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Who
KoreaWho
기업과산업  기업일반

50년 넘는 장수기업 CEO 평균 60.2세, "안정적 승계절차 필요"

최석철 기자 esdolsoi@businesspost.co.kr 2018-08-05 11:59:46
확대 축소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유튜브 공유하기 url 공유하기 인쇄하기

50년 이상 영업을 해온 장수기업을 이끄는 최고경영자의 평균 연령이 60세를 넘은 것으로 조사됐다.

5일 중소기업연구원이 내놓은 ‘한국 장수기업 현황과 정책적 시사점’에 따르면 한국에서 업력이 50년을 넘은 장수기업은 1629곳으로 집계됐다. 평균 업력은 56.1년이다.
 
50년 넘는 장수기업 CEO 평균 60.2세, "안정적 승계절차 필요"
▲ 중소기업연구원 로고.

장수기업을 이끄는 최고경영자(CEO)의 평균 연령은 60.2세로 비장수기업 평균 연령 54.2세보다 평균 6세가 많았다.

70세를 넘긴 최고경영자 비중은 장수기업이 18.0%로 비장수기업5.8%와 비교해 크게 높았다. 

신상철 중소기업연구원 수석연구위원은 “중소기업 최고경영자의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며 “중소기업의 승계 문제는 지속적 성장을 위한 주요한 과제가 됐고 ‘사회적 자산의 전승’ 측면에서도 중요한 만큼 안정적 승계 절차를 마련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고 파악했다.

장수기업 가운데 중소기업이 1314곳(80.7%)으로 평균 업력은 56.1년이다. 대기업은 315곳(19.3%)로 평균 업력은 60.3년이다.

업종별로 장수기업 비중을 살펴보면 제조업이 25.7%(419곳)로 가장 높았다. 그 뒤로 운수업 17.7%(288곳), 교육 서비스업 12.7%(207곳) 등 순이었다.

지역별로는 서울이 38%(617곳)로 장수기업이 몰려 있었고 그 뒤로 경기 13%(211곳), 부산 8%(131곳) 등 순으로 나타났다.

장수기업은 매출과 영업이익, 부가가치의 절대 규모에서 비장수기업보다 모두 30배 이상인 것으로 조사됐다. 평균 매출 규모는 장수기업 4300억 원, 비장수기업 127억 원이었다. 

신 수석연구위원은 “다만 성장 가능성 측면에선 비장수기업이 장수기업보다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며 “명문 장수기업 확인제도를 확대하고 인지도를 높여 명문 장수기업이 중소기업의 본보기가 될 수 있도록 할 필요성이 있다”고 말했다.

명문 장수기업 확인제도는 45년 이상 사업을 유지하고 있는 곳 가운데 중소기업 모범사례를 제시하고 발굴하기 위해 정부에서 2016년부터 시행하고 있는 제도다. [비즈니스포스트 최석철 기자]

최신기사

북한 비트코인 보유 세계 3위? 해킹 뒤 11억4천만 달러 규모 보유 주장 나와
조주완 지난해 LG전자서 보수 29.9억 받아, 임직원 평균 급여 1억1700만
OECD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 대폭 하향, 2.1%에서 1.5%로 0.6%p 내려
서울대 의대 교수 4인 '복귀 반대' 전공의 비판, "내 가족이 이들에게 치료받을까 두..
저축은행중앙회장 후보로 오화경 정진수 등록, 모두 업계 출신으로 관료 없어
중국 검색포털 바이두 AI 모델 2종 출시, "딥시크와 같은 성능에 가격은 절반"
유뱅크 컨소시엄 '제4인터넷은행' 신청 연기, "하반기 예비인가 신청 추진"
상상인증권 "현대백화점 지누스 턴어라운드, 백화점과 면세점도 실적 개선"
GC녹십자 독감 백신 미국 조류독감 리스크 없지만, mRNA 기술 확보 매진
이정애 LG생활건강서 작년 보수 17.5억 받아, 전년보다 24.7% 증가
koreawho

댓글 (0)

  • - 200자까지 쓰실 수 있습니다. (현재 0 byte / 최대 400byte)
  • -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댓글은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등 비하하는 단어가 내용에 포함되거나 인신공격성 글은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삭제 합니다.