우선적으로 건설하고 장기적으로는 화력발전소까지 세우는 것으로 구성됐다.
동서발전에 따르면 태양광과 풍력사업 준비 기간이 3년으로 화력발전 6~8년보다 짧아 북한 가정의 전력난 해소에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됐다.
동서발전은 태양광과 풍력발전소를 모두 2.3kW 규모로 10기를 지으면 북한 주민 7만5천 명에게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한국수력원자력도 대북 전담팀을 신설해 에너지 사업으로 북한에 진출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한수원 대북 전담팀은 신재생 담당직원을 따로 둬 태양광과 풍력사업 등 신재생에너지분야와 다른 프로젝트를 연계하기 위한 밑그림을 그리고 있다.
정재훈 한수원 사장의 직접 지시로 그린에너지본부 안에 대북 전담팀을 만들어 수력발전 등 재생에너지사업을 중점적으로 검토하고 더 나아가 태양광,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부문으로도 대북사업을 확대해 나가기로 했다.
북한 2014년 ‘자연에네르기 중장기 개발계획’에 따르면 북한은 2044년까지 재생에너지 발전설비용량을 500만kW까지 만드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2016년 신년사에서도 “자연에네르기를 적극 이용해 긴장한 전력 문제를 풀기 위한 사업을 힘 있게 밀고 나가야 한다”며 신재생에너지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곽대종 산업연구원 에너지산업연구부 연구위원은 “북한의 태양광 잠재량은 현재 북한의 전력 소요량과 비교해 막대하다”며 “북한은 송·배전시설의 낙후로 전력 손실률이 매우 높아 태양광 발전 잠재력이 매우 크고 남한과 북한은 신재생에너지사업 협력으로 서로 발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바라봤다.
북한은 수력발전소에 대부분 전력을 의지하고 있지만 발전설비 노후 등으로 주민에게 에너지 공급 수준이 1990년대에 급격히 줄어들고 그 뒤 개선하지 못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2001~2017년 전력발전량의 연 평균 증가율이 남한은 4.23%, 북한은 0.95%인 것으로 조사됐다.
북한의 신재생에너지는 대규모 산업시설에 활용되는 수준에 이르지 못하더라도 상업시설, 가정 등에서 태양광발전 전기가 활용되면서 잠재적 시장으로서 큰 가치를 지닌 것으로 평가됐다. [비즈니스포스트 김수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